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기업에서 계정관리는 다양한 권한 설정이 필요하여 그 설정 위협의 수준이 다른데, 어레이네트웍스에서는 이에 대한 방어를 어떤 식으로 지원하나요?

임종택 2024-12-05 14:13
A

저희 장비에서의 권한 설정은 관리자의 권한 제한으로 가능합니다.

어레이네트웍스 담당자 2024-12-05 14:15
Q

[질문] 데이터센터, 나날이 증가하는 SaaS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기업 네트워크 보안에 머신러닝 기반의 제로 트러스트 전략이 필요해 보이는데요, 기업의 업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레이네트웍스의 SaaS 보안 솔루션의 특징과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양성필 2024-12-05 14:13
A

저희는 SaaS도 있지만 On-Prem으로 구축이 가능합니다.

어레이네트웍스 담당자 2024-12-05 14:14
Q

[질문]1.제로 트러스트 기반 보안 체계 구축 시 고려사항과 사용자 권한등급 관리나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보안 관리 방법이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보안 취약점 검출에 따른 Patch/Update 작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도 궁금합니다. 2.최근 제로트러스트 이슈가 보안산업에 영향을 미치면서 보안 솔루션에 제로트러스트가 접목되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엔드포인트에 제로트러스트를 도입한 솔루션의 사례가 궁금합니다. 3.응용 & 워크로드 보안에 제로트러스트를 도입한 솔루션이 어떤것이 있는지와 제로트러스트의 도입 필요성과 도입후 기대효과가 궁금합니다.

조성영 2024-12-05 14:12
A

안녕하세요 조성영님. 저희 세미나를 들으시면 답을 얻으실 수 있겠습니다.

어레이네트웍스 담당자 2024-12-05 14:13
Q

(질문) 제로트러스트의 모니터링의 일원화는 인력의 한계가 있는 기관에서 제일 중요한요소일듯 합니다. 그중 언제든지 추적이 가능한지요?

이원석 2024-12-05 14:11
A

해당 부분은 별도의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셔야 합니다. 저희의 경우 ZTNA의 부분에 해당합니다.

어레이네트웍스 담당자 2024-12-05 14:13
Q

[질문] Trust에 지속성의 개념을 부여하신 것은 매우 흥미롭네요. 그런데 그 Trust의 지속성을 부여하는 기준이 사용자마다 다르다는 점이 좀 까다롭다는 생각이 드는데, 모든 사람에게 쉽게 하던 업무에 지장없는 trust를 부여하는 것은 초기 ZTNA 성공의 가장 큰 키가 아닐까합니다. 보통 많이 사용되는 RBAC기반으로 ZTNA에 쉽게 적용시키는 서비스를 혹시 갖고 계신가요

이형준 2024-12-05 14:10
A

안녕하세요 이형준님 저희는 서비스및 자체 구축형입니다. 구체적인 요건을 메일로 남겨주시면 메일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어레이네트웍스 담당자 2024-12-05 14:12
A

SaaS 형과 구축형을 모두 제공하신다는 건 알겠는데, 제 질문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RBAC 을 기반으로 손쉽게 ZTNA 구현이 가능한가하는 것이었습니다. 다시 일일이 ZTNA 셋팅을 처음부터 한다는 것은 상당한 공수가 드는 일 같아서요

이형준 2024-12-05 14:18
A

기존에 운영하고 계시는 RBAC 솔루션이 있는 경우 해당 솔루션이 API를 제공하면 저희쪽에서 API 호출로 가능은 할 것 같습니다. 다만 API 연동관련 부분은 상세히 확인 되어야 말씀 드릴 수 있겠습니다.

어레이네트웍스 담당자 2024-12-05 14:19
Q

(질문) 제로트러스트 보안을 위해서는 여러 인텔리전스 SecOps, Threat, Brand 이 세가지중 어떤것이 가장 필요한지요?

강덕진 2024-12-05 14:08
A

Threat 가 우선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레이네트웍스 담당자 2024-12-05 14:09
Q

[질문] 클라우드 타깃 랜섬웨어,APT공격에 대해 효과적인 방어인지 알고리즘등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4-12-05 14:07
A

안녕하세요 양재영님. 저희 SPA라는 기술을 통해서 기본적인 외부 방어가 가능은 합니다. 다만 상황에 따라서 정확한 답변을 드릴수가 있습니다.

어레이네트웍스 담당자 2024-12-05 14:08
Q

[질문] 국내 조립산업 형태의 제조업에 대한 선진 도입 사례에 대해 알려주실 수 있나요? 추가로, 도입시 어떤 효과를 가장 빠르게 얻을 수 있나요?

이재학 2024-12-05 14:07
A

안녕하세요 이재학님. 해당 내용은 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제가 본사에 유사 Case 확인을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어레이네트웍스 담당자 2024-12-05 14:11
Q

[질문] AppGate SDP에서는 ZTNA 기반의 액세스 제어정책을 적용할 경우, 공격자가 액세스 권한을 얻은 후에 다른 서비스를 찾기 위해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면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나요?

임종택 2024-12-05 14:06
A

안녕하세요 임종택님. 기본적으로 내부에 어떤 자원으로 어떤 행태로 억세스를 하였는지에 따라서 다릅니다.

어레이네트웍스 담당자 2024-12-05 14:07
Q

[질문] 어레이네트웍스 AppGate SDP는 새로운 공격 벡터 분석과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기반의 대응에 있어 어떠한 차별성을 가지고 기업의 환경에 적합한 제로 트러스트 적용 방법을 제안하는지 궁금합니다.

양성필 2024-12-05 14:04
A

안녕하세요 양성필님. 문의 하신 내용은 세미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레이네트웍스 담당자 2024-12-05 14:05
Q

[질문] 기업이 다양한 업무 환경과 보안 취약점의 증가에 대응해 제로트러스트를 구성할 때, 어레이네트웍스에서는 AI 기반의 자동 대응체계도 지원하나요?

임종택 2024-12-05 14:04
A

AI 기반의 자동 대응체계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러한 솔루션이 있다면 연계해서 구현하는 방법이 있는지 모색은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어레이네트웍스 담당자 2024-12-05 14:05
Q

[질문] PLSA는 3D systems의 proprietary 방식인가요? 특허 같은 것이 존재하여 다른 회사가 만들기 힘든가요

이형준 2024-12-04 15:0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의료용 레진을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 인증이 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나요? 국내 허가 제품인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open material 을 지원하나요? 단점을 꼽아본다면 무엇이 단점인가요?

조규성 2024-12-04 15:01
A

기존 답변 내용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5:01
Q

[질문] 후처리의 측면에서 장점이 있을까요? 그리고 지금 소재 설명을 해주고 계신데, 색상에 있어서도 다양한 색상 재질도 가능한가요?

조규성 2024-12-04 15:00
A

기존 답변 내용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5:01
Q

[질문] 만약 해당제품의 경쟁제품이 있다면 어떤 제품 혹은 브랜드가 있을까요?

이상욱 2024-12-04 14:59
A

기존 SLA 방식 프린터와 경쟁이 될 수는 있지만 새로운 방식이라서 아직은 경쟁이 될 제품은 없을 것 같습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5:01
Q

[질문] 내부에 인서트를 넣은 상태로 적층이 가능한 지 문의드립니다.

최수현 2024-12-04 14:58
A

그 기능은 없습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9
Q

[질문] 각 레이어별 적층 속도를 달리 할 수도 있을까요? 예를 들어 평이한 형상은 적층 높이를 크게, 정밀도를 요하는 형상 부분은 적층을 더 세밀하고 작게 하는 방식으로요.

이용석 2024-12-04 14:57
A

스프린트 소프트웨어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5:01
Q

[질문] PSLA 270과 같은 고속, 고정밀 3D 프린팅 기술이 제조업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가운데, 대규모 생산에 도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 환경적, 경제적 제한은 무엇이 있을까요? 특히, 재료 제약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후처리 과정에 대한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무킷압둘 2024-12-04 14:57
A

댓글로 답변드리기 어려운 내용입니다. 저희 회사로 연락주시면 상세하게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8
Q

PSLA 경우 파트 출력 중, 레코더와 충돌이 발생되면, 감지를하고 장비가 스스로 스탑하는 기능이 있나요?

이상훈 2024-12-04 14:55
A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6
Q

[질문]휴대성 제품은 언제 정도 출시가 될까요? [질문]3D 프린터기의 미래형 제품은 어느 정도까지 개발이 될까요? [질문]병원용 인체 소재도 많이 개발이 되어 있을까요? [질문]현재 귀사의 제품은 국제/국내 경쟁력은 어느 정도 봐야 할까요?

한종원 2024-12-04 14:53
A

저희가 답변드리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시장에 공개되어 있는 연구자료들을 참고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