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암호가 걸려있는 문서도 다 해당되는건가요?

남광진 2024-09-10 14:24
A

문서를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지원이 가능합니다. 즉, 문서 전달시 암호를 같이 전달 할 수 있는 형태면 가능합니다.

지란지교시큐리티 담당자 2024-09-10 14:58
Q

[질문] 데스크탑이 아닌 회사 VDI 서버를 통해 업무를 진행하는 경우에 CDR 이 동작할 수 있나요?

권영호 2024-09-10 14:24
A

네. 가능합니다.

지란지교시큐리티 담당자 2024-09-10 14:27
Q

(질문) 문서를 열기전 검사하고 재조합하는 시간은 어느 정도 인가요 .

진순환 2024-09-10 14:24
A

문서를 검사하고 재구성하는 전체 무해화 시간은 시스템 성능에 따라 다르지만, 권장 시스템 기준으로 평균적으로 1초에 약 5개의 문서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지란지교시큐리티 담당자 2024-09-10 14:26
A

시스템 성능이라 하면 cdr 솔루션 설치된 서버를 말하는 건지요

진순환 2024-09-10 14:28
A

문서별, 문서에 포함된 내용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의 시간은 내부에서 성능테스트를 위해 생성한 샘플 처리시간이므로 참고바랍니다.

지란지교시큐리티 담당자 2024-09-10 14:27
Q

[질문] 지란지교는 무슨 의미인가요? 보안과 관련이 있는 의미인가요?

이남진 2024-09-10 14:2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시중에 CDR 기술을 이용하는 개발사는 없나요?

이남진 2024-09-10 14: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CDR 기술이 모든 형태의 문서 기반 공격을 100% 차단할 수 있는지 혹은 어떤 한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신홍동 2024-09-10 14: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문서형 랜섬웨어 탐지 솔루션은 기존 안티바이러스와 무엇이 달라서 문서형 랜섬웨어를 탐지할 수 있는 것인지 그리고 문서형 랜섬웨어 탐지 솔루션은 기존 안티바이러스가 탐지할 수 있는 모든 멀웨어를 탐지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전영진 2024-09-10 14: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사용자가 많을떄 서버에 과부화가 발생하지 않을까요 ?

서현호 2024-09-10 14:2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문서의 변조 없이 원본성을 유지한 채로 CDR 기술을 적용하는 데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요?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있나요?

김인섭 2024-09-10 14:2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파일이 있거나 없거나 이를 침해하는 멜웨어를 포함한 보안 위협에 대한 예방과 보호가 되어야 하는데 요즘은 내장파일이나 함수를 사용해서 공격하는 파워셀공격이 많은데 이런 공격도 방어가 가능한지요?

김진수 2024-09-10 14:2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타 보안 솔루션 대비 차별화 된점은 무엇이고 현재 보안관리 시장에서 점유율은 어느정도 되는지요?

이남진 2024-09-10 14:2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취약점 분석을 하다보면 XSS(Cross-Site Scripting)와 같이,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일어나는 취약점으로 관리자가 아닌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스크립트를 삽입할 수 있는 Hole이 발생하는데, 이런 위험을 차단 할 수도 있는지요?

김정민 2024-09-10 14:19
A

CDR은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대비라기 보다는 문서 파일의 액티브 컨텐츠 오염에 따른 위험을 차단하는 기능입니다.

지란지교시큐리티 담당자 2024-09-10 14:25
Q

[질문] 서버 용량에 관계없이 동일한 보안관리가 이루어지나요?

이남진 2024-09-10 14:19
A

디스크 용량은 일정 정도 추가 용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원본 + (무해화가 필요한 경우) 무해화 된 파일 보관 등의 추가 용량이 필요 합니다. 서버 CPU/MEM 등의 리소스도 일부 추가 사용이 있습니다.

지란지교시큐리티 담당자 2024-09-10 14:30
Q

[질문] 문서형 악성코드가 기업 네트워크 내부에 침투했을 때 일반적인 대응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이때 시간적 비용은 어느 정도 발생하나요?

신익주 2024-09-10 14:1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워드나 한글 파일이 예전에는 doc, hwp 였는데요. 요즘은 docx, hwpx 로 변경되는 추세 입니다. 이런경우 문서가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는게 되는건가요?

김록환 2024-09-10 14:19
A

과거의 파일 형식(doc, hwp)뿐만 아니라, 최신 파일 형식(docx, hwpx)에도 매크로, 링크, 첨부파일과 같은 액티브 콘텐츠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특히, 악의적인 공격은 오히려 이전 파일 형식을 통해 더욱 많이 유포될 수 있습니다.

지란지교시큐리티 담당자 2024-09-10 14:23
Q

[질문] 문서형 악성파일이 가장 문제가 되는 이유는 무엇이고, 문서 외형이나 확장자 등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특징은 무엇인가요?

조한나 2024-09-10 14:19
A

질문 주신 내용처럼 문서 외형이나 확장자, 문서 본문 등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입니다.

지란지교시큐리티 담당자 2024-09-10 14:36
Q

[질문] 문서형 랜섬웨어 공격을 탐지하는 기존 보안 솔루션과 비교했을 때, CDR 기술은 어떤 차별점을 제공하나요?

김홍식 2024-09-10 14:19
A

시그니처 기반의 탐지가 아닌 문서에 포함된 모든 액티브 컨텐츠를 제거하므로 처리 속도가 단축됩니다. 액티브 컨텐츠 제거 후 재조합 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차단 방식이 아니므로 업무의 연속성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지란지교시큐리티 담당자 2024-09-10 14:34
Q

[질문] 네이버나 다음, 구글 등의 대용량 메일서비스 링크에 포함된 자료도 악성코드의 위험이 있나요?

권영호 2024-09-10 14:1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일반적인 문서 파일이 아닌 도면 파일이나 특수 목적으로 만든 파일에 대한 차단도 가능한가요? 그리고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지란지교의 솔루션이 사용되고 있는 사례가 있나요?

김광종 2024-09-10 14:17
A

도면파일 무해화 기술은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중입니다.

지란지교시큐리티 담당자 2024-09-10 14:27
Q

[질문] 잠복성, 문서속 악성코를 샌드박스 기술로도 잡은수 없는지요?

양승립 2024-09-10 14:17
A

샌드박스 기반에서는 탐지가 제한적이며, 원천 방지는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

지란지교시큐리티 담당자 2024-09-10 1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