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스노우플레이크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축할때 스노우플레이크만을로 구현이 어려운 부분도 있는지 궁금하고 이 부분은 어떻게 커버하는지요 ?

Sungwon Yoon 2023-01-10 15:11
A

외부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부분은 Snowflake 외에 다른 도구를 사용하는 부분이 필요할 수 있으며, 데이터 입수 후에는 Snowflake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기능만으로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Snowflake 2023-01-10 15:1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전문적인 프로그래머에 대해서도 적용이 쉽지 않은 DevOps, CI/CD가 그대로 CDS 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할까요? 아니면 CDS 에 대한 뭔가 다른 방법론이 필요할까요? 특히 현업이라면 DevOps, CI/CD의 적용이 결코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형준 2023-01-10 15:11
A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만들어진 개념인 DevOps, CI/CD를 그대로 데이터 사이언스에 적용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MLOps는 DevOps와 사상은 유사하지만 완전히 다르게 설계되어 있는 것이구요. CDS가 이를 다룰 수 있으려면 교육 과정 자체가 파이썬 코딩 위주가 아니라 데이터 사이언스 전체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것이구요. 저희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플랫폼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IT 전문가가 아닌 사람도 ML 전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Dataiku 2023-01-10 15:17
Q

[질문] 사실 현업이 가장 어려운 것은 데이터 전처리입니다. 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생각하시는 전략적 대응 방안이 있을까요?

김기혁 2023-01-10 15:1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다양한 데이타에 대한 상관 관계 분석과 같은 통계적인 분석과 커스토마이징된 보고서 생성이 가능한지 문의드립니다

양재영 2023-01-10 15:1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현재 개발되어 있는 웹 화면 대시보드가 모든 분석 케이스를 다 커버 할 수 있는 건가요? 필요에 따라서 커스터마이징을 해야하는 경우는 없는지요?

양재영 2023-01-10 15:1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스노우플레이크는 복수의 유저와 유즈케이스가 동시적으로 컴퓨팅 리소스에 즉각적으로 액세스 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현진 2023-01-10 15:09
A

네, 가능합니다. 스노우플레이크는 실시간으로 액세스를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Snowflake 2023-01-10 15:10
A

스노우플레이크는 워크로드 별 / 사용자 그룹 별로 컴퓨팅 자원을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성능 경합 없이 실행할 수 있으면, 컴퓨팅 자원은 요청 즉시 제공됩니다.

Snowflake 2023-01-10 15:13
Q

[질문]코드 개발 없이도 클릭으로 분석이 가능하다고 하셨는데 데이타 분석에 Python, R만 적용 가능한지 다른 분석 언어도 지원하는지도 설명 부탁드니다.

양재영 2023-01-10 15:0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CDS의 역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양정수 2023-01-10 15:0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업무에 필요한 AI 학습을 위해 데이터가 부족할 경우 현업 담당자로서는 어떻게 데이터를 확보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한국 2023-01-10 15:0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정형 데이터는 어느 정도 처리경험과 검증이 된 반면 비정형데이터는 상대적으로 그렇지 않은데 정형데이터와 비정형데이터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 어떤 방식으로 처리 되는지요?

Sungwon Yoon 2023-01-10 15:0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현업자들이 본인 업무에 AI 활용을 확대하기 위하여 학습차원애서 AI 학습을 위하여 클라우드로 구성하기전 온프라미스에서 어떻게 인프라와 최소한의 플랫폼은 어떻게 구성하면 좋을까요?

한국 2023-01-10 15:0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공공기관에 스노우플레이크를 도입하여 운영중인 기관이 있는지요?

임종기 2023-01-10 15:0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스노우플레이크가 가장 큰 장점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한 아키텍처가 적용됐다는 점인데, 클라우드 네이티브한 아케텍처를 통해 EDW의 문제 해결 방안이 궁금합니다.

김현진 2023-01-10 15:0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스노우 플레이크의 국내 비즈니스 규모와 사업진행 방향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향후 포부와 기회 그리고 아시아지역에 대한 비즈니스 비젼 듣고 싶습니다.

김상훈 2023-01-10 15:0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데이터 클라우드 도입 시, 가장 우선순위로 두어아 햘 기준은 무엇일까요?

주승훈 2023-01-10 15:0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스노우 플레이크의 가장 큰 경쟁력은 비용적인 부분외에 어떤게 있을까요? 최대 경쟁사 스플렁크와 비교하여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성균 2023-01-10 15:0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내부 비즈니스와 외부 비지니스 관련 중요 데이터와 쉽게 연결되고 많은 워크로드를 지원하는 데이터 플랫폼을 효고적으로 구축하는 데 필요한 사항들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문주웅 2023-01-10 15:0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해 Spark 클러스터를 활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Snowflake 는 Spark의 데이터 처리 영역의 대체재로써 활용이 가능한가요? Snowflake(데이터저장) + Spark(데이터처리) 와 같이 구성으로 활요해야하는지, Snowflake(데이터저장+처리) 단독 구성으로도 충분히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이지훈 2023-01-10 15:0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스노우플레이크 통해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구축, 배포, 판매도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김현진 2023-01-10 15:0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