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오 컨텍스트가 마케팅에도 이용될 수 있는 시대가 곧 오겠네요..음성인식 스피커는 충분히 가능성이 많아 보이는데 스피커 말고 tv나 냉장고에서도 그럼 가능할 것 같은데 이런 시도도 하고 있는지 궁금하고 그럼 가전제품을 만드는 삼성같은곳이 더 유리할 것 같네요. 소장님은 이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윤성원 윤성원 2023-02-27 16:59
A

네 이미 다 진행되고 있는데요, 효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별로 진행되고 있지 않습니다.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한적이라는게 문제인데요, 이 부분만 극복되면 커다란 시장이 열리리라 봅니다.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2:14
Q

[질문] ambient 시대에 일상생활의 편리성과 비즈니스의 가치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문주웅 문주웅 2023-02-27 16:58
A

정말 좋은 질문인데요, 그 답을 저도 알고 싶습니다 ㅠㅠ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2:13
Q

[질문] 앰비언트 시대가 도래하더라도 아직 여전한 한계가 있을 것 같은데요, 편해 보이지만 편하지 않다 던지, 여전히 사용자가 명령을 외워야 하고, 편안한 대화를 나눌 수 없으며, (빅스비, ooo 해줘와 같이)자사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등 한계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앞으로 어떻게 개선이 될 수 있을까요?

김현진 김현진 2023-02-27 16:58
A

ChatGPT 같은 기술이 편안한 대화를 하게 해줄 것으로 봅니다. 이미 영어로는 거의 완벽하다는 이야기를 할 정도입니다.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2:12
Q

[질문] Samsung, Google, Meta 등의 대기업에서 앰비언트 제품들을 주목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이민수 이민수 2023-02-27 16:56
A

주목하는 이유는 당연히 스마트폰이 한계상황에 도달해서 그 다음을 고민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음성 인터페이스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Voice Everywhere죠.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2:11
Q

[질문]현재 앰비언트 컴퓨팅 관련 분야에서 H/W, S/W 비중은 어느정도인가요? 미래에는 어느쪽이 중요하게 될까요?

비회원 양재영 2023-02-27 16:56
A

HW, SW 비중은 모르겠구요, 결국 미래에는 SW 쪽이 더 중요해 지겠죠. AI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까지..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2:11
Q

[질문] 현재의 스마트폰 처럼 기기를 가지고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손목 팔찌, 이식 칩 등으로 언제 어디서나 디스플레이와 네트웍이 연결된 곳에서 바로 접속해서 사용하는 시대가 올까요? 이전에 영화에서 나왔던 것이 현실화 될까요?

비회원 양재영 2023-02-27 16:55
A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미 그렇게 쓰시는 분들도 어느 정도 계시구요.. 물론, 여전히 스마트폰이 메인이지만요 ^^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2:10
Q

[질문]앰비언터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면, 사람이 기계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기계가 사람을 배우고 알아서 서비스를 한다고 합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는데요, 그것에 대한 해결책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비회원 양재영 2023-02-27 16:55
A

앰비언트 서비스가 제공되는 곳에는 공유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이 가장 먼저 적용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 때 개인정보는 해당 공간에서만 사용되고 외부 유출은 금지되는 형태로 추진될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다른 곳으로 서비스가 확대된다면 서비스 공간 단위로 개인정보의 이전에 대한 합의나 절차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형준 이형준 2023-02-27 17:16
Q

[질문] PC, 스마트폰 다음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은 무엇인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그러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문주웅 문주웅 2023-02-27 16:55
A

PC, 스마트폰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입니다. 그런 측면에서는 음성 인터페이스가 주목을 받을 것 같구요, 기본적으로 음성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제품이 대상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1:57
Q

[질문] LLM 기술이 앰비언트 기술에 적용되려면 컴퓨팅파워가 없어도 통신만 가능하면 가능한지 궁금하네요..

윤성원 윤성원 2023-02-27 16:54
A

작든 크든 LLM의 처리 자체가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합니다. 게다가 향후 트렌드는 에지에서 혹은 온디바이스로 AI 처리를 하는 것이 큰 방향이기에 컴퓨팅 파워는 필수입니다.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1:55
Q

[질문] 앰비언트 컴퓨팅이 가능해진 것은 인공지능의 발전 덕분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까요?

김현진 김현진 2023-02-27 16:53
A

네 인공지능 때문에 급격히 앰비언트가 주목받고 있는 것입니다.ㅏ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1:54
Q

[질문]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에 Smart Phone 시대가 종결되고 Ambient 시대가 도래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이민수 이민수 2023-02-27 16:53
A

스마트폰의 중요성은 조금 낮아지겠지만 적어도 5~10년은 스마트폰이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앰비언트 시대가 주목받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이제 기술 발전은 한계에 도달했고 결국 사용자들이 편하게 기기를 이용하고 사용자 관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1:54
Q

matter를 통해 여러 브랜드 제품을 연결하고 사용자가 쉽게 제어하고 그 다음은 뭘까요? 제약 없이 기기를 연결하고 쉽게 제어한 다음에 그 이후 value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뭐가 있을까요?

비회원 김은숙 2023-02-27 16:52
A

그 다음이 생활 서비스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디바이스를 많이 사용하면 고객과 관련된 데이터들이 많이 모아질테고 거기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찾아내야겠지요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1:52
Q

[질문] Samsung에서 Calm Technology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운영하게 된 계기와 이유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문주웅 문주웅 2023-02-27 16:50
A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스마트폰 시장의 한계를 인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결국 가전 시장이 살아야 하고 서비스로 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요, 서비스의 개념이 상위 개념이 아닌 하위(기능 중심) 개념인 것이 문제라고 봅니다.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1:51
Q

[질문] 삼성 스마트싱스 기술이 아주 훌륭해서 많은 디바이스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 아직 타사의 제품의 등록은 지원이 안되는게 너무 많아서 좀 아쉬운데 삼성 스마트싱스가 계속 향후에도 보안측면에서 퍠쇄적인 정책을 유지할 지 어떨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윤성원 2023-02-27 16:50
A

매터를 지원하면서 매터를 지원하는 타사 제품도 다 수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아직 매터 지원 제품들이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1:50
Q

[질문]앰비언트 컴퓨팅에서 빼놓을수 없는 부분이 지능형 사물인터넷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능형 사물인터넷 분야중 스마트홈에서는 매터라는 표준이 등장하면서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되고 있으며, 물론, 국내 기업(삼성, LG 등)도 캄테크 기술 전략 등으로 준비를 많이 하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앞으로 '23년도 1분기 이후 많은 매터 인증된 디바이스가 출시 될 텐데요. 너무 광범위하고 막연한 질문일수도 있겠는데요. 비즈니스 기회가 어렵고 쉽지않은 국내 중소기업 입장에서 소비자의 고객가치를 위해 어떤 비지니스 전략으로 고민하고 준비를 해야 할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비회원 양재영 2023-02-27 16:49
A

네 사실 AIOT가 앰비언트의 기반 기술입니다. 그리고 매터로 인해 더욱 보급이 확산되리라 생각합니다. 다음에도 말씀 드리겠지만, 매터는 모두를 위한 표준처럼 포장되어 있지만, 사실상 플랫폼 사업자를 위한 표준입니다. 따라서, 디바이스 제조사들은 경쟁 사업자들과 피나는 경쟁을 해야 합니다. 차별화 전략으로는 가장 확실한 것이 가격인데요, 이는 중국 기업들이 유리하리라 봅니다. 다른 전략은 다른 기기에서는 제공하지 못하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인데, 문제는 대부분의 보편적인 장치에서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중소 디바이스 제조사는 갈수록 더 어려워지리라 생각합니다.

이형준 이형준 2023-02-27 16:53
A

형준님 정확하십니다!!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1:07
Q

[질문]이런 앰비언트 기술이 생활 전반적으로 적용돼 있으면 모르겠으나 부분적으로만 적용돼 있다고 한다면, 적용돼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그 작동 안됨이나 작동 유무를 인식하는데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까하는 부작용아닌 부작용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런 류에 대한 대책으론 뭐가 있을까요?

비회원 양재영 2023-02-27 16:49
A

네 앰비언트 기술이 한꺼번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집에서 먼저, 그 다음에 사무실, 그 다음에 또 다른 공간 등으로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될 것이며, 집에서도 하나씩 하나씩 적용 대상이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이런 앰비언트 서비스를 당연한 것으로 여기게 되면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되겠죠. 침대 생활 하던 사람이 어딘가 놀러가서 방바닥에 누워서 자야 하는 상황과 같다고 생각하는데요, 방바닥에 누워서 자는 것이 불편하면 다시는 그 숙소를 선택하지 않게 되는 것처럼, 앰비언트 기술이 많이 적용된 곳을 찾아 다니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형준 이형준 2023-02-27 16:58
Q

[질문] 요즘 신축 아파트에는 거의 들어있기는 한데, retrofitting이 쉽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더 큰 시장이 될 것 같은데 (요즘 리모델링도 유행이고) 어떤가요?

이형준 이형준 2023-02-27 16:48
A

네 저도 그게 맞다고 보는데요, 건설사들은 그렇게 했다가 문제가 생기면 자신들이 불편해질 수 있어서 싫어하더라구요. 중국이 그렇게 되어 있어서 스마트홈이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현재 리모델링 시장에서도 고객의 10%는 스마트홈에 관심을 보인다고 하는데요, 실제 스마트홈 구축하는 비율은 잘 모르겠습니다.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1:49
Q

[질문] 이건 iot 조명 제품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으로서 궁금한데 조명들은 wifi 연결시 2.5g 네트웍을 사용하고 5g는 지원을 하지 않는데 이것은 비용때문인지 아직 5g를 미지원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윤성원 2023-02-27 16:47
A

비용 이슈도 있구요 (낮은 주파수 장치가 저렴) 안정성 측면도 있습니다. (낮은 주파수가 외부 간섭에 강함)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1:47
Q

[질문] 두가지 방식. 자동으로 에어콘을 꺼주는 것, 그리고 에어콘이 아직 켜져있음을 사람에게 알려주고 사람이 결정하로록 하는 것 가운데 어느 방식이 더 바람직할까요?

이형준 이형준 2023-02-27 16:47
A

사람의 의도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한 케바케일 것 같습니다.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1:30
Q

[질문]포스트 스마트폰 시대에 개발자가 앰비언트 컴퓨팅 관련하여 중요하게 고려하고 주의해야 할 트렌드는 무엇인가요?

비회원 양재영 2023-02-27 16:47
A

기능, 성능도 중요하지만, 사용자 관점에서 생각하는 습관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던지 사용자가 불편하게 느낄 수도 있는 부분들에 대한 고민이죠..

김학용 김학용 2023-02-28 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