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제로트러스트는 기존 경계보안에서의 DID심층방어와 다른 개념인지요 아님 상호 보완적인지요?

한위원 2022-12-26 16:53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네 제로트러스트는 기존 경계보안과 상반되는 "경계없는 보안(perimeterless security)"이라고 얘기합니다. 그러나 제 생각에는 아직까지 환경에 따라 상호 보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황원섭 2022-12-27 10:05
Q

[질문] 제로트러스트와 CSPM, CWPP, SAE 간에 연관성이 있는지요?

심사원 2022-12-26 16:51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질문은 제 전문 분야가 아니므로 답변을 아끼도록 하겠습니다.^^ 너그러운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황원섭 2022-12-27 10:14
Q

[질문] CAASM 은 사전보안과 사후보안중에 어디에 더 중점을 둬야하는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2-12-26 16:51
A

답변 감사합니다.

윤성원 2022-12-26 16:54
Q

[질문] 기업에서 ZT, ZTA, ZTNA 모델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고 점검해야 할 요소들은 각각 무엇인가요?

이민수 2022-12-26 16:47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사실 제로트러스트 전문가는 아닙니다. 저도 공부하고 있습니다. ^^ 다만, 본 웨비나에서 제로트러스트를 언급한 이유는 보안에 있어서 자산 식별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입니다.

황원섭 2022-12-27 10:17
Q

[질문]생체인증, 듀얼인증을 이용한 보안인증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이것 역시 한계는 있는 분명해 보입니다. 가까운 미래에는 양자를 이용한 보안방법과 제로트러스트에 대한 극복 방법도 개발중인지, 어디까지 개발되었는지 말씀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유재명 2022-12-26 16:47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질문은 제 전문 분야가 아니므로 답변을 아끼도록 하겠습니다.^^ 너그러운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황원섭 2022-12-27 10:18
Q

[질문] IT 자산관리는 사실은 it에서 하는 것보다 회계시스템을 관리하는 ERP 팀이 하는 것이 더 현실적인데 왜냐하면 IT팀은 자산만 시스템에 입력하고 그 유지관리만 하는것이 현실이라 IT 자산하면 IT팀, 보안팀, ERP팀, 3개팀이 모두 관여되는데 이렇게 되면 권한이 분산되어 결과적으로 서로 책임 떠넘기기만 하는데 3개팀중 어느팀이 독자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지 궁금하고 해외는 어떻게 관리하는지요?

윤성원 2022-12-26 16:46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웨비나에서 보안에서 자산 식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렇다고 현재 ERP팀이나 IT(인프라)팀에서 하고 있는 자산관리 업무가 필요없고 보안팀으로 이관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업무 목적과 목표가 다름) 다만 보안(운영) 업무 측면에서 자산 식별이 필요하니 CAASM솔루션을 구성하여 자동으로 전체 자산를 식별한 후 해당 자산 데이터를 ERP팀이나 IT(인프라)팀에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도 보안팀에서 별도로 CAASM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황원섭 2022-12-27 10:22
Q

[질문] 계열사 및 그룹사 보안관리와 관제를 하고 있는데 위탁서비스는 자산정보를 제공할수 없다는게 일반적이고 자산과 상관없이 모든 위협을 식별하고 처리해달라고 하고 보안서비스 제공자의 현실은 호락호락 하지 않거든요 CAASM 은 자체보안을 하는 기업만 도입을 하거나 제안되고 있는지 보안서비스용으로 구축해서 사용하거나 제공하는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호승 2022-12-26 16:45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CAASM은 기업 내부의 자산 정보를 다루기 때문에 서비스 보다는 Enterprise용 솔루션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보안서비스용으로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저희 Axonius CAASM 솔루션은 SIEM처럼 여러 IT/보안솔루션에서 자산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관분석하는 플랫폼임으로, 보안 서비스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황원섭 2022-12-27 10:27
Q

[질문] 잠재적 위험을 효과적으로 절감하려는 경우 총자산가치, 취약성의 심각도, 위협의 심각도를 최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은 무엇인가요?

이민수 2022-12-26 16:45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사실 위험관리 전문가는 아닙니다. 저도 공부하고 있습니다. ^^ 다만, 본 웨비나에서 위험(Risk)를 언급한 이유는 보안에 있어서 자산 식별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입니다.

황원섭 2022-12-27 10:28
Q

[질문]ceo 입장에서 장비돈들어가고 유지보수 인력문제로 없어지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서보영 2022-12-26 16:44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생각에는 이제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 보안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적은 인원으로 보안과 위험 대응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내부 자산 가시성과 취약성을 관리할 수 있는 CAASM과 같은 솔루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황원섭 2022-12-27 10:31
Q

[질문]전산실이나 인력문제로 회사에서 없어지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서보영 2022-12-26 16:4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제로트러스트에서 MFA 다중 인증 적용과 보안 강화와 취약점에 대한 가시성 확보의 중요 사항과 관련하여 Axonius는 타 솔루션과 차별성은 무엇이며, 지원 방안은 어떻게 되는지요?

지정호 2022-12-26 16:42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웨비나에서 자산의 가시성 확보가 조직의 위험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 저희 Axonius 솔루션은 자산 식별을 사람의 관여없이 이미 보유하신 다양한 IT/보안 솔루션과 연동하여 자산(IT device)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관분석엔진을 통해서 자동으로 unique device를 식별하고 수집한 다양한 정보들을 통합하여 검색 및 대시보드, 자동화 액션 기능을 제공합니다. 솔루션 소개 시간을 허락해 주시면 찾아뵙고 소개 및 데모로 설명드리겠습니다.

황원섭 2022-12-27 10:35
Q

[질문] Multi-layered Security를 구축한 기업에서 여전히 보안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문주웅 2022-12-26 16:42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 트렌드는 관리되지 않는 자산(device)에서 보안 사고가 많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웨비나에서 소개해 드린데로 기존에 보안 위협을 모니터링하고 자산의 취약점을 대응하는 방식과 더불어 내부 자산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CA-ASM 솔루션으로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황원섭 2022-12-27 10:40
Q

[질문] 자산의 가치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방안은 무엇인지요? 기업 자산 분류 기준과 가치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요?

지정호 2022-12-26 16:39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질문은 제 전문 분야가 아니므로 답변을 아끼도록 하겠습니다.^^ 너그러운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황원섭 2022-12-27 10:41
Q

[질문] 어떤 방식이든 보안팀을 갈구면 다 해내지 않나요?

이원규 2022-12-26 16:38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는 바뀌어야 할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

황원섭 2022-12-27 10:42
Q

[질문] 자산의 중요도를 점수화하기 위해서는 자산을 표준화하고 그것은 erp 시스템과 연계해서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일것 같은데 자산의 표준화하는 방법과 표준화시 여러 보안 제품들에 관계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2-12-26 16:3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공격표면 확장 공격이 요새 핫이슈인데 이는 재택근무의 확산으로 더 부각되는 데 이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는 방법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2-12-26 16:3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각 부서별(기획, 개발, 운영, 영업등..개인소유 폰, 패드 노브툭 등) 로 한 기업에 자신들이 상당히 많은데요 이러한 기기들에 대한 단말 보안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인원이 많을수록 사용자 계정과 패스워드 관리, 기기별 보안관리를 기업에 데이터 보안과 안전을 위해 전부다 한다면, 보안에 관련된 의외에 비용이 증가할거 같은데요 1차적으로 자산을 업무유형과, 단말유형으로 구분관리히면서 보안관련 비용을 최소화 시켜주는 방안과, 기존 사례중 이동중, 업무시간후 업무초리를 위해 개인단말을 사용시 어떠한 정책관리로 통합적인 관리를 하는지 대표적인 사례를 들어 알려주면 좋겠습니다.

문태진 2022-12-26 16:3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재택근무와 원격근무를 많이 하는 기업에서 업무 환경에 최적인 보안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과 프로세스는 무엇인가요?

이민수 2022-12-26 16:2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제로트러스트를 구현하는 방법에는 어떤 방법들이 있나요?

이원규 2022-12-26 16:2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제로트러스트란 개념을 가진 보안장비들이 각 layer별로 적용해서 나오고 있는데 제 생각에는 제로트러스트는 인증단계에서 부터 적용하는것이 가장 효과가 좋을 것 같은데 제로트러스트를 layered security에서 어느단계에 적용시 가장 효과가 좋은지요?

윤성원 2022-12-26 16:2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