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이번처럼 글로벌 보안사태에 책임은 어떻게 지게 되며, 실제 피해를 얻은 기업들과 고객들이 손해보상을 받을 방안은 있나요?

주영선 2024-07-26 14:21
A

피해에 대한 정확한 산정이 어려워 손해배상이 제대로 이루어질지는 미지수이긴 합니다. 아마도 미국내에서 만큼은 많은 소송이 뒤따르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4-07-27 11:18
Q

[질문] 데이터 보호 및 재해복구를 꼭 온사이트에 백업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는데, 바로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백업하고, 클라우드로 워크로드를 복원하는방안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이런 경우, 고려해야할 사항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장혁수 2024-07-26 14:2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사이버보안 회사의 M&A를 통한 보안 이슈헤결 노하우와 차별화 전략사례가 궁금합니다

전승호 2024-07-26 14:2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그럼 결국 저 화일이 kernel mode로만 작동되지 않았다면 일반 Application의 overflow 에 대한 exception 발생으로 해당 application만 termination 될 수 있었던 상황이었던 건가요?

이형준 2024-07-26 14:19
A

결과적으로 커널모드에서 동작해야하는 파일이라 이야기하신 상황으로 가긴 어려웠다고 보입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4-07-27 11:17
Q

[질문]현재 업계 동향 및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주창원 2024-07-26 14:1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Crowdstrike와 Microsoft의 사건에서 보안 인프라의 취약점이 드러났다면, 그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요?

신홍동 2024-07-26 14:1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각종 랜섬웨어나 해킹 공격에 대한 대응 솔루션은 어떻게 되는지요?

장혁수 2024-07-26 14:1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플랫폼 담당자 부재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긴급상황에 대해선 어떻게 대응할 수 있나요?

장혁수 2024-07-26 14:1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플랫폼 버전 업그레이드나 마이그레이션시 발생할 수 있는 S/W적인 오류나 사고가 발생할 때 긴급대응 방안이 있는지요?

장혁수 2024-07-26 14:1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유사한 사건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보안정책 또는 가이드라인은 무엇인가요?

김인섭 2024-07-26 14:1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금번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사태와 같은 문제는 기술적 한계인가요? 아니면 인재 인가요? AI 자동화와 지능화로 금번과 같은 사례의 재발을 맞을 수 있는지요?

주영선 2024-07-26 14:1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CVM 컨트롤러의 장애 발생 시, 장애 모니터링과 CVM의 장애 유형에 따른 복구는 어떻게 진행되는지요?(예:물리적이 컨트롤러 장애, CVM 병령 처리 장애 발생 유형 등)

장혁수 2024-07-26 14:1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보안 위협은 무엇이며, 이러한 위협을 예방하기 위해 조직이 취해야 할 구체적인 보안 조치는 무엇인가요?

이장하 2024-07-26 14:16
A

구글 클라우드에서 2024년 1월에 발생한 Cloud CISO Perspectives: 2024년 사이버 보안 전망 보고서 참고해보시면 좋을꺼 같습니다. 링크 남겨 드립니다. https://cloud.google.com/blog/ko/products/identity-security/cloud-ciso-perspectives-our-2024-cybersecurity-forecast-report

다온기술_고성종 2024-07-27 11:16
Q

[질문] 이번 사태를 통해 기존 보안정책의 어떤 부분이 미흡했는지 알게 되었나요?

김인섭 2024-07-26 14:1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보안 이벤트 발생시 개별 이벤트별로 이상치를 스스로 탐지 보완하는 기능을 위해 AI 기반 보안 룰셋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어느 수준까지 능동적으로 지원하나요?

이경석 2024-07-26 14:14
A

다온기술에서 파트너로써 제공하는 Google Cloud의 SecOps가 관련 사항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제품에 대한 문의가 있으신경우 www.daont.co.kr로 들어오셔서 문의하기에 내용 남겨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4-07-27 11:14
Q

[질문] MS 클라우드 환경에서 HA DR 구성 시, 오라클 DB 사전 중요 작업과 유의 사항은 무엇인지요? 클라우드로 DR 구성에 따른 장애 발생에 따른 DR 복구 소요 시간은 어떻게 되며, DB 손실율은 얼마나 되는지요?

장혁수 2024-07-26 14:1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관련 질문과 유사한 질문인데요. 멀티 클라우드의 경우, Azure도 이용하고 MS도, AWS도 이용하지만 Azure 부분과 MS 부분이 직접적으로는 서로 무관하게 운영되는 경우에는 멀티 클라우드를 이용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을까요? 멀티 클라우드를 제대로 이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장혁수 2024-07-26 14:1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초기 대응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이었나요?

신익주 2024-07-26 14:13
A

초기 대응과정에서 자동화된 대응이 아닌 메뉴얼한 대응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다보니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당한 지연이 있었던것도 사실인거 같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4-07-27 11:11
Q

[질문] AI를 활용한 해킹 대응 방법에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그리고 다온기술은 미래의 사이버 보안에 대한 전략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이장하 2024-07-26 14:12
A

다온기술에서 파트너로써 제공하는 Google Cloud의 SecOps가 관련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제품에 대한 문의가 있으신경우 www.daont.co.kr로 들어오셔서 문의하기에 내용 남겨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4-07-27 11:13
Q

(질문)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보안패치가 최근 문제가 컸습니다 WIN10에서 발생했다고하는데 클라우드 서버는 WIN10이 아닌 다른 OS를 사용할텐데 그러면 OS문제는 아닐수도 있을듯 합니다. 우리나라도 예전 자동V3배포시에도 대규모 바이러스가 유포되었는데... 클라우드 대란의 근본 원인은 무엇을 예상하는지요?

양승립 2024-07-26 14:1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