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나우의 방향성은 도메인별 LLM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가장 손쉬운 방식은 플랫폼 내에 지식 베이스(KB) 자료를 채우는 것입니다.
전사적인 보안 관점의 레이어가 필요할 경우 명확한 보안 분류 및 액세스 체계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우선 서비스나우 공식 웹사이트를 방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한국어로 잘 기술되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실 경우 서비스나우에 직접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보다 탁월한 경험 제공 및 엄청난 생산성 향상입니다!
명확한 유스케이스 기반으로 Gen AI 기능이 추가되고 있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요약할 대상이 기본으로 정해져 있으며 추가 확장도 가능합니다. 요약 결과 그리고 텍스트의 톤앤매너의 경우 현재 일관성있게 만들어지고 있으며 향후 커스텀 가능성도 있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이는 서비스 제공자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함께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할 영역입니다. 금융권의 거버넌스/감사 체계가 있듯 AI 활용에 대해서도 유사한 거버넌스/감사 체계를 준비해야 합니다.
각 비즈니스 성격에 맞는 LLM을 만들고 활용하는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Gen AI Controller를 통해서 다양한 LLM 연결을 지원합니다.
서비스나우_손형수입니다. 기본적으로 서비스나우는 SaaS시스템으로 기본적으로 서비스나우가 prelearned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고객사의 데이터가 쌓인 후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하게 됩니다.
[질문] 고객사의 데이터가 쌓인 뒤에는 그 데이터만 학습한 결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아니면 고객사 데이터와 prelern 대상 데이터의 혼합 결과를 학습한 결과로 서비스를 제공하나요?
일단 서비스나우 LLM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미리 학습된 모델 기반으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소스를 추가 연결하여 확장하는 형태입니다.
현 시점에서는 R&D 중심으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자체 튜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만, 추후 프롬프트 최적화와 같은 기능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서비스나우는 기술 자체를 내세우기보다는 유스케이스 형태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로 머신러닝의 경우 데이터사이언티스트와 같은 인력이 필요치 않습니다.
퍼블릭 또는 프라이빗 LLM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나우에서 제공하는 Now Assist는 자체 LLM이며 샌드박스 형태라고 봐도 무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