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회사내 보안관제팀이 따로 있지는 않습니다. 전반적인 시스템 보안관제를 실시간으로 할 수는 없지만 로그분석 및 외부위협을 대응하기 위한 보안수준은 어느정도 구성해야 할까요? 보안관제영역을 확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중장기계획안이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비회원 김진수 2023-05-18 14:5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Zoro Trust 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적합한 보안 전략이라고 보는지요 아니면 기존 레거시 환경에서도 적용한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레거시에 적용 시 주의할 사항이나 고려핳 사항은 없는지요?

비회원 심사원 2023-05-18 14:52
A

시스템 및 서비스 환경에 대한 보안전략이라기 보다는 업무환경에 대한 보안전략이므로, 클라우드와 레거시의 차이가 없습니다.

비회원 맨디언트_강량호 2023-05-18 14:53
Q

(질문) 랜섬웨어에 걸려도 한 번에 데이터 전체가 감염되지 않을텐데, 이 경우 이상징후 감지하였을 경우 가장 최근 백업데이터와 현재 운영 데이터와의 차이를 체크해서 알려주는 기능이 있나요? 그리고 백업데이터로 복구시 선택 복구가 가능한지요?

비회원 김진수 2023-05-18 14:5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맨디언트의 홈페이지에서 멀티벤더 XDR 플랫폼이라는 내용을 볼 수 있었는데 Mandiant에서 제작한 제품들만으로 싱글벤더 XDR 플랫폼을 구성할 수도 있는지 그리고 맨디언트 멀티벤더 XDR는 어떤 회사들을 제품들을 포함하는지 궁금합니다.

비회원 전영진 2023-05-18 14:5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보안관제솔루션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면 운영인력의 스킬업또한 필수인데 정기/비정기교육의 제공정도가 궁금합니다.

비회원 양재영 2023-05-18 14:5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새로운 공격 그룹인 APT42에 최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준비하고 수행해야 할 활동들은 무엇인가요?

비회원 문주웅 2023-05-18 14:48
A

맨디언트 인텔리전스 및 리포트를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mandiant.com/resources/reports/apt42-spears-phishing-and-surveillance

비회원 맨디언트_문형록 2023-05-18 14:50
A

APT43 공격그룹의 주요 공격 벡터는 이메일 피싱입니다. 이메일 보안과 관련한 내부보안인식 교육과 이메일 보안 솔루션의 도입, 그리고 인텔리전스를 활용한 선제적인 탐지정책 반영이 필요합니다.

비회원 맨디언트_강량호 2023-05-18 14:51
Q

[질문] 공격그룹에 대한 파악을 하는 것은 보안의 측면에서 어떠한 장점들이 있나요? 단지 사후에 얘들이 그랬구나하는 것 외에.

비회원 이용석 2023-05-18 14:48
A

무언가 이상징후를 판단한 경우 공격자의 TTPs 와 비교 한다면 전/후 앞으로 진행될 사항을 유추해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비회원 맨디언트_문형록 2023-05-18 14:49
Q

[질문]코로나로 인한 재택근무의 증가로 보안취약요소가 증가하는데 단말종류에 상관없이 일관성있는 보안정책,수준적용이 가능한가요?

비회원 양재영 2023-05-18 14:47
A

Zero Trust 기술을 검토해 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비회원 맨디언트_문형록 2023-05-18 14:48
Q

[질문] 클나우드 보안 제품으로서 국제 인증을 획득했을까요?

비회원 이동근 2023-05-18 14:47
A

대표적으로 SOC2가 있으며 각각의 서비스 지역과 서비스 유형에 적합한 국제 인증을 획득하고 있습니다.

비회원 맨디언트_강량호 2023-05-18 14:49
Q

[질문] 재택근무 현황과 보안 이슈 및 대응방안, K-랜섬웨어 및 사이버 보안 이슈, 기만기술 대응 방안이 궁금합니다.

비회원 양성필 2023-05-18 14:4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공격 그룹들이 협업을 한다면 방어 성격인 보안 업체들도 협업하면 될 것 같은데, 맨디언트에서는 관련한 사례가 있나요?

비회원 이민주 2023-05-18 14:4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현재 많은 기업의 id와 pw를 다크앱에서 구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런 id, pw를 구해서 공격을 할 때 이를 방어하는 방안으로 가장 이상적인 것은 cti 같은 제품으로 미리 이 사실을 인지하고 id, pw를 차단하거나 삭제하는 것인지 어떤지 궁금합니다. 맨디언트에서 사용하는 더 좋은 방법이 있는지요?

비회원 윤성원 2023-05-18 14:46
A

구글에서 주요하게 강조하는 부분이 Zero Trust 입니다. DDW 에서 입수한 정보는 1차적으로 유효한 데이터 인지 검증이 필요 합니다.

비회원 맨디언트_문형록 2023-05-18 14:47
A

아 그것의 검증을 한 후 판단해야 한다는 말씀이군요...답변 감사합니다.

비회원 윤성원 2023-05-18 14:51
A

용어 그대로 dark web 이기 때문에 자칫 그 데이터를 무조건 신뢰 하다보면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로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 할 수 있습니다.

비회원 맨디언트_문형록 2023-05-18 14:53
A

예 그렇군요....시간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그럼 맨디언트의 어떤 솔루션이 효과가 있을까요?

비회원 윤성원 2023-05-18 14:55
A

DDW 도 모니터링이 필요하지만,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서 TI 를 참고 하심을 권장 드립니다. TI를 통해서 전세계 사이버 공격의 트랜드, 공격자의 전략/전술/기법 및 목적등을 파악하여 사전에 준비 대응이 필요 할 것 입니다. MATI(Mandiant Advantage Threat Intelligence)

비회원 맨디언트_문형록 2023-05-18 14:58
A

아 그렇군요...신속하고 유용한 답변 감사합니다.

비회원 윤성원 2023-05-18 14:59
Q

[질문] 보안침해 환경에서 다중 공격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탐지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요?

비회원 이민수 2023-05-18 14:4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신규 변종 랜섬웨어들이 원도우를 통하여 PC에 침입하고 첨부 파일 피싱, 악성 파일 다운로드로 감염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사전 탐지와 대응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비회원 이경석 2023-05-18 14:4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멘디언트 보안 솔루션 별로 수집한 데이터를 AI 보안관제적용에 필요한 학습에 사용한 사례가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사례가 있다면 수집한 데이터 들에 대한 지도학습/비지도학습 경험이 궁금합니다.

비회원 정상문 2023-05-18 14:4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위협탐지시 가시성 확장 및 보안관제 능력강화가 모두 장애발생후 감지가 아닌 사전 공격징후까지 탐지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비회원 양재영 2023-05-18 14:4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클라우드에서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 기술로 데이터 암호화를 선택하는 경우와 다중인증을 선택하는 경우를 고민할 때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어느쪽인지? DSP에서 이 두가지를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비회원 김진수 2023-05-18 14:4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RSA 2023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인프라의 보안 인증 방안과 제도 발전과 기술 지원은 어떻게 되는지요? 이전과 변경되는 중요 차이점은 무엇인지요?

비회원 지정호 2023-05-18 14:4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평판프로세스를 통한 공격차단 정보업데이트는 얼마나 자주이루어지는지 관련 정보는 오픈되는지요?

비회원 양재영 2023-05-18 14:4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최근 트렌드는 EDR을 뛰어넘어 XDR로 확대, 발전하고 있는데, 맨디언트의 솔루션은 이에 맞춰 어떤 고도화된 기능과 디셉션 기술로 XDR 지원 분야를 넓히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비회원 양성필 2023-05-18 14:4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