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생성형 AI의 주요 보안 취약점은 무엇이며, 넷스코프는 이를 어떻게 대응하는지 궁금합니다

조한나 2024-11-06 14:1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클라우드 환경에서 생성형AI 도입을 검토 중인데요, CSP/MSP 사업자가 보안에 대해서 고민해야지, 사용자인 우리가 직접 보안솔루션 또는 넷스코프의 솔루션을 검토해야 하나요?

정종민 2024-11-06 14:15
A

네. Netskope는 자체 NS Cloud를 보유하고 있으며, CSP/MSP에서 제공하는 보안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넷스코프 담당자 2024-11-06 14:34
Q

[질문]생성형 AI 포함한 앱에 대한 위험성과 취약점에 대한 검사와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은 어떻게 되는지요? 생성형 AI SaaS 앱에 대한 보안은 앱과 인프라 보안 취약점이 어느 것이 더 위험성이 높은지요?

지정호 2024-11-06 14:1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넷스코프가 제공하는 안전한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 기능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양성필 2024-11-06 14:1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데이터 보호를 위해 이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에 공격 대비 효과가 어느 정도 되는지요? 그리고, 현재 어느 분야에 도입되어 있는지 사례가 있습니까?

김정민 2024-11-06 14:12
A

공격방어 효과를 말씁드리기는 어렵습니다. 공격방어 외 유출방지 등의 효과도 동반합니다. 글로벌 레퍼런스는 다양한 분야를 보유 중입니다.

넷스코프 담당자 2024-11-06 14:26
Q

(질문) 실제 탐지된 위협은 어떤 것이 있었는지와 어떻게 조치가 되었는지 궁금하고 보안정책생성 대응의 경우 사전정의된 기준으로만 해주는 건지 서비스를 디플로이 하면 서버환경을 분석하고 보안정책을 생성시켜 주는지 궁금합니다.

강덕진 2024-11-06 14:11
A

탐지 된 위협 또는 허용되지 않은 User의 Action에 대해서는 사전 정의된 정책을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정책을 자동으로 생성해주지는 않지만, 넷스코프는 Shadow app 탐지, User Activity event의 가시화를 지원해 정책 생성을 위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고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넷스코프 담당자 2024-11-06 14:23
Q

[질문]관리자가 편리하게 구성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식으로 SSE를 구현이 가능한지와 구성되는 콘솔의 수는 어느정도인지요

양재영 2024-11-06 14:10
A

넷스코프는 단일 콘솔에서 모든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Advanced Analytics 기능의 커스터마이즈를 통해 보안 대시보드 및 고객 특성에 맞는 report 자동화 구현이 가능합니다.

넷스코프 담당자 2024-11-06 14:18
Q

[질문]기업이 보안정책을 여러 채널에 걸쳐 동일한 규칙을 손쉽게 적용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4-11-06 14:09
A

IDaaS에서 제공하는 User Group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정책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넷스코프의 단일 콘솔을 통해 정책 세분화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넷스코프 담당자 2024-11-06 14:16
Q

[질문] 기업의 클라우드 보안에서 가장 먼저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무엇인가요?

양성필 2024-11-06 14:0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신규 변종 랜섬웨어들이 VPN 취약점, 원도우 서버, RDP를 통하여 기업 네트워크로 침입하고 첨부 파일 피싱, 악성 파일 다운로드로 감염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사전 탐지와 대응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정민 2024-11-06 14:08
A

Data-in-transmit을 담당하는 Realtime Protection, Data-at-rest를 담당하는 API 기반 Protection을 통해 문의 주신 위협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좀더 상세한 내용은 메일로 문의 주시면 회신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넷스코프 담당자 2024-11-06 14:14
Q

[질문] 국내 조립산업 형태의 제조업에 대한 선진 도입 사례에 대해 알려주실 수 있나요? 추가로, 도입시 어떤 효과를 가장 빠르게 얻을 수 있나요?

이재학 2024-11-06 14:0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넷스코프 솔루션을 기반으로 Single Sign-On 보안 환경을 구축할 경우, SaaS와 온프레미스 앱 모두에 대한 ID 및 액세스 관리는 어떤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이 좋을까요?

임종택 2024-11-06 14:07
A

기본으로는 Okta, MS EntraID 같은 IDaaS 서비스를 사용하시되, netskope 클라이언트가 Reverse, Forward SSO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넷스코프 담당자 2024-11-06 14:10
Q

(질문) 이상 동작이 발생할 경우 스스로 탐지 보완하는 기능을 위해 AI 기반 룰셋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어느 수준까지 능동적으로 지원이 가능한가요?

강덕진 2024-11-06 14:07
A

문의 주신 이상 동작은 연속적인 User의 action을 평가하여 Scoring을 제공하는 UBA 기능을 통해 동적인 정책 적용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메일 문의 주시면 회신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넷스코프 담당자 2024-11-06 14:09
Q

[질문] 기업이 생성형AI를 사용시 기업보안 유출을 우려하는데, 넷스코프에서는 이에 대한 어떤 대응방안을 제공하나요?

임종택 2024-11-06 14:04
A

오늘 웨비나에서 소개드릴 내용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그 방안으로는 SaaS 앱 평가, 가시성 제공, RBI, 인스턴스를 구분하는 CASB, Forensic, 사용자 행위분석 등이 있습니다.

넷스코프 담당자 2024-11-06 14:06
Q

[질문] 연계를 통한 래거시 시스템의 인사 데이터 사용 이외에, 고객별 특화 레포트 같은 각사 영역의 개발은 SaaS 환경에서 어떻게 가능할까요?

이재현 2024-10-29 15:00
A

넵 온보딩시 특화개발 진행으로 가능합니다.

LG CNS 담당자 2024-10-29 15:02
Q

[질문] 최근 싱글렉스 인사 회계를 요청하는 고객사 중 비중이 큰폭으로 증가한 산업분야는 무엇인가요?

주영선 2024-10-29 14:59
A

특정 산업에 국한되어 있는것 같지는 않습니다. ^^ 매출이 좋아 지시면 부르시더라고요

LG CNS 담당자 2024-10-29 15:03
A

제조/서비스/통신 등 다양한 고객들이 사용합니다.

LG CNS 담당자 2024-10-29 15:04
Q

[질문] 직원들의 경비나 인사 문의시 챗봇이 자동 응답 처리도 가능한가요? 대체로 기존 이용 기업에서 가장 많은 니즈가 있었던 문의 유형은 무엇이었나요?

조한나 2024-10-29 14:58
A

유상 서비스 영역이며 보통은 연말정산 등 반복되는 업무에 많이 사용하십니다.

LG CNS 담당자 2024-10-29 15:04
Q

[질문] Singlex 활용 기업들에서는 영수증을 종이에 붙여 제출하는 일이 없는지 없다면 관련 과정은 어떤 다른 과정으로 대체되는지 궁금합니다.

전영진 2024-10-29 14:57
A

전자증빙이 인정되는 법인카드 사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영수증의 경우 스캔 후, 파일을 전표에 첨부하는 추세입니다.

LG CNS 담당자 2024-10-29 15:06
Q

[질문] Singlex에 LG CNS의 DX 역량도 반영되어 있다고 하셨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입 기업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전영진 2024-10-29 14:5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평균 도입 및 구축하여 운영을 하기 위한 기간이 얼마나 소요되는지 궁금합니다

조한나 2024-10-29 14:5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