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ite 는 애플리케이션 내장형 로컬 DB이고, BigQuery 는 Google Cloud에서 제공하는 완전관리형 서비스 입니다.
예 그렇죠..빅쿼리의 lite형은 없는지 궁금해서 문의드린겁니다.
BigQuery Edition 기능이 GA 되어 있습니다. https://cloud.google.com/bigquery/docs/editions-intro?hl=ko 위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Google Cloud Storage로 데이터를 복제하고 (업로드), 해당 데이터를 BigQuery에서 쿼리할 수 있으며, 해당 쿼리의 result cache 기능을 지원합니다.
빅쿼리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라 몇 개 노드를 실행한다는 개념이 없어요... 그러다 보니 장애가 났다 안났다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합니다. 만약 내부적으로 그런 일이 있다고 해도 분산환경에서 노드 failover 입니다.
아 이제 좀 빅쿼리를 선호하는 이유를 알수 있을것 같네요 그럼 빅쿼리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손댈것이 없다고 하는 부분은 인프라관리 영역이 그렇다는 것이구요. 보통의 RDP들은 ACID를 지원하지만 빅쿼리는 그렇치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해당 내용은 실제로 구축하시려는 서비스의 시나리오, 그리고 전체 인프라를 우리 클라우드메이트에서 구축, 컨설팅, 기술지원 해드릴 수 있습니다. [email protected]로 문의주시면 친절히 상담해드리겠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네. 가능합니다.
BigQuery 서비스는 고객의 인프란 관리 포인트를 0에 가깝게 만들어놓은 서비스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BigQuery의 BORG (하이퍼바이저) 내에서 컴퓨팅 노드를 자동으로 구성합니다. BigQuery의 성능 테스트는 웨비나 후반부를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 그럼 일단 인프라차 크게 충분히 산정해 놓고 그 인프라를 조금씩 조금씩 사용하는 것이군요..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초기 인프라 비용이 많이 나오지 않을까요?
용량과 무관하게 BigQuery의 Storage 비용은 저렴하며, Google Cloud의 "콜로서스"라는 따른 분산 스토리지를 이용하게 됩니다.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기존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할 필요성은 없는거죠?
BigQuery 모델링에서는 파티션 컬럼을 특정하여 모델링할 수 있는 부분만 있으며, 일반적으로 OLAP 환경에서는 특정 컬럼들에 대한 Clustered Index, Nonclustered Index 를 생성하지 않습니다.
아 인덱스 생성이 필요없는 아주 큰 장점이 있군요...답변 감사합니다.
[email protected]로 연락 주세요.
네 BigQuery는 성능 개선을 위한 튜닝 작업을 거의 대부분 자동으로 합니다. 손댈 필요가 거의 없고, 대용량에서도 좋은 성능이 나옵니다. 다만, 데이터 특성을 알고 있다면, 복합 쿼리에서 어떤 서브 쿼리가 먼저 실행되면 좋을지, 파티션/클러스터링 정책 등은 고민하시면 좋습니다
예 그렇더라구요...오토머스 db도 관리가 많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빅쿼리도 관리포인트는 적지만 신경써야 할 부분이 있네요...답변 감사합니다.
BigQuery는 성능 개선을 위한 튜닝 작업을 거의 대부분 자동으로 합니다. -> [질문] 튜닝을 위해서는 데이터 통계정보가 필요할텐데 이런 통계정보는 어떻게 구축하며 실시간으로 변하는 데이터에 대한 통계정보도 실시간으로 구축하는지요 ?
통계정보는 보통 OLTP에서 일부 데이터에 엑세스하는 플랜을 작성하기 위한 정보이고, DW나 OLAP에서의 대상 데이터는 전체 데이터일 경우가 많으므로 통계정보에 대한 고민은 맞지 않는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해결하시려는 비즈니스 환경에 따라 다양한 기술지원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aint point 또는 원하시는 솔루션을 [email protected] 로 문의 주시면 친절히 상담해드리겠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OLTP 성격의 검색 서비스를 구현한다는 전제 하의 시나리오였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BigQuery 의 Result cache를 활용할 수 도 있으며, 별도의 캐시 서버를 구축하려는 경우 HTTPS 전문을 그대로 프록시 하는 형태로 구축할 수 있으며, 그것이 클라우드메이트에서 개발한 CacheCat [캐시캣] 솔루션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skew라 함은 ML 관련 내용일 듯 한데, BQML보다는 Vertex AI를 사용하셔서 데이터를 explore 하시고 BQML로 학습을 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아 그런 방법도 gcp를 사용하면 가능하겠군요...답변 감사합니다.
컴퓨팅 자원을 미리 reservation 개념으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아 미리 리저브 시키면 가능하겠군요...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