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NIA] 정부도 디지털로, 공공 부문 클라우드 대전환
|
00:00 | |
[NHN클라우드] K 클라우드 기술과 협업, 그 전략과 방안
|
00:00 | |
[Digital X1] 디지털 하이브리드 시대, 클라우드 접근 전략 및 활용 시나리오
|
00:00 | |
[베스핀글로벌] 공공 디지털 혁신 클라우드 도입이 시작인 이유
|
00:00 | |
[신한금융투자] ‘금융도 클라우드’, AWS 기반 디지털 컨택센터(AICC)
|
00:00 | |
[한국MS] 사례로 보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현 전략
|
00:00 | |
[안랩] 클라우드 MSP와 보안 중요성
|
00:00 | |
[영림원소프트랩] 클라우드 SaaS 기반의 아웃소싱 사업
|
00:00 | |
[CJ올리브네트웍스] SaaS 기반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어프로치
|
00:00 | |
[인프라닉스] 멀티 클라우드 VPCC, ICTworks매니지드 서비스
|
00:00 |
코로나 19로 인한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특히 그 중심에는 '클라우드'가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정부의 디지털 뉴딜 발표를 시작으로 공공분야 클라우드 도입이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디지털 정부로 변화를 위해 클라우드 퍼스트 전략을 실행 중입니다. 주요기관 전산실에 흩어져있던 시스템을 2025년까지 클라우드로 이전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민간 클라우드 활용을 독려하고 있으며 국내 클라우드 생태계 성장도 지원할 방침입니다.
민간분야에서도 주요 대기업들이 속속 클라우드로 기간 시스템을 전환하고 있으며 다양한 성공사례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 온프레미스 시스템과 함께 프라이빗, 퍼블릭 클라우드,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현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활용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반면 클라우드 도입방향성을 놓고 고민하는 기업들도 적지 않습니다. 실제 무분별한 클라우드 도입이 IT 환경의 복잡성을 가중할 수 있으며 보안성에 대한 우려도 여전합니다.
이에 머니투데이는 'K클라우드·DX 프런티어 웨비나'를 통해 정부의 공공클라우드 활성화 전략과 함께 주요 클라우드 기업의 혁신 서비스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클라우드를 통해 복잡성을 줄이고 비용 절감과 비즈니스의 민첩성을 달성하는 혁신방안을 모색할 이번 컨퍼런스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21년 09월 08일(수) 10:00~1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