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실제 공개된 취약점에 대한 재현을 위해서는 복잡한 환경 설정 등이 필요해서 쉽지 않은데요, 혹시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확인된 취약점을 재현해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정광진 2025-04-25 14:4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위협 대응을 자동화하면 수동 프로세스 보다 대응 속도가 빠르고, 침해가 현재 진행 중인 경우 지연으로 인한 손실을 막을 수 큰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자동화하는데에서의 위험요인은 없을지요?

양재영 2025-04-25 14:41
A

자동화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고도화하는데에 많은 리소스가 필요합니다. 각 보안장비 혹은 개체에 자동화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오탐으로 인한 서비스 차단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온기술 담당자 2025-04-25 14:43
Q

[질문]각 회사만의 기준을 수립하기 위해 다온기술에서 컨설팅 형식으로 지원을 해주시는지 궁금합니다.

김기혁 2025-04-25 14:41
A

관련하여 요청해주시면 구글 클라우드(맨디언트)에 관련한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제안드릴 수 있습니다. 연락 주십시요^^

다온기술_고성종 2025-04-25 14:43
Q

[질문] 데이터 분석을 보안관리자가 수시로 모니터링하면서 분석을 해야 하는건가요? 아니면 탐지 시 자동 분석 후 이메일 또는 알람/경고를 해 주는건가요

양재영 2025-04-25 14:4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국내 벤더사들이 CVE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독자적인 CVE 체계를 확립하고 유연하게 국외 CVE와 연계되는 구조는 어려울까요?

이동근 2025-04-25 14:40
A

아무래도 국가기관 차원에서의 펀딩이 없다면 어려울꺼 같습니다. 국내 제조사들과 기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봐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5-04-25 14:43
Q

[질문] CVE프로그램 관련 이슈와 해결노하우가 궁금합니다.

전승호 2025-04-25 14:37
A

오늘 웨비나의 전만적인 내용입니다. 다시보기 나오면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

다온기술_고성종 2025-04-25 14:40
Q

[질문] 조직 내 AI 운영관리(MLOps)에 있어 서비스나우 플랫폼의 강점은 무엇인가요?

여현동 2025-04-25 14:3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미국 정부가 CVE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한 이번 사례를 통해, 보안 정보의 중앙 집중형 관리 체계가 갖는 위험 요소나 단점을 어떻게 해석하고 계신지요? 분산형 접근 방식의 가능성도 함께 설명 부탁드립니다.

방성현 2025-04-25 14:34
A

중앙집중화 문제는 분명 있습니다. 다만 중앙에서 집중화해서 관리하지 않는다면 여러 정보가 혼재되어 더 복잡할 수 있습니다. 어려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5-04-25 14:36
Q

(질문) 취약점 분석을 하다보면 XSS(Cross-Site Scripting)와 같이,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일어나는 취약점으로 관리자가 아닌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스크립트를 삽입할 수 있는 Hole이 발생하는데, 이런 위험을 차단 할 수도 있는지요?

이경석 2025-04-25 14:3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CVE 는 공공에서도 보안가이드라인으로 인해서 참조를 많이하고있는데요 영향이 어떻게 끼쳐질까요?

현승헌 2025-04-25 14:33
A

신규 취약점이 발생되었을때 전파가 빠르고 정확하게되지 않을 수 있고 그로인한 보안 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5-04-25 14:37
Q

[질문]cve 프로그램 중단 관련 우리나라 정부 차원의 대응은 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김기혁 2025-04-25 14:32
A

기존에 운영중이던 K-CVE프로그램과 같은 내용을 KISA에서 고민하고 계시지 않을까 합니다. 아직 그와 관련된 휴민트가 수집되진 못했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5-04-25 14:35
Q

[질문] 클라우드 환경을 사용하는 기업의 경우 이번 CVE 사태에 대해 특별히 더 주의해야 할 점이 있을지요?

신홍동 2025-04-25 14:3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기존 보안 시스템과 호환성 및 신규 솔루션 교체비용도 궁금합니다

권준식 2025-04-25 14:3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cve 프로그램 중단이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에는 어떤 리스크가 발생되는 것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기혁 2025-04-25 14:3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보안 담당자들이 최신 CVE 정보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있을까요?

김인섭 2025-04-25 14:31
A

지금 내용이 해당 내용이라 들어봐주시면 좋겠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5-04-25 14:32
Q

[질문] 기존 보안 시스템이 CVE에 종속적일 경우, 어떻게 구조를 유연하게 전환할 수 있을까요?

여현동 2025-04-25 14:30
A

데이터 소스에 대한 부분을 추가로 확보하면 어떨까 합니다. 더불어 CVE기반이 아닌 EPSS같은 위험도를 기반으로 하는 방향으로 검토가 필요합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5-04-25 14:32
Q

[질문] CVE 프로그램 외에 국내에서 참고할 만한 취약점 정보 공유 플랫폼이나 제도가 있을까요?

신익주 2025-04-25 14:2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보안 취약점 점검은 온프레미스 환경과 어떤 차이점을 가지며 특별히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일까요?

김홍식 2025-04-25 14:24
A

아무래도 권한 얘기를 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Role Based 로 하여 접근 통제를 하는 클라우드 환경이 많기 때문에 Role에 대한 세분화와 고도화가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보안 공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온기술 담당자 2025-04-25 14:27
Q

[질문] CVE 프로그램이 중단되거나 지연될 경우, 국내 기업과 공공기관은 보안 취약점에 대해 어떤 대체 채널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해야 할까요? 실무적 차원에서의 대응 전략이 궁금합니다.

방성현 2025-04-25 14:23
A

MITRE ATT&CK 기반 탐지 규칙을 병행하여 운영, 벤더별 보안 패치 RSS/메일링리스트 활용, ISAC/Threat Intel 등의 서비스를 구독하여 CVE 없이도 위협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채널 확보 하는 것 등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온기술 담당자 2025-04-25 14:25
A

뒤에 내용좀 다루고 있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5-04-25 14:26
Q

[질문] 타사 로그와 알림을 추가해 사일로화 된 포인트 제품 밖의 범위까지 가시서을 확장해 모든 네트워크 세그먼트 전반에서 지능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데 AI기반 행동분석으로 100% 비정상행위차단이 가능한지와 오탐/미탐을 방지하기위한 알고리즘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5-04-25 14: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