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AI Factory라는 개념이 기존의 데이터 팩토리 또는 소프트웨어 팩토리와 어떤 차이점을 가지는지 궁금합니다.

신익주 2025-07-01 14:12
A

AI Factory는 데이터 팩토리와 소프트웨어 팩토리의 개념을 확장해서 AI 모델을 개발하고 배포,운영까지 일관된 파이프라인을 제공하고 자동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중요한 차이는 AI 라이프싸이클에 AI 팩도리가 집중하고 있다는 점 입니다.

F5 KOREA 2025-07-01 14:14
Q

[질문]AI 모델 배포 시, 추론 결과의 설명 가능성(XAI)을 확보하기 위한 아키텍처 설계가 가능한가요?

최형은 2025-07-01 14:10
A

로드밸런서가 XAI자체를 구현하지는 않지만 XAI 기능이 안정적이고 확장성있게 서비스되도록 도와주는 인프라역할을 할수있습니다.

F5 KOREA 2025-07-01 14:23
Q

[질문]AI Factory 도입이 AIOps도 가능하게 하는 가요?

전경진 2025-07-01 14:10
A

AI Factory 개념은 AIOps 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기반이됩니다. 데이터 파이프라인, GPU리소스나 자동화된 MLOps등 AIOps구현을위한 데이터수집, 분석, 의사결정의 토대가 됩니다.

F5 KOREA 2025-07-01 14:21
Q

[질문] 최근 틱톡 같은 SNS들이 AI 기능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음성인식 및 안면인식 상태를 통해 감정상태 등도 파악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애플리케이션 딜리버리 현대화 측면에서 멀티 AI에이전트의 기능을 활용한 서비스는 어느 수준까지 지원하나요?

임종택 2025-07-01 14:09
A

에이전트마다 역할이나 응답시간 리소스사용량이 다를것이므로, 요청내용에 따라 특정 AI에이전트로 요청을 분기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같습니다. 예를들면 실시간 리소스 사용량이나 응답지연시간기준의 부하분산이 될 수 있겠습니다.

F5 KOREA 2025-07-01 14:19
Q

[질문]AI Factory 구현에서 보안은 어떤 방식으로 내재화되어야 하나요?

신유진 2025-07-01 14:08
A

프론트엔드앱에 대한 보안을위해 API보안이나, OWASP LLM TOP10 보안을위한 AI게이트웨이가 고려되야 합니다.

F5 KOREA 2025-07-01 14:17
Q

[질문]F5 r-series와 velos의 차별성은 MLOps나 AI 딜리버리 관점에서 어떻게 발휘되나요?

신유진 2025-07-01 14:08
A

데이터수집에대한 최적화, 저지연과 하드웨어기반의 빠른 부하분산처리로 AI딜리버리과정을 극대화하게됩니다.

F5 KOREA 2025-07-01 14:15
Q

[질문]기존 DevOps 환경에서 F5 기반 트래픽 관리 체계를 연동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신유진 2025-07-01 14:08
A

DevOps조직이 관리하는 클러스터내 서비스와 NetOps조직이 관리하는 인프라간의 서비스 정합성이 가장중요합니다. 이를위한 자동화구현을 어떻게 설계할지가 핵심이라고 보면됩니다.

F5 KOREA 2025-07-01 14:13
Q

[질문] 모델이나 서비스 업데이트 시, 트래픽 중단 없이 무중단 배포가 가능한 구조를 어떻게 구현하나요?

최성태 2025-07-01 14:08
A

블루-그린 배포나 카나리배포 방식의 업데이트를 통해 구현이 가능합니다.

F5 KOREA 2025-07-01 14:11
Q

[질문]AI Factory 도입 시 초기 단계에서 가장 큰 병목은 무엇인가요?

신유진 2025-07-01 14:08
A

모델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및 딜리버리가 초기단계에서 가장 큰 어려움입니다. 효율적으로 모델이 학습할수 있는 데이터전송이 이루어저야 합니다.

F5 KOREA 2025-07-01 14:09
Q

[질문] 사용자 요청이 폭증하거나 AI 모델이 예상치 못한 응답을 하는 경우, 이를 어떻게 조정해 사용자 경험을 보호할 수 있나요?

최형빈 2025-07-01 14:05
A

네 사용자요청이 폭증했을때 GPU자원상황을 고려한 트래픽분배가 핵심입니다. 영상 뒤에서 어떻게 GPU클러스터를 활용하는지 참고해 주시면 될것같습니다.

F5 KOREA 2025-07-01 14:07
Q

[질문] 만약 외부 AI API나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내부 인프라 보안 외에 어떤 부분까지 점검하고 대비해야 안전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정하나 2025-06-27 15:0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보통 보안 시스템은 네트워크나 기기 단위에서 통제를 하는데, AI는 사용자의 입력값 자체가 리스크가 되잖아요. 이걸 탐지하거나 선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방성현 2025-06-27 14:5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제조업 특성상 공정 레시피, CAD 도면, R&D 문서 등 지적 자산이 클라우드 기반 협업툴에 저장되는데, 이런 민감 데이터를 AI 기능이 자동으로 분석/요약하는 과정에서 정보 유출 가능성은 어떻게 통제하면 좋을지요? AI가 문서 내용을 자동 참조하거나 추천하는 기능은 생산 비밀 보호 측면에서 어떤 보안 설정이 필요할지도 궁금합니다.

최형은 2025-06-27 14:5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CVE-2025-32711 취약점 외에, M365와 같은 범용 협업 도구에 AI 기능이 통합될 때 특별히 주의해야 할 다른 잠재적 취약점이나 공격 벡터가 있을까요?

이원규 2025-06-27 14:5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CVE-2025-32711과 같은 AI 기반 협업툴의 취약점이 실제로 설비 운영 시스템이나 MES 등과 연결되는 경우, 제조 현장에 어떤 간접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을까요? AI 통합 협업 시스템이 생산 현장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했을 때, 보안사고가 실물 운영에 미치는 리스크는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나요?

김정숙 2025-06-27 14:5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감사 대응과 정책 보고를 위한 로깅, 모니터링 체계가 중요합니다. AI 기능이 도입된 시스템의 로깅 기준은 기존 방식으로 충분할까요? AI의 추론과 자동 제안 등 비결정적 처리에 대해 행위 이력 추적성을 어떻게 확보해야 할지요?

최성태 2025-06-27 14:5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I 관련 보안/취약점 최신 정보를 제공해 주는 주요 사이트나 기관 등은 무엇이 있나요?

조한나 2025-06-27 14:5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공공기관은 다수 부서가 하나의 플랫폼을 공유하는 구조가 일반적입니다. CVE-2025-32711 같은 취약점 발생 시, 권한 간 경계 붕괴 가능성은 어떻게 사전에 통제해야 할까요? AI 기능이 부서 간 데이터 경계를 넘나드는 경우, 실무적으로 어떤 설정이 필요할까요?

최형빈 2025-06-27 14:5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AI 서비스 연동 시 주의해야 할 보안 점검 사항은 무엇인가요?

임근식 2025-06-27 14:5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기밀정보 보호 체계 내에서 AI 기능 허용 기준은 어디까지 설정해야 한다고 보시는지요?

최형빈 2025-06-27 14:5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