👉 수요레터 구독하기
AI 거품론이 아닌 5가지 이유
안녕하세요, 촌장입니다.
- 지난 주 수요레터를 통해서 'AI 거품론이 맞는 5가지 이유' 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 예고했던 대로 이번 수요레터는 'AI 거품론이 아닌 5가지 이유'를 정리해 드리려 하는데요.
- 지난 주 엔비디아의 25년 3분기에 대한 실적발표가 있었죠?
- 총 매출이 570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62% 증가. 순이익은 무려 320억 달러로 총마진율이 무려 73.6%에 이르렀습니다. 4분기 전망도 시장 예측치보다 높은 650억 달러를 제시하면 앞으로도 높은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는데요.
- 젠승 황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AI 팩토리라는 완전히 새로운 산업을 창조했습니다.
AI 칩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공급을 초과하고 있습니다.
- 엔비디아의 압도적인 실적발표를 통해 'AI 거품론'을 바로 잠재우는 듯 했고, 시장은 엔비디아의 실적에 환호했죠.
- 하지만 수요레터를 쓰는 현재 엔비디아의 주가는 여전히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중입니다. '아직도 AI 거품론'은 여전히 사람들의 기저에 깔려 있는 것 같습니다.
- 엔비디아의 실적과 구글의 Gemini 3.0 출시를 통해 AI 전망에 파란 신호등이 들어온 가운데에서 AI 거품론이 아닌 5가지 이유를 조금 근본적인 내용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생산의 측면이 아닌 소비의 측면에서 과연 기존의 산업은 AI 도입을 통해 어떤 실제적인 이득을 얻고 있고, 앞으로의 전망을 어떻게 예상할 수 있는가가 핵심입니다.
- 자, 그럼 들어가 볼까요?
첫째, 실제적인 AI 적용 성과
- 기술에 대한 버블은 기대 가치에 비해서 실제적인 성과는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닷컴 버블이 그랬죠.
- 하지만 AI는 이미 기업 내부 생산성을 가시적으로 끌어올리고 있다는 메시지가 힘을 받고 있습니다.
- Stanford × MIT가 2024년 기업 5,000곳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생성형 AI 도입 기업의 업무 처리 속도는 평균 14%, 품질은 12% 향상되었습니다.
- 또한 Microsoft는 Copilot을 도입한 기업 고객의 직원당 연간 절감 시간은 약 14시간, 이는 직원 1,000명 기준 약 3.5억 원의 직접적 비용 절감 효과로 이어졌다고 발표하기도 했죠.
- AI의 실제적인 가치가 숫자로 증명되고 있는 중입니다.
- 물론 여전히 AI 도입에 회의적인 시각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 하지만 기업의 입장에서 명확한 비용 절감이 체감된다면, AI를 도입해서 얻을 수 있는 ROI에 대한 의심은 줄어들 수 밖에 없습니다.
- 생산성이 실적으로 연결된다면 AI는 버블이 아닌 “초기 S-curve 구간”에 들어섰다고 보는 것이 합당한 분석일 것입니다.
둘째, AI 인프라 투자는 고속도로를 까는 것
- 연간 수천억 달러 규모의 AI 인프라 투자는 겉으로 보기엔 거품 같지만, 실제로는 인터넷, 스마트폰, 클라우드처럼 반드시 필요한 기반 설비라는 분석이 늘고 있습니다.
- 과거 AT&T의 전화망 구축이나 Google의 글로벌 데이터센터 투자와 그리고 한국의 인터넷 통신망 구축을 통해 관련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처럼,
- 예를 들어, 총 1,000억 달러 규모의 OpenAI–SoftBank–Oracle의 Stargate 프로젝트 역시 산업 발전의 교두보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죠.
- 엔비디아는 2025년 이후 연간 500억 달러 이상의 공급망·생산 설비 투자 계획을 밝히며 “AI는 20년 이상 지속될 산업 사이클”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또한 IEA(국제에너지기구)는 2030년까지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2.5배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단순 과열이 아니라 “AI 기업 생태계 전체가 구조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 즉, 이 정도 규모의 투자 흐름은 버블이 아니라 산업 기반을 만드는 초기 공사 시기와 유사하고 AI 가 여러 산업 전체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 AI 가 모든 산업에서 흘러갈 수 있도록 기간망을 깔아두어야 그 위에 제대로된 AI 혁신이 돌아갈 수 있습니다.
- 물론 해당 산업의 투자가 몇몇 선도적인 거대 IT 기업에 집중되어 있다는 현실은 인프라의 편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습니다.
셋째, 구체적인 비즈니스 성공 케이스
- 지난주 칼럼에서는 AI를 개별적인 비즈니스 적용하는 데 여러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다뤘기도 했습니다만, 동시에 AI가 빠르게 적용되는 성공 케이스들 역시 분명하게 존재합니다.
- 예를 들어 금융(FinTech)에서는 AI 모델 기반 리스크 분석 도입률이 2022년 12%에서 2024년에는 38%로 증가했습니다.
- 헬스케어는 AI 기반 진단 정확도가 85%→93%로 급상승하면서 실제 규제기관 승인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 국내에서도 네이버·KT·LG CNS 등 대기업 계열사 중심으로 LLM 기반 업무 자동화 프로젝트가 6개월 단위로 빠르게 구축–배포–확장되고 있습니다.
- AI 클라우드 시장 역시 2023~2024년 대비 2025년에는 43% 성장이 예상되는 초고속 영역입니다.
- 이처럼 “AI는 아직 비즈니스 적용이 어렵다”는 말과 별개로, 실제 현장에서는 AI가 빠르게 확산되는 도메인이 존재합니다.
- AI의 가치가 증명되는 성공 케이스는 앞으로도 계속 등장할 것입니다.
넷째, 마케팅 구호가 아닌 눈에 보이는 효과
- AI 투자의 속도를 보면 마치 과열처럼 보이지만, 내용물을 뜯어보면 오히려 매우 현실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 Accenture 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이 2025년 기준 AI 관련 예산 중 61%를 ‘운영비 절감(OPEX Reduction)’ 항목에 배정하고 있습니다.
- 남들 하니까 AI 해야한다는 막연한 추종이 아니라, 당장 재무제표에 반영되는 실제적 개선 효과를 위해 AI에 투자한다는 의미입니다.
- AI를 적용해서 예산과 비용을 절감했다는 사례는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 Walmart는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으로 물류·재고 관련 비용을 연간 20억 달러 절감했다고 하고.
- UPS는 AI 기반 경로 최적화 시스템 도입으로 연간 4억 달러 이상 절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이처럼 기업 AI 투자에서 ‘가시적 절감 효과’가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는 점은, AI 시장이 투기적 거품이 아니라 실수요 기반 성장이라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다섯째, 과거 버블과는 다르다
- 최근 AI 기업들의 주가 상승폭이 매우 가파랐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 하지만 닷컴버블과 비교해 보면 이러한 상승의 이면에 실제적인 성과 역시 자리잡고 있다는 점이 차이점이라 할 수 있을 겁니다.
- S&P500 내 AI 매출 상위 20개 기업은 실제 매출이 전년 대비 평균 37% 성장했고, 주요 빅테크 기업의 AI 관련 매출 비중이 2023년 9% → 2025년에는 22%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또한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등은 이미 AI 서비스에서 수십억 단위의 현금 흐름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2000년 닷컴버블 당시 “매출 0원인데 시가총액은 수십억 달러”와는 완전히 다른 구조입니다.
- 모건 스탠리는는 “AI 시장은 거품이 아니라 지금은 산업 전환 초기(Early Transformation Cycle)”라고 분석하면서 2030년까지 AI가 전 세계 GDP를 7조~10조 달러 규모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 즉, 밸류에이션이 높은 것처럼 보이지만 그럴 만한 숫자가 나오고 있다는 점이 과거의 버블과는 분명히 차별화되는 지점이라 할 수 있겠죠.
AI 산업의 변동성은 존재한다
- 이렇게 AI가 거품이 아닌 이유를 정리해 봤습니다. 살펴본 것처럼 거품이 아닌 상당한 근거와 데이터들이 존재합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AI 거품론이 사라지지 않는 걸까요?
- 그동안 너무 가파르게 오른 시장의 기대치에 대한 반동이 하나의 이유일 테고,
- 새로운 혁신에 대한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기대가 계속 상충하고 있기 때문일 겁니다.
- 혁신이 도래하면 늘 충돌합니다. 이전 것과 새로운 것이 부딪혀 불꽃이 튑니다. 여기에 불안감이 존재합니다. 미래는 장미빛일까? 아니면 흑화의 시작이 도래하는 것일까?
- 아무도 여기에 대한 확실하고 명확한 전망을 내놓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AI 산업의 변동성은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 다만 분명한 것은 지금이 엄청난 전환의 초입부 라는 사실입니다.
- 변화가 극대화되는 시기에는 개인이든 기업이든 커다란 도전에 직면하게 됩니다. 변화의 파고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가 우리의 과제입니다.
- 거절한다고 무시할 수 없는 것이 AI의 시대이고, 이 흐름에 적극적으로 올라타야 합니다.
- 적어도 지금은 AI 거품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촌장이었습니다.
👉 수요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