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금형 제작과 보관이 필요없어지면 유지관리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 외에 3D 파일의 장점들은 무엇이 있나요?

이민주 2023-02-01 14:21
A

Mold나 Press Die set제작에 들어가는 시간과 경비를 줄일수 있어 소량 생산의 경우에는 프린터를 확용하는 쪽이 훨씬 좋습니다

3DSystems 박찬교 2023-02-01 14:23
Q

[질문] 펠렛과 필라멘트의 장단점이 구체적으로 궁금하고 각 산업군에 따른 활용 사레가 궁금합니다.

양정수 2023-02-01 14:2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화장품 용기 사업 고민중인데 이것도 가능한지 또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종우 2023-02-01 14:2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pellet extruder 와 filament extruder는 6축 가공이 가능하다는 말씀인가요?

이형준 2023-02-01 14:2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ESG관점에서 3D프린터로 제작할경우 환경 친화 및 자원/비용절감등의 장점이 있는 분야는 어떤쪽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02-01 14:2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pellet extruder 와 filament extruder는 독립적으로 움직이나요, 아니면 사출점에서 이 가운데 어떤 extruder 를 사용하는 지 결정하는 방식인가요?

이형준 2023-02-01 14:1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3D 프린터를 꼭 도입해야하는 이유를 한마디로 말씀해주신다면 무엇을 꼽을수 있습니까?

이경석 2023-02-01 14:1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3D 프린터가 제품을 생산하는데 많은 소재가 각각 다른데요~그 소재에 따른 프린팅에 있어 생산 방식이 다른데 Titan Atlas의 가장 큰 차별점과 도입시 가장 고려해야할 점과 어느 산업에 가장 최적화되게 활용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양정수 2023-02-01 14:1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적층 제조시 레진과 분말 파우더의 차이가 무엇인지요? 결속력이 제일 큰 차이인가요?

오태정 2023-02-01 14:1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MJF방식은 기존 3d프린터같이 제한된 축 내에서 한 층씩 쌓아 올리는 방식이 아닌 분사식이라고 생각하면 되는것인가요? 그럼 노즐을 통한 분사일텐데 그 노즐의 막힘이나 관리 및 교체주기는 어느정도인지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02-01 14:18
A

MJF 방식은 HP의 방식이고, 3D Systems의 프린터 중 MJP 방식이 있습니다. 한 층씩 쌓아 올리며, 적층 단위 높이는 32 미크론 입니다. 노즐 헤드는 막히지 않아야 파트 품질이 달성되기에, 기계 내에서도 자체적으로 관리가 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3D Systems 2023-02-01 14:33
Q

[질문] Stratasys 3D Printer 대비 3D Systems의 경쟁력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김영훈 2023-02-01 14:1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잦은 재료 교체가 요구될 경우에는 Processing Station의 추가 도입을 권장하신다는 답변 내용을 보았습니다. Processing Station을 추가 도입하면 재료 교체 프로세스의 재료 낭비가 줄어드는 것인지 아니면 어떤 다른 유리한 점이 있는 것인지 그리고 Processing Station이 Fast Cooling을 제공한다고 하는데 잦은 재료 교체가 요구되지 않을 경우의 3d printing 공정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02-01 14:1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가전 제품 제조 등 다양한 제품 개발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SL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3D 프린터의 활용사례가 궁금합니다.

양성필 2023-02-01 14:1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3D Systems가 권고하는 혹은 승인한 레진이나 재료들의 리스트 같은 것은 없나요?

이형준 2023-02-01 14:1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일반적인 대중의 인식이 3D 프린터로 제작된 제품 특히 금속의 경우 강도 및 내구성에서 기존의 제조방식(주조,단조)에 비해 떨어져는것으로 인식하는데 기존 제조방식에 못지않은 내구성을 가진 제품도 있는지와 기존제조방식대비 비용등에서 경쟁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02-01 14:17
A

현재는 다양한 재료들을 개발하면서 기계적인 강도나 경도도 향상을 하여 HRC 30~55 사이의 출력이 가능합니다

3DSystems 박찬교 2023-02-01 14:19
Q

[질문] 대형 인쇄와 달리 소형은 어느 단위까지 가능한지요? 최소형 제품을 생산 시에 오차 보정 등 지원 방안은 어떻게 되는지요?

지정호 2023-02-01 14:16
A

정밀도가 높은 프린터들은 손톱보다 작은 크기에도 인치당 25 미크론 수준의 정밀도를 구현합니다

3D Systems 2023-02-01 14:30
Q

[질문] 산업용으로 사용시 가장 중요한 것은 내구성과 사출시의 사출면 편평도(결국 내구도에도 영향을 미치는)가 매우 중요한 요소일텐데, 아틀라스는 이 부분에서 어떤가요?

이형준 2023-02-01 14:1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적층 제조 솔루션의 활용은 국내와 해외 어디서 비번한가요?

손정환 2023-02-01 14:15
A

의료 , 목업 , 항공쪽이 활발합니다

3DSystems 박찬교 2023-02-01 14:16
Q

[질문] Robotics end parts 제작을 위한 3D Printing 활용법 적용 관련 최근 이슈와 해결사례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02-01 14:1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일반 생활용품이랑 대형부픔생산에 있어 가장 크게 소요되는 3D 프린팅에 비용요소와 기술요소가 어떤 필수 요구사항인지와 이에따르 ㄴ비용 차이는 몇배율정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문태진 2023-02-01 14:14
A

프린팅 방식과 모델 그리고 재료에 따라 매우 다르기 때문에, 비용 분석은 출력 또는 생산하고자 하는 3D 모델링 파일을 가지고 시뮬레이션 해봐야 합니다. 홈페이지를 통해 상담 요청하시면, 방문 상담 드리겠습니다.

3D Systems 2023-02-01 14:29
A

답변 감사합니다

문태진 2023-02-01 1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