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할 수 있는 device 개수의 제한은 없습니다. 다만, 플랫폼 하드웨어 사양과 구성의 사이징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추가 비용이 없이 적용하기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기존처럼 무조건 솔루션부터 도입하기 보다는.. 오늘설명드리는 Axonius와 Okta와 같이 기준점을 제시할 수 있는 플랫폼을 먼저 도입하게 되면, 이후 필요한 솔루션을 좀더 명확하게 검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취약점 패치를 제공하진 않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이미 자산에 설치된 에이전트(예: AV, NAC, EDR등)의 매니져서버에서 정보를 수집합니다. 또는 네트워크 스캐너, 취약점스캐너등에서도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추가 답변 드리겠습니다. 저희 Axonius는 기존 자산관리 솔루션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아래와 같이 각 Tech Stack별로 존재하는 시스템(솔루션)들과 API 등의 방식으로 연결하여 흩어져있는 자산(device, software, user) 정보를 수집합니다. - 네트워크 : 스위치, 무선 AP, 라우터, NMS, (취약점)스캐너, IP관리, NAC, 방화벽 등 - 호스트(단말, 서버) : AD, 단말관리, EPP/EDR, DLP, 패치관리 등 - 가상화/클라우드 : VDI, VMware ESXi(vCenter), OpenStack, Kubernetes, AWS, Azure, GCP, Oracle cloud 등 - 자산/계정/통합 관리 : ITAM/CMDB, IAM 등
네, OKTA, Axonius모두 API를 통해 쉽게 연동가능합니다.
IAM인증 부분에서는 충분히 가능한 사항입니다. 다만 어떤식으로 프로세스를 수립하는지가 검토 필요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네, 그렇기에 ZTA구성에서 SIEM과 같은 솔루션을 이용한 모니터링 고도화도 필요합니다.
지금 설명드리는 Axonius는 분석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죄송합니다. 제가 잘못 답변드렸습니다. 식별된 자산에 대해서 특정 조건에 해당될 경우, 이메일 등 알람 가능합니다.
그렇기에 ZTA적용에 첫걸음을 인증과 자산보안으로부터 시작하자는 이야기를 드리려 합니다.
네,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산이 추가 식별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액션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오늘 설명을 좀더 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R = A V T 임으로, 리스크 스코어링에 자산과 취약점, 위협 정보를 활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자산이 위치된 환경이 다를때 위협의 정도를 계산하는데 있어 가중치나 이런 부분은 미리 별도로 부여해야하는지요 자동으로 부요되는지요?
완전 자동은 아닙니다. 기준을 사전에 설정해야 합니다. 다만, 그 근간이 되는 자산 데이터를 통합하여 자동으로 제공됩니다.
그렇군요~
Axonius에서 식별된 자산정보를 통해 보안 검증과 추가 인증에 대한 액션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차가로 인증솔루션과 연계하여 구현할 필요도 있습니다. 단말의 랜섬웨어 감염시 SIEM, SOAR 등에서 Axonius의 자산 정보를 활용하여 좀더 정확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