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클라우드 타깃 랜섬웨어,APT공격에 대해 효과적인 방어인지 알고리즘등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4-12-05 14:07
A

안녕하세요 양재영님. 저희 SPA라는 기술을 통해서 기본적인 외부 방어가 가능은 합니다. 다만 상황에 따라서 정확한 답변을 드릴수가 있습니다.

Q

[질문] 국내 조립산업 형태의 제조업에 대한 선진 도입 사례에 대해 알려주실 수 있나요? 추가로, 도입시 어떤 효과를 가장 빠르게 얻을 수 있나요?

이재학 2024-12-05 14:07
A

안녕하세요 이재학님. 해당 내용은 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제가 본사에 유사 Case 확인을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Q

[질문] AppGate SDP에서는 ZTNA 기반의 액세스 제어정책을 적용할 경우, 공격자가 액세스 권한을 얻은 후에 다른 서비스를 찾기 위해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면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나요?

임종택 2024-12-05 14:06
A

안녕하세요 임종택님. 기본적으로 내부에 어떤 자원으로 어떤 행태로 억세스를 하였는지에 따라서 다릅니다.

Q

[질문] 어레이네트웍스 AppGate SDP는 새로운 공격 벡터 분석과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기반의 대응에 있어 어떠한 차별성을 가지고 기업의 환경에 적합한 제로 트러스트 적용 방법을 제안하는지 궁금합니다.

양성필 2024-12-05 14:04
A

안녕하세요 양성필님. 문의 하신 내용은 세미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

[질문] 기업이 다양한 업무 환경과 보안 취약점의 증가에 대응해 제로트러스트를 구성할 때, 어레이네트웍스에서는 AI 기반의 자동 대응체계도 지원하나요?

임종택 2024-12-05 14:04
A

AI 기반의 자동 대응체계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러한 솔루션이 있다면 연계해서 구현하는 방법이 있는지 모색은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Q

[질문] PLSA는 3D systems의 proprietary 방식인가요? 특허 같은 것이 존재하여 다른 회사가 만들기 힘든가요

이형준 2024-12-04 15:0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의료용 레진을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 인증이 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나요? 국내 허가 제품인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open material 을 지원하나요? 단점을 꼽아본다면 무엇이 단점인가요?

조규성 2024-12-04 15:01
A

기존 답변 내용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5:01
Q

[질문] 후처리의 측면에서 장점이 있을까요? 그리고 지금 소재 설명을 해주고 계신데, 색상에 있어서도 다양한 색상 재질도 가능한가요?

조규성 2024-12-04 15:00
A

기존 답변 내용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5:01
Q

[질문] 만약 해당제품의 경쟁제품이 있다면 어떤 제품 혹은 브랜드가 있을까요?

이상욱 2024-12-04 14:59
A

기존 SLA 방식 프린터와 경쟁이 될 수는 있지만 새로운 방식이라서 아직은 경쟁이 될 제품은 없을 것 같습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5:01
Q

[질문] 내부에 인서트를 넣은 상태로 적층이 가능한 지 문의드립니다.

최수현 2024-12-04 14:58
A

그 기능은 없습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9
Q

[질문] 각 레이어별 적층 속도를 달리 할 수도 있을까요? 예를 들어 평이한 형상은 적층 높이를 크게, 정밀도를 요하는 형상 부분은 적층을 더 세밀하고 작게 하는 방식으로요.

이용석 2024-12-04 14:57
A

스프린트 소프트웨어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5:01
Q

[질문] PSLA 270과 같은 고속, 고정밀 3D 프린팅 기술이 제조업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가운데, 대규모 생산에 도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 환경적, 경제적 제한은 무엇이 있을까요? 특히, 재료 제약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후처리 과정에 대한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무킷압둘 2024-12-04 14:57
A

댓글로 답변드리기 어려운 내용입니다. 저희 회사로 연락주시면 상세하게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8
Q

PSLA 경우 파트 출력 중, 레코더와 충돌이 발생되면, 감지를하고 장비가 스스로 스탑하는 기능이 있나요?

이상훈 2024-12-04 14:55
A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6
Q

[질문]휴대성 제품은 언제 정도 출시가 될까요? [질문]3D 프린터기의 미래형 제품은 어느 정도까지 개발이 될까요? [질문]병원용 인체 소재도 많이 개발이 되어 있을까요? [질문]현재 귀사의 제품은 국제/국내 경쟁력은 어느 정도 봐야 할까요?

한종원 2024-12-04 14:53
A

저희가 답변드리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시장에 공개되어 있는 연구자료들을 참고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4
Q

[질문] 정확한 수치를 바라는 것은 아니지만, 가격은 DLP. SLA 를 합친 만큼은 아니겠죠?

이용석 2024-12-04 14:52
A

SLA에 가깝지만 SLA보다는 저렴합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3
A

감사합니다. 방금 전 말씀해 주셨네요. DLP < < SLA 라고.

이용석 2024-12-04 14:55
Q

[질문] 소모품으로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부품의 수가 많은가요? 직접 수리가 가능한가요? 또한 슬라이서는 3D Sprint 를 적용하는 건가요?

이상욱 2024-12-04 14:52
A

수리는 직접 수리를 권장하지는 않고 인증된 저희 엔지니어를 통해 수리를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슬라이서는 3DSprint를 사용합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2
A

저희 엔지니어를 통해 이슈 발생 시 수리가 가능합니다. 네 소프트웨어는 3DSprint를 사용합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3
Q

[질문] Form factor는 DLP, SLA에 비해 어떠한가요? 별도의 프린팅 품을 마련하는 것이 좋은지요?

이용석 2024-12-04 14:51
A

DLP와 SLA 장점을 결합한 폼팩터로 3D 시스템즈에서 처음 선보이는 기술의 제품입니다. 소형 냉장고 정도의 크기라 볼 수 있겠습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5
Q

[질문] PSLA 270을 사용한 출력물의 품질은 DLP나 SLA 방식과 비교해 어떤 점에서 더 뛰어난가요? 특히 정밀도와 표면 마감에서 두 방식 사이의 차이점에 대해 궁금합니다.

조규성 2024-12-04 14:51
A

전체 발표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2
Q

[질문]장비 출력시 장비가 인터넷에 반드시 연결되어 있어야 하나요?

정수호 2024-12-04 14:49
A

인터넷 연결 없이도 사용 가능합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49
Q

[질문] 타 기술 대비 제품의 수명은 어느 정도인가요? 좀더 정밀하고 세밀한 작업으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지는 않을지 의문이 듭니다

주영선 2024-12-04 14:48
A

장비의 수명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관리를 잘 하고 꾸준히 유지보수를 하신다면 장기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3D Systems 담당자 2024-12-04 1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