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보수 비용이나 소모품 비용은 기존 SLA 방식보다는 저렴합니다.
PSLA 소재도 생체적합 소재가 있기 때문에 의료기기 제작용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뒤에서 발표될 PSLA 270 의 특징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PSLA와 SLA 모두 파트 세척, 서포트 제거, UV경화를 진행하는 후처리 공정이 필요합니다. 재료는 종류에 따라 색상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특정 색상의 제품을 원할 경우, 도포의 필요성이 있다고 보면 되겠군요.
프린팅 방식별로 최적화된 소재가 있는 것이 아니라 활용 용도에 따라 적합한 소재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저희가 직접 시장 조사를 할 수는 없어서 시장에 공개되어 있는 자료들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SLA 방식의 품질이 다른 기술보다는 우수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정밀도와 표면품질에 대한 차이점은 두 가지 방식 모두 뛰어나며,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장비의 출력 속도와 가격, 파트의 크기 그리고 사용하고자 하는 재료를 기준으로 장비를 선정하는 것을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장점은 정밀하고, 대형 제품 출력에 유리하고 한계는 단면을 레이저로 그려야 하기에 속도 측면에서 한계입니다.
광원이 레이저냐 프로젝터냐의 차이입니다.
3D 프린터의 성장성이 없는 것이 아니라, 현재도 계속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당면 과제는 당연히 대량 생산을 위한 시스템의 자동화 정도가 되지 않을까요?
다양한 3D 프린터가 시장에 소개되고 있으니 얼마든지 도입하실 수 있습니다.
어떤 방식이 적합하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렵고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과 예산 등을 고려하여 ROI를 계산해 봐야 합니다.
고속 고정밀 자체가 경쟁력입니다. 그만큼 생산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가장 큰 경쟁력입니다.
일반적으로 사포, 컴파운드 및 UV 코팅제를 사용하는데, 노동력이 많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출력 방식에 따라 후처리 방식이 달라지지만, SLA의 경우 서포트 제거 후 세척 및 경화 작업이 필요합니다. 투명한 샘플은 폴리싱 및 투명코팅을 거쳤습니다.
댓글로 답변드리기에는 내용이 복잡하니 웨비나 종료 후 저희 쪽으로 연락주시면 상세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