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위덱스 sd-wan 솔루션이 클라우드환경에서 오케스트레이션 역할까지 하는것인지 아님 단순 모니터링만 가능한지 궁금하고 오케스트레이션을 한다면 단편화된 보안을 제공하는 온프라미스에도 바로 적용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4-12-18 15:32
A

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통합 오케스트레이션을 제공하고, SD-WAN은 온프레미스로도 오케스트레이션 가능합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42
Q

[질문] AI/ML, 고성능 데이터 분석 등 최신 엔터프라이즈 워크로드를 위해서는 고성능 스토리지가 필요하다고 보는데, AI 프로세스 적용시 시스템운영(속도,Set-up등)에 대한 이슈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와 관련한 문제발생/햬결사례가 궁금합니다.

장혁수 2024-12-18 15:32
A

온프레미스 또는 내부 환경에서의 AI가 아닌,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수집 모니터링되는 로그와 정보를 바탕으로 클라우드에서 AI 프로세스가 적용되기 때문에 스토리지의 이슈에서는 다소 자유롭습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44
Q

[질문] HPE SASE를 도입하려는 고객이 사전에 준비해야 하거나 고려해야 하는 주요 사항은 무엇이고, HPE는 이에 대한 비대면 채널 지원 등이 갖추어져 있나요?

조한나 2024-12-18 15:31
A

HPE SASE는 기본적으로 클라우드에 기반한 솔루션인 점 고려해주셔야 하며, 그 외에는 SD-WAN은 도입할 지점 수 및 대역폭, 활용할 기능, SSE는 라이센스를 부여할 유저수만 확보되면 됩니다. HPE는 SASE 도입을 위한 폭넓은 채널을 보유하고 있어 도입을 위한 실증 부터 사후 지원까지 전방위적으로 지원이 가능합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40
Q

[질문] HPE SASE & SD-WAN 도입에 있어 해당 솔루션이 타사 대비 대표적인 특장점은 무엇이고, 가격 측면에서 어느 정도 효과 및 경쟁력이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주영선 2024-12-18 15:3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제로트러스트를 실제 환경에 도입할 때 고려해야할 핵심요소가 있나요?

김철 2024-12-18 15:3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제로 트러스트와 AI가 결합된 SASE 모델이 글로벌 네트워크의 보안과 성능에서 기존 방식 대비 어떤 실질적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요?

이원규 2024-12-18 15:30
A

Legacy 방식의 접근 제어와 정책 적용의 네트워크 & 보안 라이프사이클을 ZT와 AI를 통해 더욱 고도화할 수 있다는 점이 기존 대비 큰 차이점이라 하겠습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41
Q

[질문] IoT sensor등의 정보는 shadow it로 보기 어렵지 않나요? Shadow IP 로 말씀하신 것이라면 이는 단지 Name Resolution과 object tagging의 문제가 아닌가요

이형준 2024-12-18 15:30
A

말씀해주신 name resolution과 tagging 외에 핑거프린팅, 프로파일링 등을 통해서 광의의 Shadow IT를 식별할 수 있다고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40
Q

(질문) 브라우져 웹 격리를 하는것과 별도로 악성코드나 취약점 정보는 보관해서 학습하고 그 결과를 다시 엔지이나 정책 업그레이드에 다시 사용하는 아키텍쳐인지 궁금하고 그럼 업데이트는 폐쇄망에서는 사용이 어려운것인가요?

이원석 2024-12-18 15:29
A

자체 Sandboxing 기능과 더불어 3rd party의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와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보안 정책에 반영하는 아키텍처입니다. 클라우드 기반 아키텍쳐이므로 폐쇄망에서는 다소 활용이 어렵습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37
Q

[질문]기존 SASE에서 AI SASE로 변환하기 위한 사전 주요 작업은 무엇인지요? 온프레미스,하이브리드/네이티브 클라우드 인프라에 따른 도입 관련 주요 차별점과 요소는 어떻게 되는지요?

지정호 2024-12-18 15:28
A

수많은 보안과 접속 로그로부터 사람이 놓치거나 간과했던 이상 징후를 AI 기술을 이용하여 탐지하는 것이기에 이미 SASE를 도입하셨다면 AI SASE로 변환하기에 별도의 작업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35
Q

[질문] 1의 회선을 2개와 같이 보이게 하는 등 회선의 응용은 QoS 서비스를 제공하는것으로 보이는데 sd-wan 솔루션이 가시성도 Qos만큼 중요한데 가시성은 이렇경우 2개의 회선에 대한 것을 모두 모니터링 가능한것 인지요?

윤성원 2024-12-18 15:27
A

네, 2개 물리적인 2개 회선(언더레이)의 품질과 접속 상태, 트래픽 송수신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오버레이 네트워크도 동일하게 모니터링 가능합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34
Q

[질문] HPE는 자사 인프라 이외에도 타사 인프라에 HPE SASE 탑재시 호환성 및 동일한 성능을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조한나 2024-12-18 15:26
A

HPE SASE의 경우 HPE 의 인프라 뿐만 아니라 타사 인프라와 연동하여도 호환성 및 성능에 있어서 동일한 성능을 보일 수 있습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32
Q

[질문] 취약성이 발견되거나 서버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의심스러운 활동이 발생시 방어전략은 어떻게하나요?

김철 2024-12-18 15:26
A

SASE 솔루션의 여러 역할 중에서 접속 대상 서버나 시스템에 자체적으로 존재 또는 발생하는 취약점을 탐지하는 기능은 자체 내장하고 있는 IDS/IPS 또는 SWG와 더불어 별도의 보안 솔루션과의 연계를 통해서 상호 보완적으로 적용 가능합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32
Q

[질문] 행위 기반 탐지를 위해 스크립트의 정상 행위 범위를 미리 입력해 줄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입력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미리 입력할 필요가 없다면 스크립트의 행위가 정상인지를 어떻게 판별하는지 설명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최성태 2024-12-18 15:25
A

행위 기반 탐지는 엣지에서 서버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액세스와 웹 접속에 대한 부분입니다. 스크립트든 실제 사용자의 행위이든 보호해야 할 시스템이나 트래픽의 특성을 사전에 정의하고 제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30
Q

[질문] 제로트러스트 환경에서 전략이 각 워크로드를 상호 안전하게 격리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보호를 더 세분화함으로써 승인되지 않은 횡적 이동 문제에 대처한다면 완성된 제로트로스트 보안 모델로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정숙 2024-12-18 15:25
A

승인되지 않은 횡적 이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로 트러스트의 정책과 기능을 도입하는 것이므로, 어느 정도는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28
Q

[질문]1.AI기반 SASE 자동화기능 도입시 성능(속도,부하 등)에 대한 부담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백업 및 장애복구, 시스템 유지보수, 데이터 보호와 같은 기술적인 운용은 어떻게 이루어지도 궁금합니다. 2.첨단 인공지능(advanced AI) 및 자동화 기능과 같은 정교한 AI를 이용하여 보안위협 탐지/검출시 정확도와 속도 향상은 어느정도로 예상하시는지요? 그리고 AI를 이용한 위협 분석과 같은 서비스가 무엇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조성영 2024-12-18 15:24
A

1. 타 솔루션과의 연계 시에 어느 정도 발생할 수 있는 지연 외에 솔루션 자체로서는 성능에 이슈는 없습니다. 2. 아직까지는 정확도나 신속성을 고도화 하는 단계에 있으나, 추후 점차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27
Q

[질문] SASE를 이용시 네트워킹과 보안 서비스가 통일된 아키텍처로 통합되어 네트워크 인프라가 단순화 및 보안성 강화를 도모하는것으로 이해되는데 기타 고객 입장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무엇인지요?

최형은 2024-12-18 15:23
A

기존의 네트워크 및 보안 솔루션과 정책들을 어느 정도 수준과 깊이로 SASE 솔루션에 마이그레이션하거나 병행할지를 면밀히 검토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위덱스/한국HPE 담당자 2024-12-18 15:25
Q

[질문] AI 기반 SASE 구축관련 이슈해결 사례가 궁금합니다

전승호 2024-12-18 15: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다른 회사에게도 질문드린 내용인데요, 기존의 사용중인 Legacy 들과의 연동에 있어 Cato SASE는 어떤 장점이 존재하나요

이형준 2024-12-18 15:18
A

아래 연락처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정해숙 부장 SDR 010-4270-2027 [email protected]

케이토네트웍스 담당자 2024-12-18 15:22
Q

[질문] Cato PoP 클라우드 DC를 통해서 하나의 정책에서 관리가 가능하다는 부분이 장점일수도 있고 또는 밴더 종속성으로 인한 단점일수도 있을 듯 한데 케이토가 XDR, sase, SD-WAN 등을 모두 통합한 보안을 제공할때 별도의 솔루션은 필요없는것인지요?

윤성원 2024-12-18 15:18
A

저희는 모든 보안은 자체 개발해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솔루션은 필요가 없지만 Active Directory는 기존 고객사가 사용하는 제품을 Integration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케이토네트웍스 담당자 2024-12-18 15:21
Q

[질문] 이러한 성능 체감 지표는 실제 사용자 경험치와 일치하던지요? 만약 차이가 있을 시 이를 파라메터의 변경으로 수정할 수도 있는지요?

이용석 2024-12-18 15:16
A

아래 연락처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정해숙 부장 SDR 010-4270-2027 [email protected]

케이토네트웍스 담당자 2024-12-18 1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