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웹방화벽은 웹서비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룰이나 탐지 규칙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조심스러운데, WAPP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클라우드에서의 웹 보안 기술과 온프레미스와 다른가요? 다르다면 어떤 부분에서 차이점이 있는지요?

김현진 2023-12-07 15:0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일반적인 경우 보안 개발이 같은 사람이 하는 경우에 어떻게 이를 극복할 수 있을까요?

이종우 2023-12-07 15:0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보안팀과 개발팀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기관은 그럼 api 보안을 관리에 대한 롤을 구분할 때 어떤 방법이 최선인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3-12-07 15:0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API gateway가 API call을 처리하는 라우팅기본기능외에 보안관련 어떤 기능을 갖고있는지요?

양재영 2023-12-07 15:00
A

API call에 포함된 token 검증 및 접근 권한 제어 기능들이 더 있을수 있습니다.

F5 담당자 2023-12-07 15:03
Q

[질문]하이브리드클라우드가 연동 및 확장에 있어서 용이한 반변 보안침해요소의 증가등에 대한 보완이 필수인데 어떻게 하면 효과적인 보안대책을 수립할수있을까요?

양재영 2023-12-07 14:5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컨테이너 환경에 대한 라이센스와 일반 인스턴스 라이센스가 있는데 비용의 차이는 어떻게 되는지요?

양재영 2023-12-07 14:5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공공기관에서는 api 서비스를 많이하는 기관은 api 보안 을 위해서 api gateway를 두지 않고 차라리 open api를 만들어서 xml 만으로만 자료를 제공해주고 내부에서만 사용한다고 보안에 덜 심각한데 내부의 api 보안도 api gateway를 둬야 하는지요 관리자의 설득방안이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3-12-07 14:5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보안의 외부보다는 내부자소행이 많고 AI를 사용해서 내부자의 실수/의도적인 공격을 더 쉽게 탐지 차단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내부자의 pc가 해커의 의해서 조정된다면 그 정교함이 아주 소량의 데이터를 수개월에 유출하고 시나리오를 세워서 공격하는데 이런 공격도 다른 것보다는 빠르게 탐지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정숙 2023-12-07 14:5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I 보안이 진화하는 보안 위협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도 있지만 AI 자체가 가진 취약성으로 인한 보안위협도 증가할 가능성도 있고 AI가 서로의 공격과 방어하는 등의 딥러닝을 통한 진화를 통해 거듭나면서 더 위협을 가할 가능성은 없나요?

최성태 2023-12-07 14:5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차세대방화벽 도입만으로 API 보안이 가능할까요?

방성현 2023-12-07 14:5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PI 보안 범위와 보안 구조에 대한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인프라 특성에 따른 주요 차이점은 무엇이며 f5의 솔루션 지원은 어떻게 되는지요?

지정호 2023-12-07 14:55
A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에 균일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하여 SaaS 형태의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클라우드와 온프라미스에 동일하게 설치 될 수 있는 솔루션 또한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F5 담당자 2023-12-07 15:00
Q

[질문] 장애시 리던던시 동작 및 서비스영향없이 절체등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12-07 14:5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글로벌 API 보안 관련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문주웅 2023-12-07 14:5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가시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대형클라우드의 장애사례와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 모니터링 및 트러블슈팅,장애처리가 기존 레거시대비 쉽지가 않은데 보완 및 개선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요?

양재영 2023-12-07 14:5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장시간 망에 침투해 비정상적인 패턴이 아닌 정상적인 패턴으로 망내부에서 서서히 감염시키는 공격방식이 생긴다면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을까요??

최형빈 2023-12-07 14:53
A

API 보안에서 바라보는 위험이 취약점이 정상적인 패턴으로 공격이 온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액세스 제어가 필요하고 API에 대한 디스커버리 등을 통해 취약한 부분들을 방어해야 합니다.

F5 담당자 2023-12-07 14:55
Q

[질문]트래픽,사용량증가에 따라 서비스 중단없이 웹방화벽의 확장등이 가능한지와 룰셋으로 차단하는 방식은 수작업등으로 관리가 어려울것 같은데 오탐을 최소화화한 시그니처 차단방식은 지원하는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12-07 14:5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pi를 관리할때 어플래케이션을 만들어 질 경우 api 성능과 속도는 여유가 충분한 편인지, 아니면 추후 해줘야 할 다른 무언가가 있을까요?

조규성 2023-12-07 14:5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I 보안으로 공격에 대하여 보안할 때 담당자의 가장 큰 어려움은 운영의 어려움으로 동일하게 고민되는 지점인 것 같은데 교육이 제공되고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최형은 2023-12-07 14:5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l,ml 은 알려진 것과 같이 interpolation, 즉 학습한 것과 유사한 문제의 탐지는 유리하지만, extrapolation, 학습되지 않은 패턴에 대해 false negatives, 오탐의 우려가 높은데, 이런 우려는 어찌 해소하시나요?

이형준 2023-12-07 14:51
A

맞습니다. 때문에, 하나의 방법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보안을 제공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저희 권고 디자인도 layered defense를 적용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F5 담당자 2023-12-07 14:53
Q

API 보안 단계는 언제 어떻게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유익한 가요!?

이민수 2023-12-07 14:5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