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먼저 비정규화된 자산에 대한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이에 대해 측정 가능한 단위로 기준을 수립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나우가 제공하는 OOTB 워크플로우를 사용하거나 고객사에 맞는 워크플로우를 개발하여 적용가능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컨텐츠가 하나의 자산으로 관리되어야하는 경우라면, 그 정책을 수립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서비스나우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스토리지의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서비스나우는 SaaS 서비스입니다. SaaS는 백업, 장애복구, 시스템 유지보수, 데이터 보호(물리적) 등에 대해 서비스나우가 책임지는 구조입니다. AI의 기능은 별도의 전담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므로 성능 이슈도 서비스나우가 책임을 집니다.
지금 발표자 분이 직접 답변 중입니다. :)
서비스나우 홈페이지 (www.servicenow.com) 또는 유투브에서 ServiceNow 로 검색하시면 다양한 데모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servicenow.com/kr/search-result.html?q=%EB%8D%B0%EB%AA%A8&p=1 가입/로그인 후 여러 데모 확인 가능하세요. 서비스나우 홈페이지에서 검색창에 "데모"로 검색한 결과 입니다.
아닙니다. 서비스나우는 language pack 설치를 통해 22개 국어를 지원하고 있으며, 당연히 한글도 지원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주 1회 업데이트 되는 Contents Library 를 통해서 자산 변경에 대한 라이선스 관리가 가능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서비스나우가 제공하는 Workflow와 함께 Automation Engine 이라는 솔루션 구매를 통해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RPA 기능도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서비스나우는 Support Center를 통해 24 x 7 으로 기술 지원이 가능합니다. 긴급한 티켓의 경우, Escalation을 통해 보다 빠르게 지원 받으실 수 있으며, 서비스 지원 범위에 따라 전담 인력이 배치될 수도 있습니다.
서비스나우는 SaaS 서비스를 두개의 Data Center 에서 Active-Active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어 하나의 Data Center 에서 장애가 발생하고 다른 Data Center에서 연결하여 서비스가 이루어 집니다. 그리고 SaaS 서비스를 운영하는 인력과 기술지원하는 인력이 24*7*365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이 기능은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