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양자컴퓨터의 확산이 앰비언트 컴퓨팅과 어떤 시너지 효과가 있을까요? 관련하여 글로벌 추세와 전망등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02-27 16:46
A

제가 양자컴퓨팅에 대해 잘 모릅니다. 먼저 공부부터 하겠습니다 ^^

김학용 2023-02-28 11:28
Q

[질문] 엠비언트 기술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전기 소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 부분일 것 같습니다. AI 등 중간 관리를 통해 필요 없는 전원에 대한 차단과 통신 데이터를 줄이기 위한 방안은 어떻게 설계 되어지고 구현될지 궁금합니다.

지정호 2023-02-27 16:45
A

매우 디테일한 질문인데요, 에너지 소모 및 데이터 교환량을 줄이기 위해 평소에는 슬립 모드로 있다가 필요할 때만 동작한다거나 데이터 처리를 엔드 디바이스에서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를 위한 스마트센서 기술도 최근 개발되고 있습니다.

김학용 2023-02-28 11:27
Q

말은 못하는 사람은 어떻게 커뮤니케이션하지요? 눈으로 말해요?

금혜성 2023-02-27 16:44
A

그런 분들을 위해서는 수화를 인식할 수도 있습니다. 이미 관련 솔루션들도 나와 있구요.

김학용 2023-02-28 11:26
Q

[질문] uwb 기술인 초광대역 기술로 자동차 문을 열고 정보전달도 하는데 uwb 기술도 앰비언트 기술의 하나라고 봐도 될것인지요?

윤성원 2023-02-27 16:42
A

그쵸.. 앰비언트는 컨셉이고 이를 구현하는 기술은 다양합니다. 최근 UWB가 주목받는 이유도 앰비언트 환경 구축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겠죠.

김학용 2023-02-28 11:2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제가 aws 직원한테 들었는데 곧 알렉사가 한글이 지원된다고 하던데 혹시 교수님께서도 들은 내용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3-02-27 16:39
A

예전에 한글 지원 관련 자원자를 모집한 적이 있었는데요, 이후 반응이 없더라구요. 그 이후 한국어와 아랍어가 포함된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기도 했습니다. 빨리 한국어 지원되면 좋겠습니다.

김학용 2023-02-28 11:24
Q

[질문] 교수님 "냉장고를 꽁짜로 드립니다." 책에서 같이 냉장고말고 좀 싼것 부터 꽁짜로 주면 좋을 것 같은데 스마트태그를 꽁짜로 주면서 그 데이터를 받아가면 좋을 것 같은데 스마트태그는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

윤성원 2023-02-27 16:35
A

네 냉장고는 상징적인 것이구요, 모든 디바이스가 그 대상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김학용 2023-02-28 11:23
Q

[질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기술이 앞으로 알아서 고향집에 보일러를 언제 교체할지 , 언제 병원에 갈지를 미리 알려주는 시대가 오면 고령화시대에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은데 노인분들에게 가장 친근하게 접근할 수있는 것은 아마존의 알렉사가 지원되는 전등일 것 같은데 교수님 생각은 어떤지 궁금하고 왜 우리나라는 iot 산업이 발달했는데 스마트전구는 대부분 중국제품이 많은데 삼성이 스마트태그는 만드는데 전구는 만들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윤성원 2023-02-27 16:32
A

네 노인분들에게 가장 큰 도움이 될 것 같구요, 동시에 그런 부모님을 둔 자녀분들에게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전등의 경우 대기업이 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아서 삼성 등은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마진이 적거든요 ㅋ

김학용 2023-02-28 11:22
Q

[질문]앰비언트 컴퓨팅이 적용되려면 연결성을 기반으로 한 인프라가 필요한데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서 설명 부탁 드립니다.

양재영 2023-02-27 16:29
A

기본적으로는 스마트홈입니다. 집안에 있는 다양한 가전 및 악세사리(플러그, 램프, 센서 등), 더 나아가서는 가구 및 공간 등이 모두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현재 신축 아파트의 경우 어느 정도는 구현되어 있지만 그 대상이 더 확대되어야 하겠죠.

김학용 2023-02-28 11:21
Q

[질문] 앰비언트 컴퓨팅과 API를 통한 legacy 연계가 용이할지 궁금합니다. 또한, 가시성이 얼마나 확보될까요? 엔터프라이즈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관리 측면의 가시성 제공이 될 지 궁금합니다.

박완주 2023-02-27 16:28
A

방송에서도 말씀 드린 것처럼, 앰비언트가 활성화되려면 기존 서비스들과의 연계가 필수입니다. 용이성 여부는 잘 모르겠지만, 결국은 앰비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사업자 중심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며 언젠가는 이 또한 표준화가 될 지도 모르겠습니다. 가시성이 어떤 것을 말씀하시는 지는 모르겠는데요, 서비스를 주도하는 기업들이 주로 빅테크일 가능성이 크므로 충분이 제공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김학용 2023-02-28 11:19
Q

[질문]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기술들의 종착점이 될 앰비언트 컴퓨팅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지 간략하게 설명 부탁 드립니다.

양재영 2023-02-27 16:28
A

어려운 질문인데요, 근본 취지는 사용자 중심(customer-centered or customer-oriented)입니다. 즉, 사람은 주변 자질구래한 일에 신경을 쓰지 않고 자신이 중요시하는 일에만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삶의 질, 만족도를 높여주는 것입니다.

김학용 2023-02-28 11:17
Q

[질문]앰비언트 컴퓨팅을 적용하려면 AI기술이 기초가 되야하는데요, 현재 AI기술 수준이 어느정도이며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 갈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양재영 2023-02-27 16:27
A

제가 AI 전문가는 아니지만요, 최근 ChatGPT 같은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의 인공지능을 보면 다들 2년 이내에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합니다. 챗GPT의 경우 한국어로 질의하는 경우 별로지만, 영어로 하는 경우는 상황이 완전 다릅니다. 게다가 현재는 보편적인, 즉 어느 분야에나 적용가능한 인공지능으로 개발되고 있는데요, 버티컬한, 즉 개별 분야에 전문화된 인공지능이 개발된다면 인공지능을 거의 갈 데까지 갔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문제는 성능 외적인 부분에 있을 것 같습니다.

김학용 2023-02-28 11:16
Q

[질문] ambient 라는 단어가 선택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intuitive, proactive, personalized 모두 ambient라는 단어에는 잘 어울리지 않는데요. ambient 라고 하면 위치적으로 중심이 있고(이건 사용자겠죠) 그 부근에 위치한 센서가 정보를 주는 형태라는 느낌인데요.

이형준 2023-02-27 16:27
A

앰비언트라는 용어가 나온 것은 일라이 젤카라는 분이 필립스로부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컨설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나왔습니다. 즉, 사용자 중심적인 관점에서 볼 때 사용자 주변에서 뭔가가 알아서 되어야 한다는 개념일 것입니다. intuitive, proactive, personalized는 앰비언트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특징인데요, 인튜이티브는 초기 앰비언트 서비스의 특징에 해당하고 나머지는 후기 앰비언트 서비스의 특징입니다.

김학용 2023-02-28 11:13
Q

[질문]쉽게 말해 자동으로 재고를 채운다면...불필요한 재고 축적 문제 발생할 듯한데....기술이 사용자의 판단을 어떻게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을까요? 개인화는 감정변화의 문제를 배제할 수 없는데... 이를 어떻게 고도화시킬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금혜성 2023-02-27 16:27
A

네 사실 자동이라는 말이 말은 좋지만 그로 인해 불필요한 구매나 재고 이슈를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초기에는 사용자의 관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구요, 먼 미래에도 완벽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지금으로서는 사용자들이 취사선택을 해서 사용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학용 2023-02-28 11:10
A

쉽지 않다고 봅니다. 서비스 개념보다 기능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생태계를 확장하지 못하리라 봅니다. 그것도 그렇고 저에게 자문을 안 받는게 가장 큰 패인일 것 같습니다 ㅋㅋㅋㅋ

김학용 2023-02-28 10:57
Q

[질문] 앤비언트 기술이 확실하게 활성화되려면 영어 Her에서 같이 똑똑한 AI가 모든것을 처리해 줄수 있는 전용비서가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앰비언트 intelligence 시장은 그렇게 때문에 빅스비, 쉬리, 구글, 알렉사의 성공이 큰 관건인데 이 시장은 현재 어디가가 가장 유리하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요? 또 요즘에 chatgpt가 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3-02-27 16:24
A

정확한 지적이세요. 현재 사용자는 구글이 가장 많습니다. 스마트폰 보급량이 많기 때문이구요.. 애플 이용자들은 또 애플만 이용하죠. 재밌는 건, 이들도 집에서는 알렉사를 이용한다는 것입니다. AI 스피커 이용자 비율은 알렉사가 약 65%, 구글이 30% 정도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김학용 2023-02-28 10:59
Q

[질문] ambient 지능이란 개념은 가정용 상용 IoT 표준인 메터(Matter Standard)에도 포함되어 있나요?

이형준 2023-02-27 16:23
A

매터가 없어도 앰비언트는 가능하지만, 매터 같은 단일 통합 표준 및 사용자 친화적인 기술을 써야만 더 쉽게 구현이 가능해집니다.

김학용 2023-02-28 10:56
Q

[질문] 유비쿼터스란 단어를 처음 접했을때와 같은 답답한...ㅠㅠ 느낌이 드네요... 앰비언트.. 과연 무엇인지... 유비쿼터스와는 어떤 면에서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박선희 2023-02-27 16:19
A

네 맞습니다. 대표적인 차이는 유비쿼터스는 하드웨어, 즉 어디서나 컴퓨터를 쓸 수 있다는 개념인데 비해, 앰비언트는 이런 컴퓨터들을 바탕으로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약간 더 진화한 느낌이죠. 또 다른 부분은 유비쿼터스는 개념이 등장했을 때 이를 구현하는게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앰비언트는 하드웨어는 물론 소프트웨어적으로도 구현이 가능한 상황입니다.

김학용 2023-02-28 10:53
Q

[질문] 이미 우리 실생활에서 앰비언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면 모든 곳에 컴퓨터가 내장되고 ->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어디서나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하고 있지 않나 생각되는데, 어떻게 보시는지요?

김현진 2023-02-27 16:18
A

아직까지 "모든"은 아닌 거 같구요 "일부" 더 나아가서는 "상당 부분" 정도는 맞다고 생각합니다. 가전 대기업들도 2020년 이후 출시된 모든 제품들은 다 인터넷에 연결되는 제품들만 출시하고 있거든요. 하지만, 가구라든지 비 전자제품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김학용 2023-02-28 1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