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최근 국내 레퍼런스 주요한 곳은 어디인가요? 정량적인 효과는 어떻게 되는지요?

이세원 2023-04-13 16:09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분은 지금 공개적으로 설명드리기 어려워서 별도로 연락주시면, 검토하실때 충분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엑소니어스_황원섭 2023-04-13 16:12
Q

[질문] 보안의 SLA 제공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이세원 2023-04-13 16:08
A

제품별로 SLA제공범위가 다릅니다. 좀더 구체적인 내용으로 문의 주시면 확인해보겠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29
Q

[질문] 우수한 보안을 확보하는 것은 메우 중요하지만 동시에 비즈니스 수익에 즉각적인 타격을 주는 운영 다운타임을 예방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한 일인데, 운영 다운타임이 없는 제로 트러스트 OT 보안에 대한 엑소니어스, 다온기술의 제언이 궁금합니다.

양성필 2023-04-13 16:08
A

어려운 질문이네요. 우선 제로트러스트를 위해 어떤 자산을 보호할껀지, 어떤 사용자에게 허가를 해줄지를 고민해봐야 합니다. 즉, 인증부분과 자산에 가시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전환을 꾀해야 할꺼같습니다. 비즈니스 임팩트를 최소화 하기 위한 프로세스 수립의 기초 데이터로써 활용하면 어떨까 합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13
Q

[질문] 젓 질문인데, 2개의 approach, 즉 piecemeal approach(조금씩 ZTA로 변화)의 경우는 최종단계에 이르기 전까지는 완전하지 않은 시스템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이 우려되고, All-in-one은 말씀하셨다시피 긴여정이 필요한 ZTA의 개념상 현재 적합한 제품을 찾기 힘듭니다. 지금 ZTA를 적용하려는 입장에서 어딴 방법을 채택해야 하나요?

이형준 2023-04-13 16:08
A

오늘 세션에서 가장 중요하게 말씀드리려는 부분입니다. 저희는 오늘 인증과 자산보안에 먼저 초점을 맞추고 접근해보자는 의견을 드립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10
Q

[질문] 보안분야는 기술 영역마다 전문 벤더들이 많은데요, 엑소니어스, 다온의 업력이나 전문성이 궁금합니다, 스타트업인지 Okta의 전문 파트너사인지요?

박일규 2023-04-13 16:04
A

다온기술은 저희 엑소니어스와 옥타의 전문파트너사 입니다!

엑소니어스_황원섭 2023-04-13 16:05
A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05
A

다온기술은 올해 10년차된 보안솔루션 구축 및 유지보수를 전문으로 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현재 OKTA와 Axonius외 다수의 보안솔루션의 전문 파트너사로 사업영역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3-04-13 16:0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기기는 기존 lot 장비를 사용하고 이 장비들이 메타를 지원하는 허브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으면 구형장비도 메터를 지원한다고 할수 있을까요 ?

윤성원 2023-04-03 16:4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여러 플렛폼에 쉽게 연결이 되는 것은 참 좋은 것 같지만 문제는 등록된 동일 기기 예를 firetv stick 을 안방 거실에 들 다 등록후 알렉사 부르면 서로 답변하는데 이런게 멀티가 되면 더 혼선이 오지 않을까요 ? 메터에서 이런 문제는 어떻게 해결가능한지요 ?

윤성원 2023-04-03 16:3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기존 디바이스들이 매터를 호환하게 하려면 s/w만 개발하면 되는지 h/w 제약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호승 2023-04-03 16:3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구글홈의 예를 든다면 기존 구글홈 지원기기의 경우 구글홈에 최적화된 장비였을텐데 매터표준을 지원하는 장비라면 기존구글홈 지원장비의 기능보다 기능중 몇가지가 빠지거나 그런 건 아닌가요?ㅎ

원병찬 2023-04-03 16:2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그럼 matter는 osi 7 레이어중 응용계층에 해당하는 것이고 통신은 tcp/ip 통신을 하는 건가요 ?

윤성원 2023-04-03 16:1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ChatGPT활용의 부작용에 대처하는 방안이 궁금합니다

전승호 2023-03-13 17:0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ChatGpt 유료버전을 사용해서 개인, 기업이 프로그램이나, 어떤 제품을 만들어 상품화 하면 결국 그 이용료 정책이 중요할텐데. 어떤 정책으로 가는게 합리적일지 대표님 의견이 궁금하네요. 시기별로 게속 변화 되겠죠?

문태진 2023-03-13 17:0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챗GPT로 소설쓰기가 유행하던데 앞으로 AI 도구로 만든 그림이나 소설 등을 NFT 로 발행하면 이것이 스캠사기는 아닌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미 챗GPT 결제유도 사기가 극성인데 모든 것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책임이 되는 것인지 플랫폼 제공자는 도의적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되는 것인지 신기술이 발전할수록 관련 사기가 늘어나기 때문에 신기술은 양날의 검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는데 이로인한 피해를 어떻게 방지해야 하는지 전문가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이호승 2023-03-13 16:5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10년 후의 유망 종목을 물어보면 되니 괜찮지 않을까요?

이형준 2023-03-13 16:5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주식 추천이나 한 번 받아 볼까요?

이형준 2023-03-13 16:53
A

아마 ChatGTP는 데이터가 21년까지인가 밖에 업데이트가 안되어 있을꺼에요.

이준환 2023-03-13 16:54
A

10년 후의 유망 종목을 물어보면 되니 괜찮지 않을까요?

이형준 2023-03-13 16:55
Q

[질문] 현재의 인공지능은 통계를 이용하는 분야이겠는데요. 인공지능이 새로운 걸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고, 인간이 만들어 둔 지식 공간의 자료를 모아서 통계 기반으로 가장 적절할 걸로 판단되는 결과를 보여 주는 수준을 벗어 나기 어려울 것 같은데요. 모아둔 정보 공간의 자료가 잘못된 것이라면 잘못된 내용을 보여 줄 수 밖에 없을 것 같고... 정보를 끌어모아 변형을 하여 새로운 내용인 것 처럼 보일지라도 기존 인간이 만들어둔 지식 공간의 한계를 벗어 나지 못하지 않을까요?

김완수 2023-03-13 16:4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