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CAPEX를 OPEX로 전환한다는 건 매력적이지만, 그 비용이 꽤 큰 차이가 난다면 망설일 수 밖엔 없는데요 A100의 경우 1억 내외의 투자로 독점적 사용이 가능하기에 혹하기도 합니다. HPC의 유틸리티 비용화시 RoI에 대한 자료 같은 것이 있을까요?

이형준 2022-11-28 16:3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 활용 방안이 궁금한데요, HPC 솔루션에 대한 소개와 구성요소 및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장혁수 2022-11-28 16:3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클라우드 비용이 처음에는 저렴하지만 횟수가 거듭되면서 요즘은 온프라미스가 더 저렴해서 회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겨우 회귀가 맞는것인지 아님 튜닝으로 가능한 것인지요?

윤성원 2022-11-28 16:28
A

저는 개인적으로는 일부 회귀가 가능해지면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로 가야한다고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경험적으로는. 클라우드 비용은 선형적으로 늘어나는데 이용자의 러닝커브가 완만해지면 온프렘이 유리해지는 순간이 올것으로 보입니다.

민경호_Rescale 2022-11-29 11:06
Q

[질문] 기업이 지능형 기업으로서 빅데이터 활용과 분석을 통해 수익성 창출과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정확하게 예측,분석하기 위한 AI/ML 연계를 통한 작업 시, 업무 단위 변화를 마이크로서비스 단위로 변환, 노코드 도입 등 중요 도입 요소는 무엇이 있을지요?

장혁수 2022-11-28 16:2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클라우드도 CPU, GPU ram, 네트웍 등의 io 속도차이로 병목현상이 발생할 것 같은데 이런 병목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슈퍼컴은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지요?

윤성원 2022-11-28 16:2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사실 그동안 슈퍼컴퓨터 같은 HPC자원은 소수의 사용자가 매우 복잡한 연산을 처리하는것을 목적으로 했으나 클라우드 서비스를통해 누구나쉽게 자원에 접근하고 활용할수 있다는게 가장 큰 매력아닐까요?

Sanghoon,Kim 2022-11-28 16:2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전통적인 Von Neumann architecture(deterministic Turing Machine) 가 아닌, 최근 화제성이 높아지고 있는 Quantum computer의 경우 역시 수퍼컴의 전통적 분류에 의해서도 수퍼컴퓨터가 될까요?

이형준 2022-11-28 16:2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KISTI의 슈퍼컴은 대부분은 조립식인데 그 이유가 가격때문이라고 하는데 문제는 대부분 조립을 국내가 아닌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슈퍼컴의 조립 기술이 아직 어려운 것인가요?

윤성원 2022-11-28 16:22
A

이스퍼나 타 조립벤더에 의존하더라구요..

윤성원 2022-11-28 16:22
Q

[질문]무엇보다도 슈퍼컴퓨터에서 제대로된 성능을 내기위해서는 튜닝작업이 필요한데 실제 클라우드서비스에서 슈퍼컴퓨터로 대변되는 HPC애플리케이션을 돌려보면 성능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경우도 많다고 들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Sanghoon,Kim 2022-11-28 16: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클라우드 이용할때 보안서비스를 별도로 이용하면 운영자 인건비까지 추가되어서 별도 비용이 증가 하던데요.. 하드웨어로 비용을 절감하면서 보안까지 강력하게 하려면 서비스를 어떻게 받아야 하는건지 알고싶습니다.

장혁수 2022-11-28 16:2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슈커 컴퓨터로 클라우드를 운영하다보면, 종종, 물리적인 컴퓨팅 파워가 올라가는데요. 대용량 분산 처리 속도가 비례하여 올라가지 않을 때를 종종 만나곤 합니다. 이런 경우에 보통 어떠한 접근을 통해 해결을 도모하는게 좋은지 궁금합니다.

임근식 2022-11-28 16:2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슈퍼컴퓨터가 성능도 중요하지만 사용이 쉬워야 할테고 그런 목적으로 리스케일같은 곳에서 그 사용을 쉽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외에 비용을 줄여줄 수 있는 역할은 어떤것을 하고 있는지요?

윤성원 2022-11-28 16:2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등 고연산 관련 작업을 클라우드로 전환하여 작업 시, 모델링 검증과 원하는 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반복하여 수정 작업 시 비용과 관리 측면에서 어려운 문제나 상황은 무엇이 있는지요?

지정호 2022-11-28 16:2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Task가 고유한 parallelism을 갖고 있다면(예를 들어 Matrix 연산) 프로세서/코어의 갯수가 중요할 것이고, Dynamic programming 을 많이 사용해야 한다면 Memory의 성능이, 엄청안 I/O가 있다면 Storage나 network의 성능이 중요할텐데, 이 모든 요소를 문제의 성격에 따른 고려를 하여 평가한 벤치마크가 있나요?

이형준 2022-11-28 16:18
A

리스케일 내부에 GPU, High Memory, Core수, Infiniband 등 각 특색별 Coretype 을 목적별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벤치마크는 고객사내에서 진행가능합니다 :)

민경호_Rescale 2022-11-29 11:13
Q

[질문] 일반적으로 슈퍼컴퓨터는 데이터집약 적인 어플리케이션을 많이 돌리기 때문에 메모리를 시스템에 많이 탑재되는데 최근 퍼블릭 클라우드뿐아니라 여러 서비스에도 메모리 큰 인스턴트가 추가되고 있긴하지먄 아직은 충분치 않은거 아닌가요?

Sanghoon,Kim 2022-11-28 16:18
A

충분치 않은가에 대한 기준 문제라고 생각이 듭니다만, 최근 저희 반도체 고객분들이 고 메모리 코어타입을 많이 사용하십니다만 큰 이슈는 없으셨습니다.

민경호_Rescale 2022-11-29 11:11
Q

[질문] 수학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곳이 해석분야고 그래서 리스케일도 해석분야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대규모 CAE해석 분야에 사용되는 수학식인 extrapolation 방법등 다양한 수학식이 나오고 있는데 이런 수학식이 나올때 Rescale에 적용해서 그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2-11-28 16:17
A

네 리스케일 내에는 다양한 900+ CAE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있고, 전세계의 CSP들을 멀티클라우드로 연결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측정해보실 수 있게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민경호_Rescale 2022-11-29 11:10
Q

[질문] 고연산이라 하면 단순한 FLOPS 기준으로 그 성능을 측정한다는 것인가요? 그런데 요즘 HPC의 보틀넥이 네트웍인 현실을 고려하면 Flops보다는 Throughput 중심의 performance 측정이 더 정확하지 않을까요?

이형준 2022-11-28 16:13
A

Top500 이라는 순위 측정을 위해서 그렇습니다! 실제로도 throughput이 실제업무에는 유용하시겠지만요.

민경호_Rescale 2022-11-29 11:08
Q

[질문] 슈퍼컴퓨터는 setup과에서 sw, hw를 효율적으로 설정하냐 못하냐에 따라 그 성능에 차이가 많이 나는지 궁금합니다. 그래서 hw만 좋아서는 안되나고 하는데 맞는지 그럼 hw,sw가 함께 통합된 hpc가 이상적인지 어떤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2-11-28 16:0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HPC활용한 클라우드솔루션 적용관련 최근 이슈와 헤걀사례가 긍금합니다

전승호 2022-11-28 16:07
A

발표 내용으로 가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민경호_Rescale 2022-11-29 11:09
Q

[질문] 슈퍼컴퓨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cpu는 amd인지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또 amd가 hpc에 많이 사용되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2-11-28 16:06
A

슈퍼컴퓨터는 병렬처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사실은 CPU보다 GPU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CPU는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용도로 들어가고,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제너럴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이 들지는 않습니다.

민경호_Rescale 2022-11-29 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