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근무라고 하더라도 회사의 자산이라고 하면, 회사의 IT인프라(시스템)과 보안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음으로, CAASM 플랫폼으로 연결하여 가변적인 자산도 모두 식별이 가능하게 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기존의 DMZ, 내부망등으로 구분되는 경계보안 전체를 다 변화시켜야하는 부분입니다. 단순한 DMZ대체는 아닙니다.
맞습니다.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Axonius 솔루션 부분을 먼저 답변드립니다. 저희가 자산 식별과 취약점, 거기에 기존 솔루션의 위협 정보까지 자산을 중심으로 통합하여 분석하면, 위협에 대한 영향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Risk scoring을 통해 ZTA의 검증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단말의 종류를 명확히 식별하고 관리 영역에 두는게 먼저일꺼같습니다. 지금까지는 단말을 식별할 방법이 없었다면 이제는 Axonius와 같은 솔루션으로 가능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그렇기에 클라우드 기반의 IAM같은 솔루션과 클라우드 사용이 필요하게 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사용자를 OKTA로 검증하고, MFA등으로 추가 보안을 적용하고, VPN접속 단말을 식별하고(개인용/회사용)이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한정하는등의 방법이 가능할꺼같습니다.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보안 로그 분석에 대한 설명은 없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오늘 설명드리는 Axonius 플랫폼으로 명확한 자산 식별과 그 자산의 취약점을 확인하여 사전에 예방활동과 위협에 대한 조치 대응을 진행할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