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생성형 ai를 파인튜인 할때 요즘은 RAG가 필요수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런 파인튜인을 위해서 인프라의 소모가 많는데 구글의 생성형 ai는 별도의 파인튜닝이 불필요한 것인지요?

윤성원 2024-03-28 14:32
A

LLM 도입을 고려하시는 부분이 어떤 분야일지에 대해서 알면 더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질문에 대해서 답변을 드리자면, LLM을 튜닝하는 과정에서 RAG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RAG는 LLM을 통해서 답변을 도출해내는 과정에 필요한 기술이라고 봐주시면 됩니다. 구글의 생성형 AI도 데이터에 따라서, 또 도입 방법과 목적에 따라서 파인튜닝을 사용할 수 있다고 봐주시면 됩니다.

클루커스 담당자 2024-03-28 15:22
Q

[질문] 데이터 전처리 용 생성형 AI 도 개발이 가능할까요? 데이터 전처리가 생각보다 어렵더라구요..

전지현 2024-03-28 14:32
A

전처리를 원하시는 데이터에 따라 달라집니다. 클루커스에 문의주시면 귀사의 상황을 좀 더 상세히 파악하고 제안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클루커스 담당자 2024-03-28 14:53
Q

[질문] 계속 MS 애저 MSP 파트너 역할에 집중 하시나요?

최정은 2024-03-28 14:32
A

안녕하세요 클루커스는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Naver Cloud, AWS 모두 공식 파트너사로 멀티 클라우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클루커스_마케팅 2024-03-28 14:33
Q

[질문] vertex AI studio에서 서드파티 LLM이나 API를 연계하는 개발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이 경우 구글이 부과하는 비용체계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박일규 2024-03-28 14:31
A

사용자는 custom model을 등록하거나 외부 API를 호출하여 개발을 할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GCP에서는 GCP 서비스 사용비용 외에는 부가하는 비용이 없으며, 서드파티 LLM 혹은 API 제공사에서 요구하는 비용은 별도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클루커스 담당자 2024-03-28 14:50
Q

[질문]선의의 국가에서 생성형 AI활용을 하면 뭐 걱정은 안되지만, 악의적인 국가에서 활용한다면 위협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위험한 측면도 있는데요 한 말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종원 2024-03-28 14:2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생성형 AI에서 정형 데이터는 어느 정도 처리경험과 검증이 된 반면 비정형데이터는 상대적으로 그렇지 않은데 정형데이터와 비정형데이터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 어떤 방식으로 처리 되는지요?

강덕진 2024-03-28 14:29
A

정형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 ReAct를 활용하여 LLM에서 정형과 비정형을 분기하여 처리 가능합니다.

클루커스 담당자 2024-03-28 14:51
Q

[질문] CSP 와 MSP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김현민 2024-03-28 14:29
A

CSP는 Cloud Service Provider의 약자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말하고, MSP는 Managed Service Provider의 약자로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입니다. 클루커스는 MSP로서 클라우드 제품을 구축 및 전환, 운영을 지원합니다.

클루커스_마케팅 2024-03-28 14:32
Q

[질문] 생성AI의 제안이나 결과물이 비슷한 쿼리에 대해 어느 정도 편차를 가지는지 궁금합니다. 유사 쿼리에서도 다양성이 큰 결과물을 얻기 위한 방법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외에 시스템적인 설정 같은게 가능한지요

박일규 2024-03-28 14:28
A

DB에 질문을 하는 부분을 말씀하신 것을 기준으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쿼리를 하기 위해서는 테이블에 대한 정보와 스키마에 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런 데이터가 충분할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퀄리티가 나오고 있습니다. 시스템 설정에 대한 부분은 답변에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클루커스에 문의 주시면 답변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클루커스 담당자 2024-03-28 14:50
Q

[질문]생성형 AI를 통하여 시간과 비용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요. 기업에서 개발자 인원을 많이 채용하지 않고도 그 인원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지요?

한종원 2024-03-28 14:26
A

정확하게는 '인원을 대체한다'라는 느낌보다는 기존에 있던 인원들의 효율성이 올라가서, 더 많은 업무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고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클루커스 담당자 2024-03-28 14:46
Q

(질문) AI활용에 있어서 데이터 분석은 비즈니스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이 많습니다. 방대한 데이터를 정제해서 분석과 모델링이 가능토록 운영하고 유지보수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이런 측면에서 어떻게 이런 고민들을 해결해줄 수있는 솔루션을 제공해주는지 궁금합니다

이경석 2024-03-28 14:26
A

구축된 서비스의 유지관리를 고려하신다면 클루커스의 MSP서비스를 사용해보세요. 클루커스의 전문적인 기술력으로 귀사의 자산을 유지관리 할 수 있습니다. 최대 24/7로 대비하여 귀사가 보유한 서비스의 원활한 업무를 지원합니다.

클루커스 담당자 2024-03-28 14:46
Q

[질문] 최근 오픈소스 LLM들의 사이즈와 성능이 빠르게 개선되면서 구글이나 MS가 제공하는 상용 서비스를 놓고 선택을 고민하는 엔터프라이즈가 많은거 같습니다. 옵션에 따른 장단점과 비용 대비 효과 관점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클루커스 의견이 궁금합니다.

박일규 2024-03-28 14:25
A

구글에 장점에 대해서만 말씀 드리자면, 비용 처리가 Open AI는 토큰 기반이고 구글클라우드는 글자 수(캐릭터)기반입니다. 한글이 영어에 비해서 1.5-3배 정도 토큰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한글 데이터의 경우에는 구글 클라우드가 비용적으로 저렴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답변을 생성하는 속도가 비교적 빠른 편이고, 가장 최근에 있는 데이터까지 학습이 되었습니다. 관련하여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시다면 클루커스에 문의 부탁드리겠습니다.

클루커스 담당자 2024-03-28 14:44
Q

[질문]현재 업계 동향 및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주창원 2024-03-28 14:2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글루커스의 클라우드분석플랫폼이 전처리단계에 집중하는데 다양한 종류의 raw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자동화하여 전처리하는게 어떻게 가능한지와 타사 솔루션과 비교우위등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4-03-28 14:2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구글 클라우드를 사용하지 않는 회사일경우(Azure같은 ) 타클라우드에서 API를 통해 구글 AI를 사용할수 있을까요?

윤대섭 2024-03-28 14:23
A

구글 클라우드에 결제 계정을 연결하시면 API를 호출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글 클라우드 말고도 Google AI에서 API키를 발급 받아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Chat GPT에서 API키를 발급 받는 것과 같은 방식입니다.)

클루커스 담당자 2024-03-28 14:41
Q

[질문] Gemma를 다운로드해서 사용할 경우 가장 필요한 인프라는 역시 gpu 성능인지 아니 요즘 cpu, gpu를 대체하려고 나오는 npu 가 있는데 npu의 성능을 강화하면서도 Gemma 사용이 가능한지요? 또 이때 기본적인 최소사양은 어느정도인지요?

윤성원 2024-03-28 14:2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챗GPT 가 나오면서 관심도가 엄청 올랐는데 이후 클라우드 시장 흐름은 어떻게 될까요?

최정은 2024-03-28 14:2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전 세계 AI 시장 규모는 어느 정도이며 예측 성장률은 얼마인가요?

김현민 2024-03-28 14:2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많은 엔터프라이즈들이 보안 이슈 때문에 자체 LLM 도입을 선호하거나 로컬에서 호스팅할 수 있는 상용 서비스 모델을 찾는데 구글의 Gemini 모델에도 이런 니즈를 충족하는 옵션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클루커스에서는 이런 니즈를 가진 엔터프라이즈에게 어떤 제안을 하시는지요

박일규 2024-03-28 14:22
A

웹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인 Gemini는 public하게 제공되지만, Gemini가 사용하는 LLM모델은 엔터프라이즈에서 private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귀사의 데이터와 Google의 LLM모델을 사용하여 private한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된 귀사의 데이터는 Google의 LLM모델 개선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목표하시는 내용에 따라 제안드릴 수 있는 내용이 다르기에 저희 클루커스에 문의주시면 귀사의 상황에 맞는 솔루션을 제안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클루커스 담당자 2024-03-28 14:44
Q

[질문]생성형 AI는 사람이 요구하는 것을 만들어 주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요. 사람이 필요한 것을 미리 알고 그에 따른 대응 서비스도 가능할까요? 예를 들어서 자녀가 개인적으로 필요한 것을 구입하고 싶지만 쉽게 말하기가 어려운데 부모가 그것을 감지하여 구입을 하여 준다거나 용돈을 주는 형식 말입니다.

한종원 2024-03-28 14:2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구글 생성형AI서비스는 일반적으로 SaaS로 제공되는거 같은데, 생성AI 도입을 추진하는 엔터프라이즈에게 클루커스가 기여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어떤 전문기술이나 솔루션을 갖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박일규 2024-03-28 14:20
A

클루커스는 고객의 생성형 AI 도입을 지원하기 위해 전문 AI 그룹과 GCP 그룹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니즈와 거버넌스 요구사항을 충족시켜, 생성형 AI 도입을 돕고 있습니다.

클루커스 담당자 2024-03-28 1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