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구독 관리 및 빌링 자동화 솔루션으로서 SaaS 기반의 구독 관리 플랫폼과 온프레미스 기반의 구독 관리 시스템의 차이점과 각각의 적용 사례는 무엇인가요?

김상훈K 2024-10-23 14:1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구독형을 선택했을 시 중요 데이터 보호 측면에서 SW 주권은 어떻게 강화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양성필 2024-10-23 14:16
A

데이터 보호 측면과 관련한 질문은 저희 SM과 관련이 없고, 저희 옆 부서의 DS(Data Secure)의 데이터 보호 쪽과 관련이 있는 질문입니다. 추가적인 답변이 필요하시면 옆 부서에 전달하여 추가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21
Q

[질문] 셀프서비스 라이선스 사용시 제품업체와의 계약사항은 자동업데이트 되는지 계약사항에 대한 보안은 어떻게 보증되느지요

양재영 2024-10-23 14:15
A

자세한 사항에 대해 추가적으로 말씀해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22
Q

[질문] 구독형으로 운영시 산출물에 대한 지적재산권 관련 이슈는 없나요?

임종택 2024-10-23 14:13
A

저희 솔루션을 사용하는 고객층들은 거의 대부분 소프트웨어 벤더, 하드웨어 벤더(소프트웨어가 탑재된)입니다. 따라서, 문의주신 질문에 대한 이슈는 없습니다.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19
Q

구독 기반 서비스의 다양한 가격 책정 전략으로서 티어링과 가격 차별화의 차이점과 각각의 적용 사례는 무엇인가요?

김상훈K 2024-10-23 14:13
A

관건은 다양한 가격 책정 모델을 혼합하여 가장 최적의 비즈니스 모델을 즉각적으로 적용하여 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지인데, 다양한 고객사에서 이러한 정책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17
Q

[질문] Feature based licencing의 경우, 오히려 많은 feature들의 관리 어려움으로 더 많은 공수를 발생시켜 어려움이 증가할 우려는 없을까요

이용석 2024-10-23 14:12
A

세션 마지막 Q&A 시간에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15
Q

구독 모델에 적합한 라이선싱 기술로서 동적 라이선싱과 서브스크립션 관리 시스템의 차이점과 각각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김상훈K 2024-10-23 14:11
A

추후 저희쪽에서 연락드리겠습니다.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15
Q

[질문] 구독형의 경우 사용료 산정 방식이 궁금합니다

윤상 2024-10-23 14:11
A

연간 계약 방식(라이선스 사용 무제한)으로 저희 기술이 적용된 고객사의 제품 매출 기반으로 라이선스 비용이 책정됩니다.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13
Q

[질문]1.구축형에서 구독형으로 전환할 경우 상대적으로 보안위협에 취약할것으로 보이는데, 악성코드나 랜섬웨어 같은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비책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2.구축형 사업 구조를 구독형 중심으로 바꾸는 기간과 비용효율성 측면에서 어떤지와 기존 라이센스버전들과의 차이점 및 기능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요? 추가적으로 향후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의 방향성도 궁금합니다

조성영 2024-10-23 14:1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기존 라이센스를 관리하는것도 어려운데 요새는 구독형 라이센스까지 관리를 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인데 탈레스 솔루션으로는 이 2가지 형태의 라이센스 관리가 가능한지요? 또 이런 라이센스를 밴더의 db를 활용해서 직접 입력없이 데이터로 만들수 있는지요?

윤성원 2024-10-23 14:10
A

세션 마지막 Q&A 시간에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12
Q

[질문] 보안침해공격에 있어서 악의적인 내부자의 공격 및 인적에러로 인한 공격이 다수인데 이런 내부침해에 대해서도 외부침해처럼 완벽한 대응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4-10-23 14:09
A

질문 주신 내용은 내부 데이터 보안과 관련있어 보입니다. 이 부분은 저희와 같이 근무하고 있는 DS(Data Secure) 팀과 관련이 있으니, 추가적으로 관심 있으시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11
Q

[질문] 구독형 모델이 아닌 경우, 유지보수 역시 라이센싱의 일부로 포험할 수 있을까요?

이용석 2024-10-23 14:07
A

세션 마지막 Q&A 시간에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09
Q

[질문] 구독 경제 시대의 SW 벤더의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전략 및 수익 최적화 방안에서 오픈소스 관리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는데, 소프트웨어 공급망의 보안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양성필 2024-10-23 14:07
A

오늘 웨비나 내용을 끝까지 들어보시면, 이에 대한 해답을 얻어가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08
Q

죄송하지만 조금 더 구체적으로 질문해 주실 수 있으실까요?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0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현재 오픈소스 가운데 이러한 라이센싱 전략을 쓰기 어려운 라이센스가 있나요? 있다면 어떻게 회피가 가능한가요

이형준 2024-10-23 14:06
A

죄송하지만 조금 더 구체적으로 질문해 주실 수 있으실까요?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07
A

예를 들어 상업화가 불가하거나, 코드 공개 의무로 코드의 기밀을 유지하기 힘들거나한 경우에.

이형준 2024-10-23 14:12
A

탈레스 담당자 2024-10-23 14:06
Q

AI 시대의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방어자들이 집중해야 할 핵심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조하민 2024-09-27 15:09
A

(진심) 첫째도 AI, 둘째도 AI, 셋째도 AI라고 믿습니다. 아니 단언드립니다. (물론 제 개인 생각이지만요. ^^)

임근식 2024-09-27 15:10
Q

[질문] 오늘 웨비나에서 보안시스템의 오작동 편항성 설명을 들으면서, 2주전에 발표된 , PromSec: Prompt Optimization for Secure Generation of Functional Source Code with Large Language Models (LLMs) 보안 논문을 다시한번 생각해보게되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https://arxiv.org/abs/2409.12699, 다음에 오늘 주제에 이어 실제 생성형 AI와 관련된 공개 모데들을 이용한 실제 대내외 공격 사례 및 방어 방법들도 다뤄지면 엄청 인기 있을거 같습니다. 특히 취약점 탐지 및 대응에 대해 몇가지는 제가 다시금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개선해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임근식 2024-09-27 15:0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AI를 보안에 적용 후, 보안 취약점 예측과 분석의 정확도는 얼마나 높아졌는지요? 보안 위험에 대한 ROI에 대한 비용 절감 방안은 어떻게 세워야 하는지요?

지정호 2024-09-27 15:0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I의 역할이 증가함에 따라 전통적인 보안 툴 방화벽 바이러스 백신의 유효성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궁금합니다?

김홍식 2024-09-27 15:01
A

악성파일 또는 악성행위를 탐지하는 방식에 AI를 적용하는 추세로 현재까지는 보조적인 도구로 사용하는 상태입니다. 다만 과거보다는 발전속도가 빠르기때문에 AI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형태로 변화될것 같습니다. 그 과정에서 기존 보안 솔루션이 대체되기 보다는 강화되는 추세가 될것으로 예상됩니다.

고성종 2024-09-28 1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