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사용자가 오픈소스 기술의 이점을 누릴 수 있는 클라우드 활용법도 있나요?

김현민 2023-06-29 14:1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레거시 환경과 클라우드 환경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 인지요?

김태식 2023-06-29 14:1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레거시 환경이란 무엇 인지요?

김태식 2023-06-29 14:1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멀티하이브 란 어떤 개념 인지요?

김태식 2023-06-29 14:1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한눈에 쏙 들어오는 멀티 클라우드 운영" 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요?

김태식 2023-06-29 14:1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단일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멀티 클라우드 인프라 모니터링 구축 시 사전 주요 검토 사항은 무엇인지요? 가시성 확보에서 멀티 클라우드 특성은 어떻게 다른지요?

지정호 2023-06-29 14:13
A

일단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로컬 특징에 대해서 사전에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한 멀티 클라우드를 모니터링 구축시에는 정확히 어떠한 서비스들을 사용하고 있고 또 어떠한 제품을 어떻게 커스터마이징해서 사용하는지도 검토가 필요합니다. 가시성 확보에 있어서는 각 클라우드의 사용량, 빌링, 위험도 알람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대시보드의 구현이 필요합니다

이노그리드_CMP01 2023-06-29 14:24
Q

[질문]OpenShift에는 S2I 라는 이미지 빌드부터 배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미지를 외부 레지스트리에 저정하고 싶을때 어떤 방법이 있는지요?

양재영 2023-06-29 14:13
A

Openshift의 Operator에 등록하여 클러스터가 이미지 레지스트리에 접근 및 컨테이너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주면 됩니다. 이후 BuildConfig 설정 과정에서 이미지 스트림이 아닌 Dockerhub을 포함한 외부 컨테이너 이미지 레지스트리에 저장하도록 수정 후 빌드를 동작시키면 됩니다.

이노그리드_PaaS01 2023-06-29 14:17
Q

[질문] CMP 솔루션에서 제공해야 하는 필수 주요 기능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김현민 2023-06-29 14:1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멀티클라우드를 사용하면 더 이상 기존 클라우드 공급업체에만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는데, 모니터링도 이러한 부분에서 같은 형태가 좋은지? 아니면 가시성 확보와 관리 편의성을 위해 통합하는 모니터링 전략이 효율적인지 판단은 무엇에 기준을 두고 하면 좋을까요?

김현진 2023-06-29 14:1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클라우드 모니터링툴과 온프레미스 모니터링툴의 기능이 다른 경우가 많아 멀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의 경우 단일 모니터링툴 사용이 어려운데요. 모니터링을 통합하면서 관리나 운영을 단순화 할 수 있는 방안이나 권고 하는 툴에 대한 가이드가 가능할까요?

한지원 2023-06-29 14:1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가존의 이종 클라우드 사용 시 활용에 있어 일반적으로 어떤 어려움들이 있었나요?

김현민 2023-06-29 14:10
A

각 클라우드 서비스들이 내부적으로 로직이 조금씩 다르고 제공하는 API 데이터도 차이가 있다보니 이를 전문적으로 사용하려면 어려움이 많습니다. 또한 각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단어/용어들도 다르다보니 이러한 부분에서 사용자들이 많은 어려움을 느낍니다.

이노그리드_CMP01 2023-06-29 14:19
Q

[질문] 멀티 클라우드 운영 시에 모니터링이 이중으로 해야하는 이슈가 있는데 이를 통합해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나요?

이종우 2023-06-29 14:08
A

멀티 클라우드 운영시 서비스별/프로젝트별로 수집되어 구분이 되지만 API에서 제공되는 정보와 Agent를 통해서 수집되는 정보등이 이중으로 수집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상호보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노그리드_CMP03 2023-06-29 14:27
Q

[질문] 멀티 클라우드환경은 복잡해서 모니터링 전략도 온프라미스와 달라져야 하고 그래서 옵져빌리티가 필요하다고 하는데 이노클리드는 이런 복잡성을 어떤게 단순화해서 모니터링응 하는 것인지요?

윤성원 2023-06-29 14:08
A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공통화해야 하고 단순화해야 합니다. 더불어 담당자의 역활별로 전문화/개인화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 최근 국내외에서는 CMP 운영관리툴이 대두되고 있으니 이부분에 대해서 생각해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이노그리드_CMP01 2023-06-29 14:16
A

아 그런의미에서 cmp가 중요한 것이군요...답변 감사합니다.

윤성원 2023-06-29 14:17
Q

[질문]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플랫폼의 비즈니스모델에서 OpenShift를 설치 및 관리운용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요?

양재영 2023-06-29 14:07
A

OpenShift 를 활용하면,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플랫폼에 비해 클라우드 네이티브한 다양한 오픈소스 플랫폼들을 설치, 보안 및 세부 설정 등에 대한 공수를 덜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노그리드_PaaS02 2023-06-29 14:16
Q

[질문] 애플리케이션을 유지보수을 다양한 업체에서 하다보니 이슈가 발생했을때 그 사이에서 내용 왔다갔다하는 확인 공유하면서,,,아웃소싱을 맡긴건지 내가 운영하는건지 복잡한데 멀티클라우드를 쓰면 AWS, 애저 등 인프라 업체들과 애플리케이션 유지보수 업체까지...더 고생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먼저 드는데 더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이만규 2023-06-29 14:06
A

멀티클라우드를 사용하시면 가격, 성능면에서 다양한 이점을 누릴 수 있지만 말씀 하신 것과 같이 운영, 관리 이슈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관리할 솔루션이 필요함으로 저희가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노그리드_CMP01 2023-06-29 14:09
Q

질문 멀티 클라우드 운영을 하는 동안 경험하는 오류나 애로사항을 빠르고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문주웅 2023-06-29 14:0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IT관련 책을 쓴다는 것이 참 모험인데, 정말 용기있는 분이십니다.ㅋㅋ

원병찬 2023-06-26 17:1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손익분기점은...몇권정도일까요?

허성현 2023-06-26 17:1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저도 S사 보안가이드 부탁드립니다.ㅋㅋㅋ

원병찬 2023-06-26 17:0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운연 외에 보안구성을 하는게 너무 어려운데 보안구성에 대한 지침이나 표준화된 가이드가 궁금합니다. 명확하게 뭐뭐 를 해라 라는 것처럼 지침이 있는지요

이호승 2023-06-26 16:5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