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아무래도 기존 데이터를 닮아가는 창의성인데 인간처럼 배우지 않고 타고난 창의성을 보유하기는 현재의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 같은데... 새로운 방법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하는 회사나 학교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인규 2023-03-13 16:2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그래픽 캐릭터 디자이너가 미드저니를 활용해서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어 낸다면 그게 표절이 되는걸까요 ? AI가 만든 창작물의 저작권은 AI 에게 있는건지

이호승 2023-03-13 16:24
A

미국에서 프롬프트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판결이 나왔습니다.

김학용 2023-03-13 16:25
Q

[질문]'21년 이후 데이터는 크롬 확장프로그램, 웹챗 GPT, 프롬프트지니, AIPRM 등을 설치하고 개인이나 단체가 다시 검증을 마쳐야 하는데 결과값의 정확도 퍼센테이지는 개인이 얼마나 줄 수 있을까요?

유재명 2023-03-13 16:2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초거대 인공지능이 웹 3.0시대 메타버스 구현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는데, 챗GPT는 범용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웹 3.0 가치철학인 공정과 분배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김현진 2023-03-13 16:1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교수님이 말씀하시는 디지털 리터러시는 기술 자체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기술을 배워야 하는 이유를 알고 왜 사용하는지를 알게하는 과정일 것 같은데 이런 의미에서 이런것은 계몽이 아닐런지요 ?

윤성원 2023-03-09 17:0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어떤 분야든 사용자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찾으면 시장이 되고 경쟁력이 생겨 순기능 통한 다른 영역에서도 시너지가 날수 밖에 없는 원칙이군요. 앞으로 10년간 분야별로 고도회된 빅데이터 서비스가 이루어질거 같은데 이 부분에 대해 국내 IT 솔루션 IT 업체들이 향후 10년을 지탱할 솔루션을 생각해본다면 오히려 공공서비스 분야가 더 많아질거 같은데 교수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문태진 2023-03-09 17:0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영상 미디어 영역에도 최근 급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 영향이 큰 것 같습니다. 챗GPT 같은 생성형 AI의 경우 인간의 창의성 영역을 침투해 빠르게 대체하는 모습인데, 전통적인 창작 영역에 도전하는 미래 세대들은 어떻게 학습하고 무엇을 배우는데 치중해야 할까요

박일규 2023-03-09 17:0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그럼 돈과 이용자가 같이 몰리면 트랜드가 패러다임으로 변할 수 있다고 이해하면 되는 것이지요?

윤성원 2023-03-09 16:5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변화의 필연성에 대해 마음속 깊이 공감하면,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행동으로, 행동은 학습으로 바꾸게 된다고 하는데 조직에서 디지털 혁신을 위해 현실적으로 당장 실행 가능한 학습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 웨비나에서 말씀하신 원칙에 대한 것일까요? 교수님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김현진 2023-03-09 16:4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패러다임과 트렌드를 구분할수 있는 기준이 있을까요 ? 선별력? 을 가지기 위해선 어떤 공부를 해야 할까요 ?

이호승 2023-03-09 16:4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뉴노멀이 이렇게 어려운 이론이었군요...계속 바뀌는데 그 안에도 원칙이 있다는 것인지 아님 기본 원칙은 변하지 않는데 원칙을 만드는 기준이 바뀌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3-03-09 16:3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멕킨지 디지털 보고서, singularity hub, 구글 인공지능, 하버드 리뷰 이정도로 간추리면 되는지요?

윤성원 2023-03-09 16:3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교수님이 생각하는 현재 우리 기업의 디지털 혁신 수준은 어느 정도 인지요?

김현진 2023-03-09 16:3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그래서 교수님의 리더스 클럽이 kbs에서 효과를 보셨는지요 궁금합니다. ?

윤성원 2023-03-09 16:3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교수님이 생각하실때 리더가 미래를 조망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책을 읽는 것이 제일 효과가 큰지 아님 더 좋은 방안이 있는지요? 교수님의 보고서의 내용이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3-03-09 16:3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변화되는 환경에 맞춰 새로운 원칙을 수립해야 하는 상황은 없는지 혹은 새로운 원칙이 보편화 되기도 하는 사례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호승 2023-03-09 16:2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KBS가 디지털 혁신, 생산성 향상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일 중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는 것 중 무엇이 있을까요? 사례가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김현진 2023-03-09 16:1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