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MSA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앱들은 애자일 개발 방법론에 따라 개발 배포 운영되기 때문에 전통적인 개발 운영환경에 비해 보안사고시 원인파악이나 책임규명도 어려운 측면이 늘어나는것 같습니다, 성숙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앱 개발문화를 가진 선진 조직들은 이런 부분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지, 비슷한 문제점들을 느낀다면 어떤 접근방법으로 해결책을 찾아가는 추세인지 궁금합니다,
[질문]안전한 보안을 위해 모든 유형들을 건증하고 분석해서 조치룰을 공지하고 유혈별 반복조치에 대해 룰로 정해서 원클릭으로 조치를 하는데 있어서 변형된 유형으로 게속 공격이 되다 보면 모든 공격을 게속 참지하고 뷴삭하다보면 시간과 리소스 가 과다해지는 부하 측면도 있을거 같은데 이애 대한 효과적 대응방안이 궁금합니다.
[질문] CNAPP 접근 방식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사용하는 플랫폼이 대부분의 작업, 검색 및 검사를 자동화 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은데 우선시 고려해야할 요소는 무엇인지 궁금하며, 자동화 할 수도록 탐지 속도는 빨라지고, 오탐 수도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을까요?
[질문] CNAPP가 위협 데이터를 상호 연관시키고 엔드포인트, 컨테이너, 서버리스 기능 등에 걸쳐 위험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하나의 콘솔 역할을 한다고 봐도 되는지요? 개발자들 입장에서는 CNAPP를 이용해 앱의 안정성에 확신을 갖고 구축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질문]
온프레미스는 다양한 보안제품이 있어서 특화된 위협탐지/헌팅 등의 구성이 가능한데
AWS 등 퍼블릭클라우드에서 적용이 불가능한 기술들이 존재해서
unknown 위협에 대한 대응이 고민입니다.
CNAPP기반 보안을 구성하면
unknown 영역에 대해서 대응이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질문] Immutable 이라 함은 변경 불가의 의미가 아니라, 변경시 새로운 객체가 생기는 것과 같은 뜻인가요? 마치 Java에서 객체 변경시 default가 새로운 객체 생성인 것 처럼? 설명하신 걸 들어보면 Blue-green deployment 처럼 들리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