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제로 트러스트 기반의 재택근무 보안환경의 표준은 무엇인가요?

양성필 2023-04-13 16:55
A

CISA나 NIST의 보안 가이드(레퍼런스)를 참고해보시면 좋을꺼같습니다. 각 사별로 각사에 맞는 보안 모델을 찾아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57
Q

[질문] 옥타의 아이덴티티 보안의 핵심은 사용자의 인증이나 신원 확인일텐데 이를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인증과 연계해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조광윤 2023-04-13 16:54
A

아직 그 부분까지 제공하고 있지 않지만 좋은 의견이신거 같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56
A

웹3.0이 생각하시는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한국 2023-04-13 16:58
A

글쎄요. 블록체인은 자체적으,로 사용자 인증과 전혀 관계 없는데요. Undeniable이라 해서 내가 안그랬어요 라고 못하는 것과, unchageable이라 해서 수정이 불가할 뿐이지요. BC에서 인증은 커다른 미해결 문제입니다.

이형준 2023-04-13 16:59
Q

[질문] 제로 트러스트 보안의 맥락에서 아이덴티티는 사람이든 프로세스든 데이터를 회수, 삭제, 변경 등의 목적으로 액세스하려는 행위자인데, 아이덴티티 중심 접근으로 기업은 올바른 사람에게 올바른 자원에 대한 올바른 수준의 접근권을 올바른 맥락에서 부여할 수 있으며 액세스를 지속적으로 평가할 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현진 2023-04-13 16:5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매우 전통적인 질문인데, 보통의 경우 passwordless 인증이 불가한 환경의 경우, 다른 방식의 인증을 허용하는데 이는 결국 다른 방식의 인증과 별 다른 점이 없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이형준 2023-04-13 16:54
A

패스워드리스가 만능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어떠한 맥락을 바탕으로 인증과정에서 검증하느냐에 초점을 맞춰야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7:04
Q

[질문] 내부 침입도 차단이 가능하다고 하셨는데, 내부 관리자가 최고 권한을 가지고 있을때에도 침입 공격을 찾아내고, 차단이 가능한가요?

양재영 2023-04-13 16:5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이 가속화됨에 따라 네트워크 보안 요구사항을 변경해야 하는 회사가 많을 것 같은데요. 솔루션만 설치한다고 능사는 아닐 꺼 같은데 현재의 보안아키텍처 설계를 점검하고 새로 설계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요?

김정숙 2023-04-13 16:53
A

맞습니다. 기존 보안 아키텍쳐를 새로 점검해야하며 그 대안중 하나가 ZTA입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55
Q

[질문]보안관제솔루션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면 운영인력의 스킬업또한 필수인데 정기/비정기교육의 제공정도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04-13 16:5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제로트러스트 기반에서 Active Directory 및 LDAP와 같은 디렉터리와 Workday, Office 365 같은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간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는지 궁금합니다.

김현진 2023-04-13 16:5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질문]코로나로 인한 재택근무의 증가로 보안취약요소가 증가하는데 단말종류에 상관없이 일관성있는 보안정책,수준적용이 가능한가요?

양재영 2023-04-13 16:52
A

그러기 위해서 단말의 명확한 식별이 먼저 선행되어야 합니다. 여기에 MDM, EDR등의 소스를 더한다면 보다 풍성한 정보로 쉽게 일관된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54
Q

기존 구매/IT인프라 담당자들이 사용하는 자산관리 솔루션들과 Axonius 제품과의 차이점에 대해 잘 이해했습니다. 설명하신 것과 같이 자산의 가시화가 첫단추라고 생각하고 있는데요. 기존의 접근 방식과 큰 차이점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시점에서 Axonius의 경쟁이라고 생각될 수 있는 제품은 무엇이고 차별화된 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 지요?

허옥 2023-04-13 16:51
A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국내에는 경쟁 제품이 없습니다. 글로벌하게도 선도업체로 리딩하고 있습니다.

엑소니어스_황원섭 2023-04-13 16:55
A

엑소니어스_황원섭 2023-04-13 22:51
A

오늘 방송중에 질문이 많아서, 답변이 부족했습니다. 차별화된 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플랫폼 형태로 다양한 형태로 활용이 가능하고 사용자 정의방식의 쿼리, 대시보드 생성 기능 (2) 650개 이상의 다양한 시스템들과 자동 연동(자산 정보 수집) 지원 (3) 다양한 데이터소스(AD, 스위치, NAC, EPP/EDR, AWS 등)에서 수집된 자산(device)정보를 중복제거/유효성검증/통합 등의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함 (4) 액션 대응 기능으로 식별 자산 정보를 활용하여 업무 자동화까지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엑소니어스_황원섭 2023-04-13 23:06
Q

[질문] 보안 컴플라이언스를 검토하고 준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CSPM 및 서버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호스트, API, 워크로드 보안에 대한 지원도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양성필 2023-04-13 16:5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ZT 역시 믿을 만하다는 판단이 되면 Trust를 부여하고, refresh 전 까진 그 상태를 유지하는데 특히 trust를 얻은 insider에 대한 침해의 경우 ZT가 약점을 보일 수도 있지 않나요?

이형준 2023-04-13 16:50
A

그렇기때문에 지속적인 검증이 필요합니다. 사용자와 자산에 대한 맥락분석을 지속적으로 실시 해야합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53
A

그래서 ZT의 유지와 관리가 어렵다는 의견들이 있습니다.

이형준 2023-04-13 16:5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엣지컴퓨팅을 통해 대규모 디도스 공격등에 대해 효과적인 방어가 가능한지와 방어사례등이 궁금합니다.

최형은 2023-04-13 16:4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인증에 있어 인증 솔루션이 어플라이언스 형태로 사용하는 굥우와 시스템 OS 상에 올려서 사용하는 경우에 제로트트 적용 구성시 고려해야할 부분에 차이점이 있는지요?

문태진 2023-04-13 16:48
A

클라우드 사용을 하는 경우 클라우드접근을 위해 사내영역에 있는 어플라이언스에 새로 붙어서 인증받아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장애시 접근자체가 불가능한 이슈가 있습니다. 클라우드 IAM은 이러한 부분을 대응하는데 더없이 좋은 방안입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52
Q

[질문] 제로 트러스트 관점에서 옥타의 플랫폼을 도입할 경우 플랫폼 사용 비용에 전체 비용이 패키지로 포함되어 있는지요, 아니면 옥타, 엑소니어스, 다온 각각 비용이 산정되는지 궁금합니다.

조광윤 2023-04-13 16:48
A

개별 요소에 따라 비용이 산정됩니다. OKTA가 단독으로 ZTA를 구현하진 않고 다양한 에코시스템 파트너들과 함께 구현하고 있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51
Q

[질문] 가시성 확보를 위해 내, 외부 사용자의 이상 행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때 보안 정책을 수시로 보완할 수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이에 대한 대응은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 궁금합니다.

김현진 2023-04-13 16:47
A

Axonius는 이상행위를 하기 전에 그 자산의 취약점을 식별하고 위협에 대상이 될 경우 risk를 높여서 보안 정책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엑소니어스_황원섭 2023-04-13 16:49
Q

[질문] 랜섬웨어로 큰 고생을 했었습니다. 대안이 별로 없다는 생각입니다. 웨비나를 들어보니 인증 부분에서 의외로 해답이 나올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전 탐지등을 위해서도 인증을 활용한 사례를 알 수 있을지요?

최상일 2023-04-13 16:45
A

랜섬웨어 감염이 AD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AD에 접근에 MFA등을 적용한다면 조금더 시큐어한 환경이 구현될 수 있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50
Q

[질문] 차후 발견된 device의 취약점에 대한 대처는 보통 추가인원을 두어 관리해야 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Axonius에서 agent가 자동으로 패치등의 대응을 하는 것이 가능한가요? 특히 사용자의 터미널과 같은 경우 보안패치가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접속을 제한하는 것과 같은 것도 가능한가요?

이형준 2023-04-13 16:45
A

Axonius에서 패치 기능을 제공하고 있진 않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49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취약점의 식별부터 많은 리소스가 필요할텐데요. Axonius플랫폼을 활용하시면 리소스 절약을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액션 기능이 있어서, 특정 취약점(레벨)이 있거나 보안 정책에 위배(보안 agent 미설치)될 경우, 접속 제한 등 액션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접속 제한을 api로 제공하는 시스템과 연동이 필요합니다.

엑소니어스_황원섭 2023-04-13 16:52
Q

[질문]위협탐지시 가시성 확장 및 보안관제 능력강화가 모두 장애발생후 감지가 아닌 사전 공격징후까지 탐지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04-13 16:4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