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데이터매시나 데이터패브릭 개념은 벤더마다 독자적인 아키텍처가 있는 것인지, 표준화된 참조모델 같은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박일규 박일규 2023-05-31 14:20
A

현재로서는 데이터메쉬(Data Mesh)와 데이터패브릭(Data Fabric)에 대한 벤더 간의 표준화된 참조모델이 없습니다. 데이터메쉬와 데이터패브릭은 기업의 데이터 아키텍처와 조직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가 때문에 벤더들은 이러한 개념을 지원하기 위해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는 중입니다.

비회원 메가존클라우드 2023-05-31 14:22
A

네, 추후 다시보기 영상과 함께 웨비나 페이지에서 공유해 드릴 예정입니다 :)

메가존클라우드 메가존클라우드 2023-05-31 14:21
Q

[질문]앞으로 데이터요금이 비싸질거라 생각이드는데 어떻게하면 가성비좋은 데이터를 사용할수있을지 궁금합니다

서보영 서보영 2023-05-31 14:17
A

데이터의 수집은 앞으로의 필요를 예상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데이터를 활용하는 입장에서 필요한 데이터와 불필요한 데이터가 섞여 있어 불필요한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를 선별하는 경험과 인사이트를 보유하는 것이 좋은 데이터를 선택해서 기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일 것 같습니다.

메가존클라우드 메가존클라우드 2023-05-31 14:23
A

일단은 워크로드를 분석해서, 종량제 과금 방식의 serverless 가 비용 효율적인지, 아니면 일정 자원을 프로비저닝 해 놓고 계속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 비교를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AWS_강성희 AWS_강성희 2023-05-31 14:28
A

데이터마트는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관련된 개념으로, 특정한 주제나 부서에 초점을 맞춘 데이터 저장소라고 보시면 되고, 데이터메쉬는 데이터 조직과 아키텍처의 개념으로, 기업 내의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하는 방법론입니다

비회원 메가존클라우드 2023-05-31 14:20
Q

[질문] 데이터 카탈로그가 전체 데이터분석플랫폼에서 하나의독립적인 단위 서비스로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나 전문 데이터분석 플랫폼마다 데이터 카탈로그의 포지셔닝에 차이가 있는 듯한데 메가존이나 AWS, 데이터브릭스 같은 전문 플랫폼의 정책이 궁금합니다

박일규 박일규 2023-05-31 14:17
A

데이터 카탈로그는, 데이터 플랫폼을 사용자들이 실질적으로 잘 사용하기 위한 , 데이터 목록/정보 ( 테크 메타, 비즈니스 목적의 메타 ) 를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보시면 될 듯합니다.

AWS_강성희 AWS_강성희 2023-05-31 14:20
Q

[질문]지금 인공지능 ai 데이터및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면 요금이 비싸지는데 어떻게 준비를 하고있는지가격때문에 3년전보다 비싸지고 있는데 불필요한 데이터를 걸러주는기술이나 플랫폼이나 솔루션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서보영 서보영 2023-05-31 14:15
A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치를 창출해내는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데이터 선별 작업입니다. 수집된 데이터에서 인사이트를 발견하고 적절한 데이터 셋을 구성하는 것은 자동화 되기가 어려운 부분입니다. AWS 내에서는 데이터를 손쉽게 확인하고 선정할 수 있도록 DataBrew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Glue 등의 서비스로 python, spark 등의 언어를 통해 가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메가존클라우드 메가존클라우드 2023-05-31 14:21
Q

[질문] 기존 데이터 레이크를 그럼 데이터 카타로그로 넘어가기위한 전제조건이 있는지 아님 쉽게 넘어갈 수 있는지요?

윤성원 윤성원 2023-05-31 14:15
A

데이터 레이크를 잘 활용하려면 데이터 레이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잘 카탈로그화 해서 , 데이터 수요자들이 쉽게 찾아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카탈로그 서비스를 잘 선택하셔서, 카탈로그화 하셔야 합니다. AWS 인 경우, Glue Catalog 서비스를 권장합니다.

AWS_강성희 AWS_강성희 2023-05-31 14:17
A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윤성원 윤성원 2023-05-31 14:17
A

AWS Security Hub 는 서버리스 서비스는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https://aws.amazon.com/ko/security-hub/

AWS_강성희 AWS_강성희 2023-05-31 14:15
Q

아 논리적으로 영역별로 구분해서 저장이 되는군요...답변감사합니다. 그럼 ai, bi 데이터는 중복저장되는 것은 아닌건가요?

윤성원 윤성원 2023-05-31 14:1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ws 데이터 레이크는 ai 성 데이터와 bi성 데이터 를 하나의 저장소에 보관하나요? 아님 별도로 보관해서 각각 클린존으로 보내는 것인가요?

윤성원 윤성원 2023-05-31 14:06
A

데이터 레이크는 물리적으로는 중앙집중식 스토리지 이지만, 논리적으로는 데이터 영도별로 영역을 구분하여 저장합니다. 목적에 맞게 폴더와 디렉토리를 설계해서, 구분해서 저장하는 걸로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강성희 강성희 2023-05-31 14:09
A

아 논리적으로 영역별로 구분해서 저장이 되는군요...답변감사합니다. 그럼 ai, bi 데이터는 중복저장되는 것은 아닌건가요?

윤성원 윤성원 2023-05-31 14:10
A

데이터 레이크는 필요한 데이터를 일단 데이터 호수에 다 모으는 개념입니다. 중복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거버넌스 차원에서 중복이 되지 않도록 데이터를 식별해서, 선별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WS_강성희 AWS_강성희 2023-05-31 14:12
A

알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윤성원 윤성원 2023-05-31 14:13
Q

[질문] 당사 비즈니스를 ChatGPT와 연동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데이터 보안, 프라이버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것인데, 문제점및 보안관련 이슈를 위한 대응책은 무엇인지요?

비회원 윤성준 2023-05-30 15:0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보험사나 금융사의 경우 네트워크 연결의 문제가 발생되어 ChatGPT를 활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콜센터 상담원들은 어떻게 업무를 이어갈 수 있을까요? 또는 ChatGTP에 해킹 계좌 데이터들이 입력되는 경우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비회원 최형은 2023-05-30 15:0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범용 chatgpt와 달리 상용 전문 gpt는 잘못된 답변이나 꾸며댄 대답은 웃음거리를 넘는 기업 신뢰도 측면에서 중대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비용적 측면에서도 큰 문제가 될 수도 있는데 gpt의 t , 즉 transformers 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형준 이형준 2023-05-30 14:5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결국 챗GPT나 솔루션 활용에 있어 데이터의 우위를 어떻게 점유하느냐가 관건인데 이를 어떻게 기업이 도입시에 선택에 있어 데이터 우위를 판별할 수 있을까요?

비회원 양정수 2023-05-30 14:5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I와 현업 상담자의 협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 기업의 현업자와 챗GPT 활용도 협업에 방점이 찍인다면 현업자의 AI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도 같이 가야 할 것 같은데 현업자 위한 교육 서비스는 차별점이 있나요?

비회원 양정수 2023-05-30 14:5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rpa 에 chatgpt를 적용한다는 것은 참 꿈같은 얘기같았는데 이제는 spacebank 의 좋은 솔루션으로 가능할 것 같은데 rpa가 단순업무를 자동화한것인데 chatgpt를 단순업무에 활용해서 얻을 수 있는 잇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윤성원 윤성원 2023-05-30 14:5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챗GPT를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 활용 방안이 궁금한데요, 챗GPT를 활용하여 샘플 데이터를 분석한 예시와 파워 BI를 통한 시각화 분석 리포트 소개가 가능할까요?

비회원 양성필 2023-05-30 14:5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ChatGPT는 단지 공격의 입장입니까? 방어(보안)입장에서 ChatGPT를 활용할 수 있을까여?

비회원 최형빈 2023-05-30 14:5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신속하게 반영하기 위해서는 확장성과 유연성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확장성과 유연성을 보장하는 측면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박완주 박완주 2023-05-30 14:5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