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악성코드는 소스코드형태에서의 취약점보다는 시스템이 구동될때의 취약점을 막아야 하는 데 하는데 시중에는 소스코드단 취약점을 더 강조해서 도입 효과가 크지않은데 구글의 제품은 이점에서 어떻게 다른지요 ?

윤성원 2024-09-27 14:5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공격자가 AI를 활용하여 데이터 유출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요?

신홍동 2024-09-27 14:4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I가 지속적으로 지능화 되고 있는데 이에 따른 보안 제품에 탑제된 openAI 나 AI 관련된 기술은 어떻게 업데이트 등 유지관리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김현진 2024-09-27 14:4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그 처럼 유사한 행위에 대한 유사한 대응은 많은 과탐을 낳지는 않을까요? 그리고 제가 해커라면 정상적 행위에 이와 유사하나 한두개의 결정적 침해행위를 교묘하게 끼워 넣을 것 같은데, AI를 잘 아는 해커에게 AI의 방어는 오히려 쉬운 타켓이 될 위험은 없을까요?

이용석 2024-09-27 14:4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I 해커들의 공격 패턴을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른바 의도 사전 탐지 추출 방어 방법 같은 것들이 있을까요?

임근식 2024-09-27 14:4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GLIMPS 플랫폼의 탐지 그래프 및 분석 기능을 좀더 살펴보고 싶습니다. https://register.ggp.glimps.ca/ 이 주소가 공식 사이트 맞는지요? 프랑스언어와 영어만 지원하고 있는데, 한국어도 추가 지원 예정에 계획이 있는지요?

임근식 2024-09-27 14:46
A

https://www.glimps.re/en/ 입니다. 현재 한국 파트너 페이지는 다온기술에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고성종 2024-09-27 14:48
A

네. 정보 감사합니다.

임근식 2024-09-27 14:49
A

고성종 2024-09-27 14:48
A

고성종 2024-09-27 14:48
A

고성종 2024-09-27 14:48
A

고성종 2024-09-27 14:49
Q

[질문] AI 기반 악성코드 분석에서 정적 및 동적 분석의 차이점과 각각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김인섭 2024-09-27 14:46
A

AI기반 악성코드 분석 솔루션은 별도의 업데이트가 없어도 악성코드의 신/변종 탐지에 유효합니다. 또한 빠른 응답이 가능합니다.

고성종 2024-09-28 18:18
Q

[질문] AI는 방어에 대한 주요 방식이 화이트 리스트 방법인가요? 아니면 블랙 리스트 방법인가요? 경계선에 있는 문제점은 어떻게 해결하나요?

조한나 2024-09-27 14:4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재민아이로 악성코드를 대응할때 정책 및 동책 분석이 함께 가능한지요 ?

윤성원 2024-09-27 14:46
A

Gemini pro 1.5의 경우 파일을 리버싱하여 분석하게 한 내용으로 동적 분석이라고 하긴 어려울꺼같네요.

고성종 2024-09-28 18:19
Q

[질문] AI가 사용된 사이버 공격에서 자율 시스템의 역할은 무엇이며 이로 인해 공격의 자동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요?

신익주 2024-09-27 14:4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GLIMPS 플랫폼에 대한 탐지 결과 및 침해 대응에 대한 품질 측정 및 정확도 등을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가요?

주영선 2024-09-27 14:44
A

GLIMPS의 경우 파일에 대한 분석을 악성/의심스러움/정상으로 제공하며 각각 모든 현황은 통계관리가 가능합니다. 더불어 정확도 향상을 위한 Custom Yara Rule등을 추가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탐지 엔진을 학습시키는 형태는 아닙니다.

고성종 2024-09-28 18:20
Q

[질문] 기존의 전통적인 보안 방식과 AI 기반 보안 방식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융합할 수 있을까요?

임근식 2024-09-27 14:4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최근 AI가 적용된 사이버 공격의 사례에서 사용된 알고리즘 유형은 무엇이며 그로 인해 공격의 성공률이 어떻게 향상되었는지 궁금하네요?

김홍식 2024-09-27 14:4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인텔리전스 제품이 시중에 너무 많고 해커들도 인텔리젼스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아는데 인텔리전스 선택시 어떤점을 최대로 고려해야 하는지요 ?

윤성원 2024-09-27 14:43
A

우선 조직의 목표가 가장 중요합니다. 비용적인 한계도 있죠. 따라서 정확한 도입목적을 설정하고 그에 맞는 인텔리전스를 예산수준안에서 구매하시는것이 필요합니다.

고성종 2024-09-28 18:22
Q

[질문] AI 해커들이 활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AI 도구들의 위험성과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요? 예를 들어 어제 메타 회사가 오픈소스이면서 무제한으로 자유롭게 사용가능한 Llama 3.2를 공개하였습니다. AI 해커들이 이런 공개 모데들을 악용하는게 더 급증할거 같아서 궁금합니다.

임근식 2024-09-27 14:4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방어자의 반격이란 말이 재미있으면서도 도전과 대응이라는 일반 개념으로 생각허면 방패공격이란 말 처럼 잘 이해되지 않는데, 오히려 AI를 화이트햇 해커, 즉 레드팀으로 두고 전문가들이 이를 방어하는 방식이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요?

이용석 2024-09-27 14:41
A

취약점 식별 자동화로 보안 위협을 예측하는 AI 시스템 개발이 한창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진행되고 있는걸로 알지만 아직은 시험단계인 상황으로 제한적으로 활용하기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고민하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고성종 2024-09-28 18:26
Q

[질문] AI의 발전이 개인정보 보호 법규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들이 따라야 할 규제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신홍동 2024-09-27 14:40
A

재미있는 질문같습니다. 최근에 USENIX Security 학회 키노트를 보니까, 기술적 대응이 사실 한계가 있어서, 디지털 범죄에 대한 세계 적 동참과 표준적 국제 디지털 범죄 대응 정책들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임근식 2024-09-27 14:41
Q

[질문]AI 해커 시대에 공격자는 새로운 공격 코드와 방안을 쉽게 접근하고 가공이 가능한데 비하여, 방어자의 가시성 확보와 새로운 공격 코드에 대한 분석의 어려움이 예상되는데요. AI 해커 시대에 보안 담당자의 방어 정책과 보안 방향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요?

지정호 2024-09-27 14:40
A

아직 AI해커는 제한적입니다. 때문에 AI해커를 상정하여 정책과 방향을 잡기보다는 발전방향에 따른 정책과 방향설정이 필요할꺼 같습니다.

고성종 2024-09-28 18:27
Q

[질문] 최근에 한국에서 유독 심각했었던 AI를 이용한 사회공학적 공격(예: 딥페이크)에 대한 대응 방안은 무엇이 있을까요?

임근식 2024-09-27 14:4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산업 사례가 뭐가있을까요

김철 2024-09-27 14:4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