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설명하시는 것을 듣다보니 OT가 굉장히 보수적인 영역이라는 느낌을 받는데요, OT에서도 최근 여러 기술들과 접목되고 있는 AI기술이 적용되고 있나요?

박선희 2020-12-17 14:17
A

OT 보안 기술을 물어보신거라면 AI로 이상징후 탐지를 합니다. OT에 적용되는 기술이라면 비전 검출에 AI가 많이 사용됩니다.

카스퍼스키 영업 부장 2020-12-17 14:20
Q

[질문] CCTV 분야에 Edge AI 솔루션을 적용하여 시범사업을 하고 있는데, 이처럼 CCTV 분야에 적용한 KASPERSKY의 솔루션을 알려주십시요.

임종택 2020-12-17 14:15
A

국내 사례는 아직 없으며 시범 사업에 적용하시려면 카스퍼스키 코리아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카스퍼스키 영업 부장 2020-12-17 14:18
Q

[질문] OT 보안을 위해서는 공급망 보안부터 시작해야 할텐데요. 현실적 제약사항을 감안할 때 과연 가능할까요? 이를 시작하기 위한 권고사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상훈 2020-12-17 14:1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하이브리드 클라우드로 전환시 외부접속 포인트 및 엣지단 접속, 다양한 단말 접속으로 보안침해포인트가 증가하는데 카스퍼스키가 제시할수있는 적절한 보안솔루션이 궁금합니다.

양광진 2020-12-17 14:10
A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보안 제품은 이미 카스퍼스키에서 판매중입니다만 OT 전용 제품은 아닙니다.

카스퍼스키 영업 부장 2020-12-17 14:13
Q

[질문] 설명을 들으면 OT 보안을 적용하면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패치가 어렵다고 하는데 그럼 보안에 더 취약한것 아닌가요? 보안 위협이나 취약점이 발견되었을때 안전하게 패치할 수 있는 방안이나 방법이 별도로 준비되어 있나요?

이준우 2020-12-17 14:09
A

가용성, 무결성을 해소하며 패치하는 것이 힘듭니다. 따라서 화이트리스트 기반의 운영 체제 보안 등의 솔루션을 적용해 패치 없이도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카스퍼스키코리아 2020-12-17 14:12
A

질문 감사합니다. OT보안을 적용했을 때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패치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OT 환경 / 산업설비 환경이 무중단 가동을 중시하기 때문에 혹시라도 발생할 지 모를 시스템 이상작동을 우려해서 패치작업을 회피하고 있는게 문제라는 지적이었습니다. OT보안 솔루션은 이러한 환경의 제약사항을 딛고 (패치를 하지 않아 취약점에 노출되었다 할지라도) 이상징후를 제때에 찾아내서(탐지) 운영자가 그다음의 조치 - 취약점 관련 디바이스에 대한 - 를 취할 수 있게 지원해준다는 커다란 도입 취지가 있습니다. 걸맞는 답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박진성 2020-12-17 14:17
Q

[질문] 최근 클라우드로의 전환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 OT에서의 클라우드 도입은 어떠한 추세이며, OT에서 클라우드 도입시 보안은 어떤면에서 기존과는 달라질런지?

박선희 2020-12-17 14:09
A

OT 환경은 무결성, 가용성 등 안정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폐쇄망 환경에서 주로 운영하고 있으며 클라우드로의 전환은 힘든 상황입니다.

카스퍼스키코리아 2020-12-17 14:10
Q

[질문] OT환경에서 사용하는 방화벽이 일반 IT환경에서 사용하는 방화벽과 플랫폼 자체가 다른것일까요? 아니면 플랫폼은 같으나 탐지 패턴 등 로직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것일까요??

김태균 2020-12-17 14:06
A

방화벽의 도입 및 구성 자체는 동일합니다. 하지만 ot 환경에 맞는 기능들, 예를 들어 PLC 태그 감지 등의 특화 기능이 방화벽이 아니라 별도의 KICS 솔루션에서 제공합니다.

카스퍼스키코리아 2020-12-17 14:07
A

KICS솔루션 관련 자료를 발표자료 다운로드에 올려주실수 있을까요?? 다운로드 받아보고싶습니다.

김태균 2020-12-17 14:10
A

발표 자료 및 관련 백서 세미나 종료후 보내드릴 예정입니다.

카스퍼스키 영업 부장 2020-12-17 14:12
A

넵 감사합니다.

김태균 2020-12-17 14:13
Q

[질문] 중소 규모의 물류 센터에서 구축 사례가있을 것 같은데 단순한 ㅁ물류 프로세스에서 사람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적용 되는 사례가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이종우 2020-12-17 14:03
A

안타깝게도 OT 보안 제품의 경우 아직 국내 구축 사례가 없습니다.

카스퍼스키 영업 부장 2020-12-17 14:04
Q

[질문] 메가존의 DMZCloudStack과 에퀴닉스의 Equinix Metal은 어떻게 다른가요? Private Cloud이고 유연하게 컨테이너를 지원한다는 면에서는 동일한 것처럼 보여서요

편예원 2020-12-17 11:14
A

메가존의 DMZCloudStack은 선구축된 클라우드를 고객이나 EQ에 이동설치하고 월베이스리스형 체계입니다.

박문기 2020-12-17 11:19
Q

[질문]클라우드내 가상회의가가능한가요?보안자료를사용할경우 공유가 어려워서요

김건호 2020-12-17 11:1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퍼블릭클라우드의 sdn을 사용하는 경우 초지연서비스 qos를 보장하는걸로 아는데 보안에 어떤 이슈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양광진 2020-12-17 11:07
A

초지연 QoS와 보안부분의 연관성은 어떤 것을 염두해 말씀하시는 것인가요? 좀더 상세하게 질문을 더해주십시오?

박문기 2020-12-17 11:16
Q

[질문] aws 와 비교적 잘 융합해서 멀티 클라우드를 선택한다면 어떤 클라우드를 추천하시나요 일반적인 서버 디비 네트워크 등만 사용한다면

이종우 2020-12-17 11:06
A

Private으로 DMZCloudStack을 선택하시고, Public Cloud(AWS, GCP, Azure, NBP, KT,...)등과 전용회선을 연동하여 멀티클라우드를 구성하시면 됩니다. 현재로는 AWS, GCP, Azure를 VMWare Cloud on AWS, GCP, Azure 연결이 가능하기때문에 추천되며, NBP, KT UCloud등은 이곳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BeraMetal서비스를 받아 그곳에 vShpere를 설치에 Private에는 DMZCloudStack의 vCenter관리솔루션으로 통합하시면 됩니다. 전용회선의 비용이 문제가 될 뿐 기본적으로 모든 Public Cloud에 베어메탈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용회선으로 연결이 보장되기 때문에 대부분 멀티클라우드 구축이 가능합니다. 멀티클라우드에 있는 내부네트워크들을 통합하는 것이 좀 어려운데요. BGP를 사용하면 가능합니다. Private에 Active Driectory를 구성해 Public Cloud시스템의 인증시스템과 통합하고 Private에 R/W Database, 각 Public에 Read=Only DB를 사용하시면 될 것입니다.

박문기 2020-12-17 11:14
Q

[질문] 인프라 확장시 한계 사항이 있는가요

손정환 2020-12-17 11:01
A

무슨 인프라를 확장하는 것인가요? 답변해 주시면 다시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박문기 2020-12-17 11:04
Q

[질문]sdn을 사용하는 클라우드망을 사용할 경우 기존 레거시대비 qos에서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0-12-17 10:47
A

현실적으로 SDN은 Cloud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클라우드의 가상네트워크가 있다고 해서 물리적인 네트워크 장치가 필요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기본적인 레거시 장비의 QoS의 도움을 받고(즉, 비교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 위에 가상네트워크를 올려서 유연하게 운영하고, 가상네트워크의 QoS를 다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박문기 2020-12-17 10:58
Q

[질문] 에퀴닉스와 메가존의 콜라보에서 메가존의 역할에서 차별화된 특장점이 어떤건가요?

이세원 2020-12-17 10:42
A

이퀴닉스 고객들이 Private Cloud를 구성하시면 DMZCloudStack을 이용해 가장 빠르게 Private Cloud를 구축해 드리고, 만약 관리가 어렵다면 저희 팀에서 DMZClooudStack에 대한 Managed Service를 제공해 드릴 수 있습니다. Hybrid Cloud로 확장한다면 VMware Cloud on AWS, GCP, Azure에 대한 네트워크통합, 서비스전환 및 통합등을 Public Cloud에 대한 최고의 관리경험을 가진 메가존클라우드가 솔루션을 제공할 것입니다.

박문기 2020-12-17 10:55
Q

[질문]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성의 장점이 유연한 연결 및 확장성의 용이함인데 엣지망과 모바일환경과 연동등으로 인해 보안취약점의 증대가 필연적인데 엣지망과 단말등에대한 효율적인 보안대책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0-12-17 10:42
A

Private Cloud가 설치되는 엣지망은 기본적으로 전통적인 H/W기반 보안기술(F/W, IPS, WebF/W...)들에 보호되는 내부에 DMZCloudStack 전체가 보호되며, DMZCloudStack은 내부에 멀티테넌트를 제공하기 때문에 터낸트내 가상네트워크에 VM혈태로 제공하는 보안VM의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으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rivate-Public cloud연동은 기본적으로 전용회선을 사용을 추천하여 양 종단에서 H/W 보안장치를 통해 통신할 수 있습니다. 외부에서 Public/Private Cloud접속은 이 인프라보호를 위한 보안기능에 의해 보호될 것입니다.

박문기 2020-12-17 10:52
Q

[질문] 클라우드내 자료를 퍼블릭자료로쓰거나 다른 소프트웨어 연동하여 쓸경우 어떤서비스가있나요?

김건호 2020-12-17 10:41
A

DMZCloudStack의 기본적으로 IaaS서비스 제공입니다. 즉, 고객이 필요한 서비스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나 Public Cloud(AWS, GCP, Azure)와 연동할 경우 Public Cloud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Public Cloud에서 제공하는 API를 Private에 설치하여 서로 연동하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박문기 2020-12-17 10:48
Q

[질문]엣지망과 초지연서비스의 증가 및 머신러닝등 데이터 폭증에대해 효율적인 qos정책이 궁금합니다.

양광진 2020-12-17 10:39
A

Private설치된 DMZCloudStack의 내부 가상네트워크는 가상네트워크 수준의 QoS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으며, Private-Public Cloud연동은 전용회선을 이용해 "전용회선" 연결 라우터의 QoS기능을 이용해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

박문기 2020-12-17 10:45
Q

[질문] 이기종 호환성 보장의 한계는 어디까지 인가요

손정환 2020-12-17 10:37
A

모든 Linux계열, Windows 계열에 대한 호환성 을 제공하고 기타 Unix계열은 호환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호스트머쉰은 Intel/AMD x86 입니다.

박문기 2020-12-17 10:43
Q

[질문]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 대해서 많이 배우고 됩네요. 이커머스와 물류 분야에서 적용 사례가 있으면 구축 일정과 대략적인 총 구축 비용을 알고 싶습니다.

이종우 2020-12-17 10:35
A

저희 Hybrid Cloud Center에서 DMZCloudStack은 미리 세팅된 설정으로 바로 고객사에 제공하는 순간 클라우드인프라 구축은 완료되고, 서비스이전 수량만큼 시간이 추가되겠지만 대개 1개월 정도 소모될 것입니다. DMZCloudStack Small, M, Large형태의 세-가지 버젼 제품이 있으면 세부가격에 대한 문의는 저희 센타로 연락하시어 견적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박문기 2020-12-17 1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