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의 성장성이 없는 것이 아니라, 현재도 계속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당면 과제는 당연히 대량 생산을 위한 시스템의 자동화 정도가 되지 않을까요?
다양한 3D 프린터가 시장에 소개되고 있으니 얼마든지 도입하실 수 있습니다.
어떤 방식이 적합하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렵고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과 예산 등을 고려하여 ROI를 계산해 봐야 합니다.
고속 고정밀 자체가 경쟁력입니다. 그만큼 생산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가장 큰 경쟁력입니다.
일반적으로 사포, 컴파운드 및 UV 코팅제를 사용하는데, 노동력이 많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출력 방식에 따라 후처리 방식이 달라지지만, SLA의 경우 서포트 제거 후 세척 및 경화 작업이 필요합니다. 투명한 샘플은 폴리싱 및 투명코팅을 거쳤습니다.
댓글로 답변드리기에는 내용이 복잡하니 웨비나 종료 후 저희 쪽으로 연락주시면 상세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뒤에 발표될 PSLA 270의 특징에서 생산성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SLA 경우 패브릭에 사용 하기는 어렵습니다.
의료용 장기는 별도의 바이오프린터를 사용해야 합니다.
네 알겠습니다 향후에 바아오 프린팅도 개발해주시기를 기대합니다
설치 공간 확보 및 후처리 설비 등의 도입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3D Systems 홈페이지에 프린터 별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 목록과 물성표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복수 종류의 재료를 사용할 경우, 재료 모듈을 교체함으로서 편의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PSLA 기술은 DLP 기술과 SLA 기술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속도는 DLP처럼 빠르고 정밀도는 SLA처럼 우수합니다. AI 기술은 적용이 되지 않았습니다.
SLA 방식에서 레이져 스캐닝의 물리적 소요 시간보다 한 레이어를 UV 램프로 한 번에 에너지를 주는 방식이 PSLA의 속도가 빨라지는 이유입니다. 과열에 대한 이슈는 없습니다.
[질문] 속도의 증가는 답변으로 이해가 가는데, 한 번에 UV로 레이어를 생성시키는 방식은 왜 정밀도를 높이게 되는지요?
뒤에 발표될 PSLA 270의 특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LA750 듀얼 레이저 프린터의 경우, 레이져가 파트 내부와 외부로 나누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아, 그렇다면 후자, 즉 형상의 내/외부로 2배의 속도가 충분히 가능하겠네요.
타사 대비 생산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은 해당 3D 프린터 제조사의 내부 정보가 필요하므로 답변 드리기 어렵습니다. 3D Systems의 PLSA 270 신제품에 사용되는 재료는 UV 안정성과 내습성을 기반으로하는 장기 실내/실외 안정성, 파트 배치 변경에도 일관적인 경향을 보이는 물성 등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3D Systems 홈페이지에서 재료 물성표 다운로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워크스테이션 관련 질문으로 3D 프린터와는 관련이 없는 질문인 것 같습니다.
저희 SLA 장비도 하방 방식으로 적층되는데요. 3D 시스템즈 아니구요
대부분의 SLA 프린터는 수조 아래로 출력 중인 파트가 내려가는 방식입니다.
빌드 플레이트가 수조 내로 내려가는 것이 SLA 방식이고, 빌드 플레이트가 위로 올라가는 것이 DLP 또는 desk top SLA 방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