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ambient 라는 단어가 선택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intuitive, proactive, personalized 모두 ambient라는 단어에는 잘 어울리지 않는데요. ambient 라고 하면 위치적으로 중심이 있고(이건 사용자겠죠) 그 부근에 위치한 센서가 정보를 주는 형태라는 느낌인데요.

이형준 2023-02-27 16:27
A

앰비언트라는 용어가 나온 것은 일라이 젤카라는 분이 필립스로부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컨설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나왔습니다. 즉, 사용자 중심적인 관점에서 볼 때 사용자 주변에서 뭔가가 알아서 되어야 한다는 개념일 것입니다. intuitive, proactive, personalized는 앰비언트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특징인데요, 인튜이티브는 초기 앰비언트 서비스의 특징에 해당하고 나머지는 후기 앰비언트 서비스의 특징입니다.

김학용 2023-02-28 11:13
Q

[질문]쉽게 말해 자동으로 재고를 채운다면...불필요한 재고 축적 문제 발생할 듯한데....기술이 사용자의 판단을 어떻게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을까요? 개인화는 감정변화의 문제를 배제할 수 없는데... 이를 어떻게 고도화시킬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금혜성 2023-02-27 16:27
A

네 사실 자동이라는 말이 말은 좋지만 그로 인해 불필요한 구매나 재고 이슈를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초기에는 사용자의 관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구요, 먼 미래에도 완벽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지금으로서는 사용자들이 취사선택을 해서 사용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학용 2023-02-28 11:10
Q

교수님, 삼성 캄테크 성공할꺼라고 보십니까?

럭키초이 2023-02-27 16:25
A

쉽지 않다고 봅니다. 서비스 개념보다 기능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생태계를 확장하지 못하리라 봅니다. 그것도 그렇고 저에게 자문을 안 받는게 가장 큰 패인일 것 같습니다 ㅋㅋㅋㅋ

김학용 2023-02-28 10:57
Q

[질문] 앤비언트 기술이 확실하게 활성화되려면 영어 Her에서 같이 똑똑한 AI가 모든것을 처리해 줄수 있는 전용비서가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앰비언트 intelligence 시장은 그렇게 때문에 빅스비, 쉬리, 구글, 알렉사의 성공이 큰 관건인데 이 시장은 현재 어디가가 가장 유리하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요? 또 요즘에 chatgpt가 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3-02-27 16:24
A

정확한 지적이세요. 현재 사용자는 구글이 가장 많습니다. 스마트폰 보급량이 많기 때문이구요.. 애플 이용자들은 또 애플만 이용하죠. 재밌는 건, 이들도 집에서는 알렉사를 이용한다는 것입니다. AI 스피커 이용자 비율은 알렉사가 약 65%, 구글이 30% 정도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김학용 2023-02-28 10:59
Q

[질문] ambient 지능이란 개념은 가정용 상용 IoT 표준인 메터(Matter Standard)에도 포함되어 있나요?

이형준 2023-02-27 16:23
A

매터가 없어도 앰비언트는 가능하지만, 매터 같은 단일 통합 표준 및 사용자 친화적인 기술을 써야만 더 쉽게 구현이 가능해집니다.

김학용 2023-02-28 10:56
Q

[질문] 유비쿼터스란 단어를 처음 접했을때와 같은 답답한...ㅠㅠ 느낌이 드네요... 앰비언트.. 과연 무엇인지... 유비쿼터스와는 어떤 면에서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박선희 2023-02-27 16:19
A

네 맞습니다. 대표적인 차이는 유비쿼터스는 하드웨어, 즉 어디서나 컴퓨터를 쓸 수 있다는 개념인데 비해, 앰비언트는 이런 컴퓨터들을 바탕으로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약간 더 진화한 느낌이죠. 또 다른 부분은 유비쿼터스는 개념이 등장했을 때 이를 구현하는게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앰비언트는 하드웨어는 물론 소프트웨어적으로도 구현이 가능한 상황입니다.

김학용 2023-02-28 10:53
Q

[질문] 이미 우리 실생활에서 앰비언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면 모든 곳에 컴퓨터가 내장되고 ->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어디서나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하고 있지 않나 생각되는데, 어떻게 보시는지요?

김현진 2023-02-27 16:18
A

아직까지 "모든"은 아닌 거 같구요 "일부" 더 나아가서는 "상당 부분" 정도는 맞다고 생각합니다. 가전 대기업들도 2020년 이후 출시된 모든 제품들은 다 인터넷에 연결되는 제품들만 출시하고 있거든요. 하지만, 가구라든지 비 전자제품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김학용 2023-02-28 10:51
Q

[질문] 예전에 빌게이츠가 텔미프로젝트라고해서 스마트폰을 홀로그램화해서 가지고 다니지 않고 허공에 대고 클릭하면 스마트폰의 화상이 나오는 것을 구현하고 있는데 이런 기술도 앰비언트 기술의 하나인지 궁금합니다. 그런데 이런 홀로그램은 카메라기능이나 동영상 기능은 구현이 어려울 것 같은데 물리적인 물체 없는 앰비언트 기술이 이런 스마트폰의 순기능은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3-02-27 16:18
A

사실 앰비언트는 개별 기술이 아니라 개념적인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조작을 하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으면 앰비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홀로그램 장치를 들고 다니며 직접 조작을 해야 한다면 앰비언트라고 하기 어려울 것 같구요, 만약 그 장치가 알아서 영상을 띄워주고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앰비언트라 할 수 있습니다.

김학용 2023-02-28 10:49
Q

[질문] 언뜻 떠오르는 2개의 문제점, IuT 디바이스의 고질적 문제인 파워의 공급문제, 그리고 보안이나 사생활 보호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대중화가 가능해 질까요?

이형준 2023-02-27 16:17
A

방송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에지 컴퓨팅을 활용한다거나 사용자 정보를 알 수 없는 센싱 정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별도로 고객 정보 보호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이 개선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김학용 2023-02-28 10:48
Q

엠비언트 시대가 도래해도 여전히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로 '스마트폰'이 어느 정도는 유지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혹시 디바이스도 스마트폰을 넘어선 다른 디바이스로 변화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김상균 2023-02-27 16:17
A

방송에서도 말씀 드린 것처럼 한동안은 스마트폰이 그대로 사용될 것이고, 스마트폰의 사용 빈도가 줄면 그에 따라 폼팩터가 바뀔 것으로 봅니다. 대신 워치나 글래스 등의 웨어러블과 AI 스피커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 같습니다.

김학용 2023-02-28 10:46
Q

[질문] 그렇다면 ambient란 Intelligent IoT인가요?

이형준 2023-02-27 16:15
A

네네 AI+IOT인 거죠..

김학용 2023-02-28 10:45
Q

[질문] 있는듯 없는듯 사용자 요청에 반응하여 동작하려면 기기간 정보공유와 연결이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재 IoT의 기술들과 그에 따른 제품들을 보면, ZigBee/Bluetooth/WiFi 등 매우 다양한 연결 기술들이 존재하고 각 기술에 대한 의존성이 있는 제품들이 나와 있어, 실제 소비자 입장에서는 구분없이/기술에 대한 이해없이, 연결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런 통일되지 않는 너무 다양한 연결 기술 상황이 앞으로의 앰비언트 시대에는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보는지요?

홍완표 2023-02-27 16:15
A

정확한 지적이십니다. 그래서 Matter라는 표준을 만들게 된 것이구요, 아직은 초기이기는 하지만 보편화가 된다면 (최소 1~2년 이상은 걸릴듯) 연결이나 호환성의 문제는 상당부분 해결되리라 봅니다.

김학용 2023-02-28 10:44
Q

[질문] 스마트폰의 출하량은 감소했지만 예전에 연세드신 분들이 스마트폰 사용을 엄두도 못 냈던 시대에서 이제는 연세드신 분들이 더 많이 더 열심히 사용하는 현상은 스마트폰의 새로운 사용층이 생기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면 스마트폰은 앞으로도 더 활용화될 가능성이 큰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3-02-27 16:14
A

네 적어도 한동안은 스마트폰의 역할이 중요할 것입니다. 정확하게 가늠할 수는 없겠지만, 앞으로 5년 정도면 그 역할이 많이 줄어들기 시작할 것 같구요..

김학용 2023-02-28 10:43
Q

앰비언트면 IoT 디바이스 말씀이신가요?

최재경 2023-02-27 16:14
A

IOT에 인공지능이 결합된 지능형 IOT, 즉 AIOT를 기반으로 합니다.

김학용 2023-02-28 10:42
Q

성능의 개선 정도가 약해진 것도 한 몫하지 않았나요?

이형준 2023-02-27 16:1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스마트폰 감소세는 엠비언트 시대의 도래의 영향도 있겠지만 기업마다 신제품 출시시기나 다른 부분에서 찾아볼수도 있지 않을까요?

김현진 2023-02-27 16:1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시장의 쇠퇴인지, 단순한 saturation의 결과인지는 어떻게 구분하는거죠?

이형준 2023-02-27 16:10
A

시장의 쇠퇴는 스마트폰이 다른 무엇인가로 대체되어 나가느냐로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직 그 단계까지는 아닌 거 같구요, 다양한 웨어러블 및 스마트 기기로 조금씩 대체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실제로 구글, 애플, 삼성도 그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김학용 2023-02-28 10:41
Q

[질문] 소장님의 "냉장고를 꽁짜로 드립니다"란 책 아주 감명있게 읽었는데 앰비언트도 구독성 서비스가 기반이 되는 기술인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3-02-27 16:05
A

구독 기반이 될 수도 있겠지만, 지금 생각으로는 기본 서비스가 되고 이를 바탕으로 부가 서비스를 판매하는 형태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수익 모델은 아주 다양하게 활용될 것 같습니다.

김학용 2023-02-28 10:39
Q

[질문] 90년대 처음 등장했던 유비쿼터스와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하면 되는지요?

김현진 2023-02-27 16:03
A

네 맞습니다. 유비쿼터스에서 진화한 개념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김학용 2023-02-28 10:37
Q

자료 공유 관련해서 따로 안내 메일 못받았습니다. 자료 공유 어디서 확인 가능할까요?

Younggi Seo 2023-02-22 14:5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