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바이오 헬스케어대해서도 플랫폼이 어떤게있는지 궁금합니다

서보영 2023-01-09 16:1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최근 친환경 경영방침을 중심으로 esg경영을 어떻게 준비할것인지대해서도 궁금합니다

서보영 2023-01-09 16:1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소비라고 한다면 배민, 야놀자 같은 배달음식도 하나이지 않을까요?

김현진 2023-01-09 16:1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마이데이터를 가지고 어떤플랫폼을개발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서보영 2023-01-09 16:1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2022년에 ESG 키워드도 핫했던 같은데 2023년도 그렇지 않을까요?

윤성원 2023-01-09 16:1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A

안녕하세요~ 정상적으로 입장하신 듯 합니다!

잇츠맨 IT's MAN 2023-01-09 15:42
A

링크가 따로 있는 줄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일구 2023-01-09 15:42
Q

[질문] 웨비나에 관련된 질문을 하고 싶을 때에는, 슬래시를 누르고 질문 내용을 입력하세요! 자동으로 질문 말머리가 생성됩니다.

웨비나 참석자 2023-01-04 11:2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회사 내부에 접속한 개인기기를 식별해서 tag를 달아서 관리할때, 각 기기들에 대한 이력과 주고받은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영상)에 max 사이즈 제한 기능과 접속 제한 시간대를 설정하는 가능도 있는지요?

문태진 2022-12-27 13: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기업에서 보안 리스크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식별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요? 이와 관련하여 Axonius Korea에서 지원하시는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이민수 2022-12-26 17:05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웨비나 내용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Risk = Asset x Vulnerability x Threat" 공식에 의해 기업의 전체 자산을 식별하고 그 자산의 취약점을 파악하여 조치하고 실시간 위협 모니터링 체계을 구성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저희 Axonius에서는 기업 전체의 정확한 자산(unique device)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대응 및 활용할 수 있는 CAASM 솔루션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황원섭 2022-12-27 09:36
Q

[질문] 자산들을 식별해서 DB 화 시킬때, 기본적인 회사 자산들들과 이동 업무성 회사자산과 개인 기기들을 업무에 사용하는 것들도 별도로 각각 카테고리를 나누어서 관리하면서 모든 디바이스 보안안정성을위한 Axonius 에 특화된 솔루션은 어떤 것이 있는지요?

문태진 2022-12-26 16:59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 Axonius에서는 기업용 솔루션을 판매함으로 식별과 관리의 대상 자산(IT device)도 회사 자산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그러나 회사 내부 네트워크에서 자동으로 식별된 자산 중 개인 기기가 식별될 경우 tag를 달아서 별도로 관리할 수는 있습니다.

황원섭 2022-12-27 09:39
A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회사 내부에 접속한 개인기기를 식별해서 tag를 달아서 관리할때, 각 기기들에 대한 이력과 주고받은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영상)에 max 사이즈 제한 기능과 접속 제한 시간대를 설정하는 가능도 있는지요?

문태진 2022-12-27 13:22
Q

[질문] 보안 리스크를 식별할 때 R = A * V * T라는 공식에서 가장 크게 작용하는 항목은 무엇인가요?

문주웅 2022-12-26 16:55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웨비나 시간에 이미 답변은 드렸습니다만 다시 의견 드립니다. 해당 공식만을 기준으로 본다면, 자산(Asset), 취약점(Vulnerability), 위협(Threat) 모두 중요한 항목입니다. 다만 취약점과 위협은 모두 관련된 자산이 있을때 영향도가 있기때문에, 저는 자산이 제일 크게 작용하는 항목이라고 생각합니다.

황원섭 2022-12-27 09:52
Q

[질문]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자산관리가 가능한지요? 사례가 궁금합니다

한규권 2022-12-26 16:54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보안을 위한 자산 식별에 예외 영역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의 IT자산은 온프레미스, 클라우드(퍼블릭, 프라이빗), 가상화, 컨테이너 영역 모두에 존재합니다. Axonius 솔루션의 경우에는 Network 스위치, NAC, Host에 설치되는 Agent, AD, 클라우드와 API연동, Kubernetes 등과 연동하여 자산 정보(device의 hostname, ip, mac, os, installed software list 등)를 수집하여 상관분석엔진을 통해서 자동으로 unique device를 식별하고 수집한 다양한 정보들을 통합하여 검색 및 대시보드, 자동화 액션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미 글로벌하게 400개 이상의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황원섭 2022-12-27 09:59
Q

[질문] 제로트러스트는 기존 경계보안에서의 DID심층방어와 다른 개념인지요 아님 상호 보완적인지요?

한위원 2022-12-26 16:53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네 제로트러스트는 기존 경계보안과 상반되는 "경계없는 보안(perimeterless security)"이라고 얘기합니다. 그러나 제 생각에는 아직까지 환경에 따라 상호 보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황원섭 2022-12-27 10:05
Q

[질문] 제로트러스트와 CSPM, CWPP, SAE 간에 연관성이 있는지요?

심사원 2022-12-26 16:51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질문은 제 전문 분야가 아니므로 답변을 아끼도록 하겠습니다.^^ 너그러운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황원섭 2022-12-27 10:14
Q

[질문] CAASM 은 사전보안과 사후보안중에 어디에 더 중점을 둬야하는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윤성원 2022-12-26 16:51
A

답변 감사합니다.

윤성원 2022-12-26 16:54
Q

[질문] 기업에서 ZT, ZTA, ZTNA 모델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고 점검해야 할 요소들은 각각 무엇인가요?

이민수 2022-12-26 16:47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사실 제로트러스트 전문가는 아닙니다. 저도 공부하고 있습니다. ^^ 다만, 본 웨비나에서 제로트러스트를 언급한 이유는 보안에 있어서 자산 식별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입니다.

황원섭 2022-12-27 10:17
Q

[질문]생체인증, 듀얼인증을 이용한 보안인증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이것 역시 한계는 있는 분명해 보입니다. 가까운 미래에는 양자를 이용한 보안방법과 제로트러스트에 대한 극복 방법도 개발중인지, 어디까지 개발되었는지 말씀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유재명 2022-12-26 16:47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질문은 제 전문 분야가 아니므로 답변을 아끼도록 하겠습니다.^^ 너그러운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황원섭 2022-12-27 10:18
Q

[질문] IT 자산관리는 사실은 it에서 하는 것보다 회계시스템을 관리하는 ERP 팀이 하는 것이 더 현실적인데 왜냐하면 IT팀은 자산만 시스템에 입력하고 그 유지관리만 하는것이 현실이라 IT 자산하면 IT팀, 보안팀, ERP팀, 3개팀이 모두 관여되는데 이렇게 되면 권한이 분산되어 결과적으로 서로 책임 떠넘기기만 하는데 3개팀중 어느팀이 독자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지 궁금하고 해외는 어떻게 관리하는지요?

윤성원 2022-12-26 16:46
A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웨비나에서 보안에서 자산 식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렇다고 현재 ERP팀이나 IT(인프라)팀에서 하고 있는 자산관리 업무가 필요없고 보안팀으로 이관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업무 목적과 목표가 다름) 다만 보안(운영) 업무 측면에서 자산 식별이 필요하니 CAASM솔루션을 구성하여 자동으로 전체 자산를 식별한 후 해당 자산 데이터를 ERP팀이나 IT(인프라)팀에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도 보안팀에서 별도로 CAASM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황원섭 2022-12-27 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