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AD 재해 복구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궁금합니다.

김현진 김현진 2023-07-06 14:31
A

가장 높은 속도는 자동화된 솔루션을 통해서 가능하고 주기적인 복구 방안들에 대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Q

[질문] 백업 솔루션 및 재해 복구 계획으로만으로는 해결이 안되는 중요 툴은 어떤게 있나요?

최정은 최정은 2023-07-06 14:31
A

재해 복구는 계획 뿐만 아니라 테스트를 통해서 서비스 재시작을 하지 못하는 원인을 찾고 해결을 해야 하는 것이 목적이 되겠습니다. 반드시 테스트를 통해서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 방법론을 찾아야 합니다.

Q

[질문] 재택근무가 보편화되면서 근무 환경 및 단말기의 다변화가 많은데 이럴 경우 손쉬운 보안에 대한 대비책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김현민 김현민 2023-07-06 14:3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퀘스트소프트웨어에서는 전통적인 백업 방식 외에 AD 복구를 위한 다른 혁신적인 방안이 있다면 무엇인지요?

비회원 김명환 2023-07-06 14:30
A

가장 혁신적인 방법은 Rebuild라는 데이타만으로 AD 서비스 재구성을 지원하는 기능입니다.

Q

[질문] 서비스형 랜섬웨어(Raas) 가 요즘 유행하는데 이로서 일반인도 쉽게 공격할수 대어 그 수가 점점 많아지는데 여기엔 오탐도 미탐도 많은데 넷볼트는 이런 미탐 오탐 과탐의 수를 줄이는 메카니즘 기술이 있는지요 ?

윤성원 윤성원 2023-07-06 14:3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랜섬웨어 감염시, Immutable Backup을 실시해 오는 경우에는 문제없이 복구가 되겠지만 랜섬웨어가 언제 감염이 되었는지 알 수가 없을 것 같은데 넷볼트는 어떻게 랜섬웨어가 감염이 되지 않은 데이터로 복구가 가능한지요?

비회원 이상빈 2023-07-06 14:30
A

모든 복구 시점은 격리 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랜섬웨어 감염 이전 이전 복구 시점으로 복구를 수행해야 합니다.

Q

[질문] VMI 기반 재택 근무시 사용자 PC를 망분리를 통해 제공하는 경우 랜섬웨어 방어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비회원 조광윤 2023-07-06 14:30
A

IT관리자는 계층적 방법에 대해서 확인하고 최후 방벙 계층인 백업 데이터 보호에도 넷볼트 플러스가 제공하는 랜섬웨어 대응 방법으로 백업 운영을 가이드 드립니다.

Q

[질문] 개인 단말 탈취와 AD계정 탈취시, 공격 효과에서 어느정도 차이가 나는지, AD계정이 그만큼 중요하다면 AD보안은 왜 이슈가 되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김창호 김창호 2023-07-06 14:29
A

AD계정이 탈취되면 모든 단말의 계정이 탈취도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AD보안은 글로벌/국내에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많은 랜섬웨어 공격에서 AD는 주요한 공격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Q

[질문]대규모 클라우드환경에서 빈번한 백업등은 불필요한 IO부하등을 유발할것 같은데 적정한 백업 크기 및 주기등이 궁금합니다.

비회원 양재영 2023-07-06 14:29
A

지속적인 증분 백업 스케줄 기능도 중요하며 더불어 클라우드 환경에서 백업 데이터의 이동 방법에 대한 통제도 중요합니다. 넷볼트 플러스는 국내 수천대 VM을 운영하는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고객사 백업 정책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Q

[질문]AI머신러닝등을 이용한 최적화등에도 때로는 오탐/미탐도 발생할수있는데 이에 대한 최소화 방안 및 커스토마이징 방안등이 궁금합니다

비회원 양재영 2023-07-06 14:2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바이러스 감염이나 백업 데이터의 보호 등 랜섬웨어로 부터 보호 가능한 추가 적인 영역을 알 수 있을까요?

비회원 조광윤 2023-07-06 14:27
A

백업 데이터 보호는 어떤 솔루션 하나 만으로 방어하고 보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운영 방식입니다. 백업 운영은 설명드린 것과 같이 계층적 방어와 넷볼트 플러스가 가이드 드린 방법론이 있습니다.

Q

[질문] 데이터로 서비스를 복구하는 클린 OS 복구 기능의 최대 장점은 무엇인가요?

최정은 최정은 2023-07-06 14:27
A

랜섬웨어가 감염되었을때 감염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최신의 데이터로 복구 가능합니다.

Q

[질문] 이뮤터블 백업 데이터 보호 기능은 어떤 것인가요?

김현민 김현민 2023-07-06 14:27
A

WORM 기능을 이해하시면 쉬울 듯 합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백업 된 데이터는 삭제가 불가능하도록 조치를 하는 것입니다.

Q

[질문]스토리지등의 증설시 기존 서비스의 순단이 없거나 최소화하여 진행이 가능한지와 방법이 궁금합니다.

비회원 양재영 2023-07-06 14:2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전통적인 백업 방식을 사용하여 AD 데이터를 백업하고 복구할 때 주요한 고려사항은 무엇인가요?

비회원 김명환 2023-07-06 14:26
A

1. 복구 시간은 얼마나 필요한지? 2. 발생하는 이슈들에 대해서 복구후에 발생할수 있는 문제점들은 무엇인지? 를 주로 고려하시면 됩니다.

Q

[질문] 넷볼트플러스를 통한 랜섬웨어 방지 백업 솔루션의 데이터보호 관련 최근 이슈와 해결사례를 통한 성공 노하우가 궁금합니다

전승호 전승호 2023-07-06 14:26
A

최근 여러 고객사에서 랜섬웨어 피해 사례를 확인하였습니다. 반드시 백업저장소는 별도로 운영해야 하며, 백업서버가 피해를 입더라도 백업 된 데이터만으로 복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백업서버가 리눅스 인경우 피해사례는 없었습니다. 윈도우 OS경우 피해 사례가 발생하며 이 경우라도 별도 백업저장소를 운영하고 RDA로 백업한 고객사의 경우 완전 복구가 되었습니다.

Q

[질문] 클라우드 환경의 데이터 보호와 가용성 향상 방안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비회원 양성필 2023-07-06 14:26
A

넷볼트 플러스를 활용하여 백업 데이터를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백업 데이터를 최적화 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Q

[질문] 넷볼트플러스를 통해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비회원 김명환 2023-07-06 14:26
A

자사의 워크로드 환경과 인프라가 매우 상이하다면 고려해야 할 것이 있는지 협의가 필요하겠습니다. 그렇지만 넷볼트 플러스는 다양한 환경에서 엔터프라이즈 백업 운영이 가능합니다.

Q

[질문]일반적으로 백업서버에서 한개의 퍼블릭 클라우드 벤더로만 데이터를 보내는게 가능한걸로 아는데 한 대의 백업서버에서 멀티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백업하는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비회원 양재영 2023-07-06 14:26
A

그래서 소프트웨어 정의 백업스토리지가 필요합니다. 넷볼트 플러스에서 제공하는 오브젝트 다이렉트 구성을 활용하여 멀티 클라우드 백업 및 복제를 할 수 있습니다.

Q

[질문] 백업본으로 랜섬웨어를 마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한지요?

비회원 조광윤 2023-07-06 14:25
A

기존 넷볼트 및 지금의 넷볼트 플러스로 운영하는 국내 수천여 고객사에서 랜섬웨어 피해 사례를 통해서 현실적으로 어떤 방법론이 가능한지는 설명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윈도우에서 올인원 백업장비에서 발생하였으며 백업서버가 피해를 입더라도 VTL이나 Tape장비 만으로 복구 할 수 있는 백업 솔루션이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