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차세대 레이싱용 자동차를 위한 부품을 3D 프린터를 이용해 생산한 사례 등 SAF 기술의 3D프린터로 제작된 최종사용부품의 사례들을 알고 싶습니다.

양성필 2023-02-01 14:14
A

F1 레이싱 팀들 중 당사 프린터를 이용하여 exterior 및 배기구 등을 제작해서 사용하거나, 풍동실험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하기도 하며, F2 레이싱 팀들 중에서는 트렌스미션 하우징 등의 파워트레인 분야에도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3D Systems 2023-02-01 14:28
A

네, 알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양성필 2023-02-01 14:28
Q

[질문]3D프린터 자체가 고가이고 재료비등도 많이들어서 특정산업분야에만 제한되는것으로 아는데 대중화및 보급을 늘리기위해 필요한 요소 및 현재 유지비는 어느정도 드는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02-01 14:14
A

현재 보급형으로 공급되는 장비들도 많이 있습니다. 홈페이지를 통해 문의 주시면, 방문 상담 또는 상세한 상담 드리겠습니다.

3D Systems 2023-02-01 14:26
Q

[질문] pellet extruder 와 filament extruder를 동시에 사용한다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아틀라스의 제품설명에서 제일 궁금했던 부분입니다.

이형준 2023-02-01 14:1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미래 제조 기술의 특징은 무엇이가요?

김철 2023-02-01 14:1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대표적으로 SLS방식인 재료를 소결 시키는 방식과 MJF인 재료를 용해시키는방식이 있는데 하이드리드 방식이나 다른방식도 있는지 각자의 장단점등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02-01 14:13
A

DLP나 CJP DMP등도 있으며 본사 홈페이지를 통하여 프린터 타입들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3DSystems 박찬교 2023-02-01 14:14
Q

[질문] 자동차산업 부품제조사에서 대형프린터로 전환하거나 대체하려는 움직임은 전체 국내시장의 몇 %나 되는지 궁금하고 제품을 유통/유지보수 하기위해선 어떤 기술인력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이호승 2023-02-01 14:12
A

자동차산업 부분에 대해서는 정보를 알지 못 해 답변을 드리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3D 프린터의 유지 보수는 당사의 경우 연간 유지 보수 계약 체결을 통해 당사 또는 대리점 엔지니어 분들이 장비 유지 관리를 고객을 위해 하고 있습니다.

3D Systems 2023-02-01 14:23
Q

하지만 의료법의 제약문제로 실제 승인없이 사용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알고 있는데, 맞나요?

이형준 2023-02-01 14:1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의학계에서도 모형제작시 3d프린터를 사용하는지요? 응용범위 및 정밀도는 어느정도인가요?

양재영 2023-02-01 14:11
A

이미 의료 모델/모형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인체 내부 기관이라던지, 트라우마 수술 전에 시뮬레이션을 해본다던지 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3D 프린터의 정밀도는 인치당 25~100 미크론 수준입니다.

3D Systems 2023-02-01 14:21
Q

(질문) 타사 유사한 기능을 갖춘 제품과 비교했을 때, 3DSystems 제품의 차별화 된 장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이경석 2023-02-01 14:11
A

Titan 프린터는 filament 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pellet을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3D Systems 2023-02-01 14:21
Q

[질문] 열 가소성 소재로 프린팅 시, 노즐 관리에 대한 중요 요소는 무엇인지요? 소재에 의한 막힘 등 주요 유의 사항은 무엇이며, 막힘 등 장애 발생 시 어떤 방안이 있는지요?

지정호 2023-02-01 14:11
A

일반적인 FDM 프린터의 노즐 관리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만약 노즐 고장 시에는 예비 부품을 통해 바로 교체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3D Systems 2023-02-01 14:19
Q

[질문] 특히 단종된 부품같은 경우, 상당히 높은 가격에도 구입하려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에대한 레퍼런스 사업도 있나요?

이형준 2023-02-01 14:1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제품을 만들때 가공 방식에 어떤게 있을까요?

김철 2023-02-01 14:1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3D 프린터의 인공지능 기술 적용 전망은 있는가요?

손정환 2023-02-01 14:1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A

당사는 3D Systems 입니다 ^^ Titan 프린터는 펠렛 압출형으로 대형 파트를 생산하는데 시간 및 재료 비용 측면에서 운용 비용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프린터입니다.

3D Systems 2023-02-01 14:17
Q

(질문) 3D프린터를 도입했지만 실패한 사례도 있습니까? 그렇다면, 성공여부를 좌우하는 요소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이경석 2023-02-01 14:0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무슨 뜻인가요? 헤드의 이동이나 축의 움직임에 적용한다는 것인가요? 어느 부분에 그 스크립트가 사용되나요?

이형준 2023-02-01 14:0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3D 프린팅 작업시 재료의 역할과 가공법이 중요한데 재료의 보급화 및 효율화 및 대중화를 위한 연구는 어떤식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02-01 14:08
A

3D Systems는 자체적으로 재료를 개발하기도 하고, 파트너쉽을 통해 개발하기도 합니다. 본사 및 세계 여러 연구 시설을 통해 개발되어 매년 여러 종류의 신규 재료를 론칭하고 있습니다.

3D Systems 2023-02-01 14:16
A

3D Systems가 권고하는 혹은 승인한 레진이나 재료들의 리스트 같은 것은 없나요?

이형준 2023-02-01 14:17
Q

[질문] 펠릿방식으로 출력이 가능한 소재의 범위가 열가소성 플라스틱계열인지요? 그리고 폴리머계열 대형적층한 제품의 기계적 물성이 기존 CNC가공, 사출제작방식의 부품과 얼마나 차이가 있나요?

이준환 2023-02-01 14:08
A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들 중에서도 고 물성을 갖고 있는 펠렛을 사용할 수 있으며, Glass fiber 또는 Carbon fiber 등으로 reinforced 한 레진들입니다. 그러므로 해당 플라스틱 소재의 표준 물성과 동일한 물성이 펠렛 압출 3D 프린터를 통해 출력한 제품에 적용됩니다.

3D Systems 2023-02-01 14:14
A

펠렛을 직접 출력할 시, 소재 배출이 어려워 막힘현상, 소재 뭉침현상 등 애로사항은 어찌 해결을 하시나요?? 압출 후, 수축이 심한 소재(EX: HDPE)는 펠릿 직접출력방식으로 불가능한지요>

이준환 2023-02-01 14:17
Q

[질문] 저 그래프는 산업용 3D 프린터 시장 중심으로 파악해도 되겠죠?

이형준 2023-02-01 14:0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혹시 국내 3D 시장에 소재 부분에 있어 국산 소재가 몇 프로 정도 인지, 가장 많이 사용되는소재가 어떤 것들인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3-02-01 14:07
A

3D Systems는 미국에 본사가 있습니다. 저희 회사에서는 아직 국내에서 생산된 소재를 적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3D Systems 2023-02-01 1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