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에 질문을 하는 부분을 말씀하신 것을 기준으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쿼리를 하기 위해서는 테이블에 대한 정보와 스키마에 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런 데이터가 충분할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퀄리티가 나오고 있습니다. 시스템 설정에 대한 부분은 답변에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클루커스에 문의 주시면 답변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정확하게는 '인원을 대체한다'라는 느낌보다는 기존에 있던 인원들의 효율성이 올라가서, 더 많은 업무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고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구축된 서비스의 유지관리를 고려하신다면 클루커스의 MSP서비스를 사용해보세요. 클루커스의 전문적인 기술력으로 귀사의 자산을 유지관리 할 수 있습니다. 최대 24/7로 대비하여 귀사가 보유한 서비스의 원활한 업무를 지원합니다.
구글에 장점에 대해서만 말씀 드리자면, 비용 처리가 Open AI는 토큰 기반이고 구글클라우드는 글자 수(캐릭터)기반입니다. 한글이 영어에 비해서 1.5-3배 정도 토큰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한글 데이터의 경우에는 구글 클라우드가 비용적으로 저렴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답변을 생성하는 속도가 비교적 빠른 편이고, 가장 최근에 있는 데이터까지 학습이 되었습니다. 관련하여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시다면 클루커스에 문의 부탁드리겠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구글 클라우드에 결제 계정을 연결하시면 API를 호출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글 클라우드 말고도 Google AI에서 API키를 발급 받아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Chat GPT에서 API키를 발급 받는 것과 같은 방식입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웹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인 Gemini는 public하게 제공되지만, Gemini가 사용하는 LLM모델은 엔터프라이즈에서 private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귀사의 데이터와 Google의 LLM모델을 사용하여 private한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된 귀사의 데이터는 Google의 LLM모델 개선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목표하시는 내용에 따라 제안드릴 수 있는 내용이 다르기에 저희 클루커스에 문의주시면 귀사의 상황에 맞는 솔루션을 제안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클루커스는 고객의 생성형 AI 도입을 지원하기 위해 전문 AI 그룹과 GCP 그룹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니즈와 거버넌스 요구사항을 충족시켜, 생성형 AI 도입을 돕고 있습니다.
문의주신 데이터관리와 관련하여 잘 답변드리기에는 웨비나 시간이 너무 짧은 듯 합니다. 저희 클루커스에 문의주시면 상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클루커스는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한 Data Engineer팀, Data Analytics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현대화, 마이그레이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과 데이터 시각화까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관련하여 관심있으신 경우 클루커스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구글 클라우드에서는 Sec-PaLM2라고 해서 보안 전문 LLM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모델에서 보안적인 부분을 활용해보고 싶으시다면 우선 말씀주신 것처럼 LLM의 사이즈에 따라서 성능이 좌우되지만, 최근에 연구를 통해서 모델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Prompt Engineering이 중요하다는 내용이 나왔습니다. 보안에 대한 데이터를 LLM에게 잘 전달하고, 답변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LLM에게 지침을 내리는 부분이 중요다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