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DDos 공격은 해킹 칼리리눅스를 설치해서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쉽게 할수 있는 공격이고 툴들이 위치까지 숨기고 또 초당 트래픽도 자동으로 조정하는 공격으로 참 막기어 어려운 공격중 하나인것으로 판단되어 사전 예방이 최고일듯한데 예지보전방법과 사후대처 방안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윤성원 2024-02-20 14:06
A

DDoS 공격을 사전에 방어하는 방법은 내부 자체 방어 솔루션을 도입하거나 방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와 협업하는 것입니다. 대규모의 DDoS 공격이 발생하게 되면 내부 traffic 용량으로는 방어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충분한 대역폭을 가지고 있는 솔루션 업체와 같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DDoS의 사후대처는 공격되었던 패턴을 분석하여 차단정책을 업데이트하고 실제 공격에 사용된 IP를 확보하여 차단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source IP는 위조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IP 위변조 여부도 확인해야 합니다. DDoS 사후 대처는 방어가 성공적으로 진행된 후 진행되는 이후 공격에 대한 가능성을 줄이는 것입니다. DDoS 공격으로 피해를 당한 이후에는 사후 대처라는 의미가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코어코리아 담당자 2024-02-21 09:35
Q

[질문] AI를 활용한 내부 정보 유출 탐지 사례와 침해사고 선제적 대응을 위한 방법론에 대해 설명 부탁 드립니다.

양성필 2024-02-20 14:0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매년 디도스 공격량은 증가하는 추세인가요? 그렇다면 얼만큼의 규모인지요?

최정은 2024-02-20 14:03
A

공격량은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웹 어플리케이션 공격의 경우, 21년 대비 96%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코어코리아 담당자 2024-02-20 14:13
Q

[질문] DoS와 DDoS 공격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김현민 2024-02-20 14:03
A

서비스 거부 공격을 수행하는 개체가 하나 또는 여러 개로 분산되어 있는지 여부가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코어코리아 담당자 2024-02-20 14:09
Q

[질문] 일반적으로 DDoS 공격이 들어오면 일반적인 DDos 방어 솔루션으로 막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데, 현재 지코어 솔루션의 경우 최대 방어할 수 있는 DDos 트래픽은 어느정도 인가요?

임종택 2024-02-20 14:03
A

저희 Gcore의 방어용량은 현재 110Tbps 입니다. 최대 공격 완화 용량은 1.4Tbps 입니다. 세부사항은 저희 Gcore 홈페이지에 자세히 게시되어 있습니다.

지코어코리아 담당자 2024-02-20 14:07
A

참고하실 수 있는 지코어코리아 홈페이지 공유드립니다. https://gcore.com/ko/ddos-protection

지코어코리아 담당자 2024-02-20 14:08
Q

최대표님이 보신 CES2024에서 출시된 많은 기술 선도 적용 제품들이 향후 2~3년 후 시장 접근성이 가장 빠른 것은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대식 2024-02-07 15:1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헬스케어 분야에서 병원용으로 영상데이터에 AI를 적용한 암분석 진단 및 처방 분야에 사용하고 있는데, 개인용으로 예방차원에서 AI를 적용한 서비스들의 대표적인 케이스외 제품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김대식 2024-02-07 15:1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헬스케어의 기본은 웨어러블인 것 같은데, 저 같은 경우에는 와치든 링이든 뭔가를 차거나 끼는게 불편한데, 몸에 직접 착용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몸의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김광종 2024-02-07 15:0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워치를 통한 헬스관련 센서는 감도상의 이슈가 여전히 있습니다. 링의 경우는 더 사이즈가 작어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더 어렵지 않을까요?

권오철 2024-02-07 15:0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링이 스마트 와치를 대치하는 것이 아니라, MR, VR, AR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용도로 사용하려는 시도는 없나요?

이용석 2024-02-07 15:0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이번 cse에서생성a대세인데 비용이 만이들어가는데 어떻게 정부차원에서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서보영 2024-02-07 14:5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애플 vision pro가 진화하면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나오는 것처럼 간단한 안경만 쓰고도 허공에서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그래프를 보여주는게 가능할까요?

김광종 2024-02-07 14:4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애플 비전프로에 대한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거 같습니다. 현재 성능과 제품 가격이 대중화에 적합한 수준이라고 보시는지, 확산 임계점은 언제쯤 도래할 것으로 전망하시는지요

박일규 2024-02-07 14:4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pple Vision Pro에 대한 전망은 어떨 것이라 생각하세요? 정말 진정한 game changer 가 될까요? 아니면 비싸고 환상적이지만, 결국은 창고에 처박힐 무거운 HMD가 하나 더 나온 것인가요?

이용석 2024-02-07 14:4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생활 유용성과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메타버스 기술이 실생활 적용된 장치와 실사용되는 app 들은 어떤 분야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낼수 있을까요?

문태진 2024-02-07 14:4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CES2024에서 지향하는 생성형 AI를 통한 새로운 제품에 적용과 활용에 대한 가속화를 통해 고객, 시장의 새로운 요구 사항과 기업의 변화의 폭은 어떻게 보시는지요?

지정호 2024-02-07 14:4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삼성이 갤럭시 사용자 기반에, 가우스라는 인공지능 플랫폼을 탑재하기 시작했는데 이에 대한 시장반응이나 잠재력은 향후 글로벌 시장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거라고 보시는지요?

박일규 2024-02-07 14:4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모빌리티 관련해서 소프트웨어 말고 하드웨어적으로 획기적인 발표는 없었나요? 예를 들면 자동차라고 하면 기본적으로 떠올리는 이미지(바퀴가 달린 기계 장치?) 말고 비행 기능이 있다거나 강이나 바다에서도 운행할 수 있다거나 하는 것들..??

김광종 2024-02-07 14:4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테슬라의 태도에서 볼 수 있듯, 국제적 표준에 따른 platform이 아니라, 이미 자신들이 쥐고있는 시장지배력을 중심으로 독자 platform을 가져가고, 이를 defacto standard로 가져가려 할 것이라는 예측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형준 2024-02-07 14:4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I 관련 우리나라의 현위치와 경쟁력 강화 방안이 궁금합니다

전승호 2024-02-07 14:3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