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www.3dsystems.com/3d-printers/psla-270
사무실 환경이라면 PSLA 프린터 사용에 문제 없습니다. 만약 진동이 있는 환경이라면 이는 출력물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모든 3D 프린터는 출력 성형이 방해될 정도의 진동이 없는 것이 좋습니다.
PSLA는 재료를 재활용할 수 없습니다. 실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치수 보정을 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타입 및 일부 제품 자체로 사용 가능합니다
Figure 4 프린터에서 경도는 65A, Tear strength Type C 8.5kN/m Compression set 23℃ 0.6% 수준입니다.
너무 종류가 많아서 자세한 종류는 저희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www.3dsystems.com
소재는 저희가 직접 개발하고 인증을 거쳐서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저희 소재를 사용한다면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생체적합 소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open material을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생체적합성 재료는 의료 인증을 받은 것이 아닌 생체에 적합하다는 의미 입니다. 국가마다 의료 분야마다 의료 인증에 대한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최종 제품에 대해 고객이 의료 인증을 받아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생체적합성 재료는 ISO 10993-5 세포 독성 또는 ISO 10993-10 감작성 등에 적합하다는 의미입니다.
유지보수 비용이나 소모품 비용은 기존 SLA 방식보다는 저렴합니다.
PSLA 소재도 생체적합 소재가 있기 때문에 의료기기 제작용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뒤에서 발표될 PSLA 270 의 특징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PSLA와 SLA 모두 파트 세척, 서포트 제거, UV경화를 진행하는 후처리 공정이 필요합니다. 재료는 종류에 따라 색상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특정 색상의 제품을 원할 경우, 도포의 필요성이 있다고 보면 되겠군요.
프린팅 방식별로 최적화된 소재가 있는 것이 아니라 활용 용도에 따라 적합한 소재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저희가 직접 시장 조사를 할 수는 없어서 시장에 공개되어 있는 자료들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SLA 방식의 품질이 다른 기술보다는 우수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정밀도와 표면품질에 대한 차이점은 두 가지 방식 모두 뛰어나며,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장비의 출력 속도와 가격, 파트의 크기 그리고 사용하고자 하는 재료를 기준으로 장비를 선정하는 것을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장점은 정밀하고, 대형 제품 출력에 유리하고 한계는 단면을 레이저로 그려야 하기에 속도 측면에서 한계입니다.
광원이 레이저냐 프로젝터냐의 차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