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시큐어패스는 공격에 대한 평균 탐지 시간, 승인 시간 및 응답 시간에 대한 메트릭 및 보고를 가시성 있게 제공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현진 2023-06-21 14:2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라드웨어 DDoS 트래픽보안은 DDoS 공격이 발생했을때만 트래픽을 우회해서 과금하는 방식인지 상시 수용하는 방식인지 궁금하고 레거시 시스템을 보호받으려면 라드웨어의 물리적 장비가 도입이 되어야 하는 것인지 국내 kt클린존 처럼 라우터의 라우팅만 변경하면 되는 것인지요

이호승 2023-06-21 14:28
A

둘다 가능 합니다. On-Demand 와 Always-On 방식 둘다 가능 하며, 라드웨어의 물리적인 DDoS 장비가 있으시다면 하이브리드 구성을 통해서도 서비스가 가능 합니다. 그리고 우회 방식은 BGP 를 이용하여 라우팅을 변경 하는 방식과 DNS를 이용한 우회 방식 등이 가능 합니다.

김태영_라드웨어 2023-06-21 14:29
Q

[질문] 악성 봇에 의한 공격 시, 얼마나 빨리 그 붓을 확인하고 차단할수 있는지 궁금하고 그 붓의 악성이나 일반인지 판단시 ai 기능이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또 AI 기능이 사용되는 곳은 어디인지요?

윤성원 2023-06-21 14:27
A

네 저희는 AI로 차단하고 있습니다. 알려진 공격은 기존 시그니처에서 차단하고 알려지지않은 공격은 실시간으로 시그니처를 생성하여 차단하는 방식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노지선_라드웨어 2023-06-21 14:28
Q

[질문] 에이전트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대처 방법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조재성 2023-06-21 14:26
A

ADC와 같은 하드웨어 제품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노지선_라드웨어 2023-06-21 14:26
Q

[질문] 기업의 클라우드 보안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이 클라우드 워크로드 보안이라면 기업의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실행환경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초적화된 라드웨어 시큐어패스 보안 적용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양성필 2023-06-21 14:2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발표자께서 Radware SecurePath가 클라우드 솔루션이라고 말씀하신 것은 cloud-based, software-based, hardware-based 중 cloud-based 타입의 WAF라는 말씀인가요?

전영진 2023-06-21 14:25
A

네 맞습니다 클라우드 베이스의 WAF 지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던 DNS로 우회하는 방식의 클라우드 WAF가 아닙니다. API로 연동하는 클라우드 WAF이기 때문에 클라우드 베이스의 WAF지만 기존 방식과 차이가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노지선_라드웨어 2023-06-21 14:27
Q

[질문] 내부 사내망에서 외부 AWS 의 자산에 접속할때 전용선처럼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는 솔루션같은것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호승 2023-06-21 14:2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현재 대부분의 조직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개별 환경마다 다른 관리도구와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으며, 상이한 플랫폼과 애플리케이션 등 보안운영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 많은데 해결을 위한 방안이나 대비책 제안 부탁드립니다.

최정은 2023-06-21 14:25
A

Securepath가 적합하실 것 같습니다. 상세 내용은 발표 확인 부탁 드립니다.

노지선_라드웨어 2023-06-21 14:25
Q

(질문)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의 일관성 있는 보안 기능 및 관리 방안 및 안티멀웨어/ 랜섬웨어 예방/ 시그니처, 패턴, 머신러닝, 행위기반등을 통한 다계층보안 기능등의 제공여부가 궁금합니다

이경석 2023-06-21 14:25
A

네 Securepath로 다계층 보안과 일관성 있는 보안을 하실 수 있습니다.

노지선_라드웨어 2023-06-21 14:26
Q

[질문] 써드파티를 통한 침해를 보여주셨습니다. 이러한 경우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하고 있는 서버가 자신이 알고 있는 트러스티드 사이트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두면 해결할 수 있는 것인가요?

이용석 2023-06-21 14:2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WAF는 단말이 늘어날수도록 네트웍의 밴드위스에 따라 성능이 들쑥 날쑥이고 초기 설계시 네트웍속도가 일정하지 않으면 그 성능보장이 어려운데 라드웨어의 Securepath는 어느점에서 네트웍 레이턴시 문제를 해결하는지요?

윤성원 2023-06-21 14:2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패킷상에 정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요즘 트렌드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

이규훈 2023-06-21 14:24
A

클라우드 WAF로 트래픽을 보낼 때는 강력한 암호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클라우드 팝으로 트래픽을 전달합니다. 또한 Request 정보만 보내고 있습니다.

노지선_라드웨어 2023-06-21 14:29
Q

[질문] 소규모 기업에도 적용이 가능한 솔루션인가요?

신익주 2023-06-21 14:23
A

네 가능합니다.

노지선_라드웨어 2023-06-21 14:23
Q

[질문] 시큐어패스는 ADC와 함께 운영될 때 최적의 효과를 본다고 했는데 ADC를 운영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시큐어패스가 어떤 효과를 발생하나요?

김현민 2023-06-21 14:23
A

ADC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시큐어패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ADC 제품 외에도 클라우드 WAF POP과 연동할 수 있는 플러그인들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F5 제품을 가지고 있으셔도 라드웨어 클라우드 POP과 연동할 수 있습니다.

노지선_라드웨어 2023-06-21 14:24
Q

[질문] 디지털 인터랙션 보안 도입 시 애플리케이션별 프로비저닝 요청 감소는 얼마나 되는지 수치로 알 수 있을까요?

양성필 2023-06-21 14:2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KISA, 안랩 등 랜섬웨어 복구 프로그램이 제공되는데, 라드웨어에서 제공하는 복원 솔루션은 어떤 것이 있고 그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임종택 2023-06-21 14:2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Radware SecurePath는 DNS를 활용하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IP 주소를 사용하여 Radware의 API에 접근한다는 말씀이신가요?

전영진 2023-06-21 14:2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ERT 인력 분의 전문가임을 증명할 수 있는 건가요? ERT 인력 분들은 Domain Knowledge는 부족할텐데요. 이런 한계점은 어떻게 극복 가능할까요?

김경호 2023-06-21 14: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사이버공격 및 네트워크 이상 행위에 대응을 위해 AI 및 머신러닝 기술이 적용된 것이 있다면 어떤 기능이있을까요?

김현진 2023-06-21 14: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신규 변종 랜섬웨어들이 VPN 취약점, 원도우 서버, RDP를 통하여 기업 네트워크로 침입하고 첨부 파일 피싱, 악성 파일 다운로드로 감염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사전 탐지와 대응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강덕진 2023-06-21 14: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