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현재까지도 재택근무를 실행하거나 검토하는 기업의 비율이 궁금합니다.

김현민 김현민 2023-07-19 14:12
A

안녕하세요. 웨비나 에서도 보셨 듯이 외국계 회사의 사례는 있고, 국내에는 정확한 비율에 대한 통계는 없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사항은 poly.com 을 확인 부탁드립니다.

디모아 담당자 디모아 담당자 2023-07-19 16:49
Q

[질문]코로나 기간동안 원격회의가 많은 기업에서도 활성화되면서 첨엔 pc 기반과 모바일 기반 비율이 60:40 에서 현재는 80:20 정도로 체감이 되는데~ 각종 모바일 기반 장치들에서 원활히 업무 협업을 하기위해 poly 에서 기존 zoom, 과 그외에 밴더들에 비해 어떤 차별적 요소들과 가격정책을, 단말들 기종과 버전들에 따른 업데이트 지원과 차별점들이 있는지요?

비회원 문태진 2023-07-19 14:12
A

안녕하세요. Poly는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의 뛰어난 성능을 가장 차별적으로 두고 있습니다. 단말 기종들도 꾸준히 업데이트를 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poly.com 을 참고해주세요.

디모아 담당자 디모아 담당자 2023-07-19 17:10
Q

[질문] 국내 선진 도입 사례에 대해알려주실 수 있나요? 추가로, 도입시 어떤 효과를 가장 빠르게 얻을 수 있나요?

비회원 이재학 2023-07-19 14:12
A

안녕하세요. 이미 과거부터 도입된 사례가 많습니다. 도입시 직군별, 근무환경에 따라 가장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poly.com 참고해 주세요.

디모아 담당자 디모아 담당자 2023-07-19 17:17
Q

[질문]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과 보안 측면에서의 강화는 어떻게 지원되는지요? 협업 사용자 권한 부여와 제한 관련하여 인사,조직 정보와 자동화 지원은 어떻게 되는지요?

지정호 지정호 2023-07-19 14:08
A

안녕하세요. 디모아 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Poly.com 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디모아 담당자 디모아 담당자 2023-07-20 11:01
Q

현재 업계 동향 및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주창원 주창원 2023-07-19 14:08
A

안녕하세요. 디모아 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Poly.com 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디모아 담당자 디모아 담당자 2023-07-20 11:01
Q

[질문] 재택근무용 솔루션 활용 비율은 코로나 전 대비 얼만큼 증가했나요?

최정은 최정은 2023-07-19 14:08
A

안녕하세요. 기존에 있던 솔루션이 코로나 전 대비 얼마나 증가하였는지 정확한 통계는 없습니다. 추가 더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면 poly.com 에서 확인해보세요.

디모아 담당자 디모아 담당자 2023-07-19 17:20
Q

[질문] 코로나가 끝났는데 원격 또는 하이브리드 등의 새로운 업무 형태가 예전으로 돌아가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김현민 김현민 2023-07-19 14:08
A

주제는 코로나로 인한 업무환경 변화가 아니라 엔데믹 시대에 효율적 업무 방식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디모아 담당자 디모아 담당자 2023-07-19 14:17
Q

[질문] 최근들어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필요성을 회사에서 더 느낍니다. 업무환경 개선을 위해 Poly와 같은 솔류션들이 필요한데요. 발표후의 자료를 이메일로 수신 그리고 추가 자료들이 있으면 수신 가능할지요?

임근식 임근식 2023-07-19 14:07
A

안녕하세요. 세미나 발표 자료는 간략한 제품소개와 엔데믹 이후의 업무 환경 제안입니다. 더 다양한 솔루션을 확인하고 싶으시면 poly.com 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디모아 담당자 디모아 담당자 2023-07-19 17:22
Q

[질문] 폴리는 plantronics의 새로운 명칭인가요? plantronics는 음향에 특화된 기업으로 알고 있는데 폴리로 바꾸면서 포커스하는 기술이 바뀌었는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윤성원 2023-07-19 14:05
A

plantronics 와 polycom 이 합쳐진 회사입니다.

디모아 담당자 디모아 담당자 2023-07-19 14:11
Q

[질문] 회사에는 다양한 업무방식이 존재하는데요, 하루종일 헤드셋을 착용해야 하는 업무도 있고, 소음이 많은 외근 업무에 헤드셋을 착용하는 사람도 있고, 헤드셋보다는 회의를 위한 스피커폰을 더 많은 사용하는 사람도 많은데, 이 모든 각양 각생의 요구사항을 하나의 기기로 만족시키는 건 어려울 것로 생각되는데요, 이를 위해선 다양한 제품군이 필요하지 않나요?

이형준 이형준 2023-07-19 14:05
A

특정한 업무에 맞춰진 제품들이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Poly.com 사이트를 참고해 주세요.

디모아 담당자 디모아 담당자 2023-07-19 14:12
Q

[질문] 경함상 1인 개발자의 한계점은 어떤 것이 잇으며 어떻게 극복하셧는지요 ?

조형범 조형범 2023-07-10 17:06
A

혼자 하다보니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과 이로인해 더 많은 수주를 받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욕심을 내어 더 많은 일을 받아서 하지 못하는것 보다 적당한 선에서 조절하는게 필요합니다.

정영달 정영달 2023-07-11 09:55
Q

개발하신 소스나 산출물은 해당 사이트에 남겨두시는지요, 아니면 직접 보유하고 계시는지요?

비회원 이재현 2023-07-10 17:04
A

해당 사이트에 남겨드립니다. 재판매를 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말이죠. 소스코드를 암호화해서 서버에 넣어보기도 했습니다만, 큰 의미없어서 그냥 남겨둡니다. 그렇다고 해서 소스의 소유권을 드리는건 아니니까요

정영달 정영달 2023-07-11 09:57
Q

[질문] 너무 이해하기 쉽게 개발하면 자기 일이 줄어들 것처럼 생각하는 마음이 바람직한 것은 아닌 것 같지만 그렇게 생각하는 개발자들이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것 같은데 이해하기 쉽게 개발하는 것이 1인 개발자의 생존에 어떤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시나요?

전영진 전영진 2023-07-10 17:03
A

사실 소스코드가 하나만이 아니고 DB와 연동해서 사용하고, 다른 코드들과 상호 연관성이 있으므로, 이해하는데 시간이 좀 걸릴 수 있을것입니다. 쉬운코드로 개발하기 보다는 간단명료하게 개발하므로, 소스코드가 다소 어렵게 보일 수도 있으므로 크게 신경쓰지는 않습니다.

정영달 정영달 2023-07-11 09:58
Q

[질문] 차칫 잘못 작성된 코드로 손해가 발생한다면 큰일 일 것 같은데, 이런 경우에 대비한 보험상품 같은 것은 없나요?

이형준 이형준 2023-07-10 16:55
A

잘못 작성된 코드로 손해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그랬던 경험도 있구요. 정중히 사과하고 재발방지를 약속드립니다. 크게 사고가 난적은 없습니다만, 그를 대비해서 보험에 가입해볼 생각은 못해봤습니다 ^_^

정영달 정영달 2023-07-11 10:00
Q

[질문] 챗GPT를 Mobile 제조 당사에 접목 가능한 방법이나 효과가 궁금합니다.

이명일 이명일 2023-07-10 16:55
A

챗GPT를 모바일에 접목하는 것은 개발한 업체가 해야할일이 아닐지요.

정영달 정영달 2023-07-11 10:01
Q

[질문] 체력안배를 참 잘하신것 같은데 체력은 어떻게 유지를 하시는지요?

윤성원 윤성원 2023-07-10 16:52
A

방송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사실 체력관리를 위해 운동을 하지는 않고 잘 자고 쉬고 즐겁게 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영달 정영달 2023-07-11 10:03
Q

[질문] 특히 공공의 경우 1인 개발자에게 일을 맡기는 경우는 알바 수준의 일거리 이거나, 인맥을 통하지 않으면 없을 것이라고 보는데 혹시 공공 프로젝트에 입찰 또는 1인으로 참여하여 수행하 경우가 있을까요?

김현진 김현진 2023-07-10 16:51
A

참여를 해보고는 싶었습니다만, 기회는 없었습니다. 아마도 1인으로 참여하는게 쉬운일은 아닐듯 합니다.

정영달 정영달 2023-07-11 10:03
Q

[질문] 처음에 말씀하신 것 처럼 it도 트렌드가 있는데, 이런 트렌드는 어디에서 파악하세요? 수주를 받다보면 자연스럽게 알 수 있게 되는 건가요?

이형준 이형준 2023-07-10 16:51
A

트렌드는 주로 뉴스나 SNS를 보다가 알게됩니다. 사실 수주는 트랜드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아주 일반적인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정영달 정영달 2023-07-11 10:04
Q

[질문] 재직 상태에서 1인 개발자로 도전하여 미리 성공 여부를 예상해 볼 방법도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아니면 반드시 퇴사 이후에 도전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전영진 전영진 2023-07-10 16:51
A

재직중인 회사업무가 하드하지 않다면, 투잡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무리해서 퇴사후 창업을 한다면 의도치 않게 많은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을겁니다. 외주 연결업체인 크몽 등의 사이트에 개인으로 등록해서 수주를 받아서 해보고 적성에 맞다거나 가능성을 파악하신 후 도전해도 늦지는 않을듯 합니다.

정영달 정영달 2023-07-11 10:06
Q

[질문] 지금 말씀하신 스케쥴 관리에 사용하는 툴이 있나요? 회사라면 jira나 MS project 같은 걸 쓰는데..

이형준 이형준 2023-07-10 16:49
A

방송에도 말씀드렸습니다만, 저는 그냥 일정관리(모바일과 연동중)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영달 정영달 2023-07-11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