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다크트레이스 인공지능보안 솔루션의 최근 적용관련 이슈와 해결사례가 궁금합니다.

전승호 2021-01-14 14:31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최신 CCTV사레가 있었습니다. 내부망이기 때문에 평소에는 비정상적인 중국과 같은 쪽으로 통신을 하지 않다가 유지보수와 같이 외부망으로 연결되는 순간 내부의 소량의 데이터를 평소에는 내부 사용자가 통신하지 않는 중국의 IP로 데이터가 전송됨을 확인하였습니다. 워낙의 소량이었기 때문에 임계치 기반의 솔루션은 탐지하지 못했고 6개월에 한번씩 진행되는 텀이 아주 길었던 내용이었기 때문에 시나리오, 시그니쳐 기반의 솔루션도 탐지하지 못햇지만 다크트레이스가 인공지능을 이용해 탐지한 사례가 있습니다.

A

지방자치단체 산하에 CCTV통합관제센터를 운영 중인데 이곳에는 내/외부망 분리를 하여 CCTV망(내부,폐쇄망)/외부망으로 나뉘어 물리적 망분리 시에도 CCTV망에 해당 해킹시도를 탐지/차단 가능한지?

김수현 2021-01-14 14:57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웨비나가 종료되어 일괄적으로 전화 혹은 메일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웨비나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Q

[질문] 다크트레이스의 AI 탐지 정확도가 기준 AI 없이 탐지하던 상황대비 얼마나 향상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이호승 2021-01-14 14:31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다크트레이스 도입을 통해 기존에 알 수 없던 위협들을 탐지한 사례들이 긍정적인평가를 받고 있습니다만 수치적인 데이터는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Q

[질문] 인공지능이 실시간학습을 계속하면 성능에는 영향이 없나요?

박선희 2021-01-14 14:30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그 부분이 가장 인공지능 기술을 실현하는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다크트레이스 장비 스펙에 따라 최적화되는 아이피 갯수와 트래픽을 미러링주시면 성능에 영향없이 실시간으로 운영하실 수 있습니다.

Q

[질문]OT외에도 IOT기기가 증가하면서 공격포인트 및 잠재적 피해요소가 증가하는데 IOT에 특화된 보안솔루션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양광진 2021-01-14 14:29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IoT와 같은 센서 나 CCTV같은 경우 갯수는 많고 반복된 업무를 하는 센서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룰이나 시나리오로 탐지하기 보다는 의도적 과탐이더라도 아주 예민하게 봐야하는 부분이 필요합니다. 그런 부분에서 다크트레이스 OT망 전문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Q

[질문] 불법 로그인 시도를 실시간 탐지하여 기록하여 공개해 주실수 있나요?

김상훈 2021-01-14 14:27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데모에서 보여드릴 수 있으면 좋겠지만 혹 어려운 경우 추가 스크린샷을 통해 메일로 전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Q

[질문] 최근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에서 학습을 위해 사용된 "개인 채팅 정보"가 개발자가 plaintext 그대로 확인할 수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고객입장에서는 매우 민감한 부분일 것으로 생됩니다. Darktrace solution은 학습을 위해 network traffic sniffing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객 정보 유출" 가능성을 막는 기술이 적용되어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장치가 마련되어 있는지요?

임상필 2021-01-14 14:27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다크트레이스는 gdpr(개인정보보호법)에 준수하여 개발되었습니다.

Q

[질문] 업종마다 특성과 방향이 전혀 다른데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운영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김성균 2021-01-14 14:26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그 부분이 인공지능의 최대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업종마다 특성과 방향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A회사에서는 위협인 내용이 B회사에서는 정상인경우도 있습니다. 다크트레이스는 내부에서 사용되는 트래픽을 가지고만 학습하기 때문에 가장 최적화된 데이터 분석을 받아보실 수 잇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Q

[질문]자율대응이 궁극적으로는 사람을 대체하는것이 목표인지 현재수준이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1-01-14 14:23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극적으로는 인공지능이 연중무휴 자율 대응을 하는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고객분들은 보안운영 정책에 따라 대응 범위를 조정하여 사용중에 계십니다.

Q

[질문] AI를 잘 적용하려면, 새로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아 분석하고 결과의 engine을 upate해야 할 것 같습니다. DarkTrace를 사용하면 설치된 고객의 일부 정보가 공유되어야 할 것 같은데, 실제 발생하는지와 관리 방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정석희 2021-01-14 14:22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고객의 일부 정보가 공유되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온프라미스의 방식으로 자체 고객사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가지고만 분석을 진행하며 업데이트가 필요할 경우 실시간으로 본사에서 혹은 주기적으로 번들 업데이트 가능합니다. 이 경우에도 고객의 데이터를 공유할 필요는 없습니다.

Q

[질문] 텔코나 서비스 프로바이더에게 제안시 처리 용량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부분도 제안이 가능한 레퍼런스가 존재 하나요 ?

김상범 2021-01-14 14:22
A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제안한 사례가 있습니다. 다크트레이스의 라이센스 정책이 Ip의 갯수와 트래픽량으로 기본 결정되기 때문에 논의 후 추가로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Q

[질문] 온프레미스, 클라우드를 동시 운영하고 있을 경우, 라이센스 정책은 어떻게 되나요?

오태정 2021-01-14 14:22
A

라이센스 정책은 동일하게 IP 갯수와 트래픽 량을 기준으로 측정되고 있습니다. 이때 클라우드의 경우 내부에서 미러링을 수집하는 경우 센서가 추가로 필요한 경우에는 센서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게 됩니다. 온프라미스 방식은 구매 방식으로도 가능하나 기본적으로는 섭스크립션으로 진행됩니다.

Q

질문) Cyber AI의 필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보안 관련하여 막을 수 없는 위협인 랜섬웨어가 진화하고 있습니다. 랜섬웨어에 대처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강력한 방안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문주웅 2021-01-14 14:21
A

랜섬웨어의 경우 알려진 랜섬웨어 뿐 아니라 변종, 신종의 제로데이 공격에 대응해야 합니다. 그럴 경우 기존 평판조회 기반의 이미 알려진 공격에 대응하는 솔루션인 아닌 인공지능 기반의 솔루션이 이제는 필요한 때입니다. 실시간으로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에 따라 리포팅을 자동으로 해주는 다크트레이스가 이런 부분에서 강점을 가진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Q

[질문] 다른솔루션들은 탐지 못했지만 다크트레이스에서는 탐지한 위협 사례가 있나요?

윤태용 2021-01-14 14:21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타 솔루션들은 시나리오, 시그니쳐, 룰, 패턴기반이기 때문에 다크트레이스는 특히나 아직 패턴, 시그니쳐가 업데이트 되지 않은 제로데이 공격에서 높은 탐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Low and Slow라고 하는 임계치 미만으로 진행되는 데이터유출, 아주 미세하게 탐지하여야 하는 OT 보안에서도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정확도 높게 탐지하고있습니다.

Q

[질문] DARKTRACE Cyber AI의 위협 헌팅 자동화에서 AI 자율조사란 자동화된 조사(Analyst)를 의미하는 것 같은데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지요?

양성필 2021-01-14 14:20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단위 보안 이슈를 경고하는 것이 아닌 행위별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Q

[질문] Darktrace의 self-learning security에 대한 고객이 기대하는 부분이 있을 텐데요. 이런 측면에서 criteria는 어떻게 결정하나요? 그리고 어떤 정량적/정성적 방법이 있는지요?

쉬리리 2021-01-14 14:20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자가 학습에 대해 내부에서 발생하는 트래픽과 내부 사용자가 평소에 행위하는 정상행위와 비정상을 구별하는 부분에서부터 범주를 나누기 시작합니다. 정량적으로는 얼마나 내부의 다른 디바이스/사용자와 다르게 희귀한 행동을 하는지 수치적으로 보여주며 (예 87% 희귀도) 정성적으로는 Threat visualizer를 통해서 실시간 트래픽 및 내용들에 가시성있게 전달드리고 있습니다.

Q

[질문] AI 보안 도입시 이에 따른 관리가 매우 불편합니다. 업무 효율성 저하는 다소 피할수 없어 보이는데 이를 좀더 유연성있게 고려되어 해소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김상훈 2021-01-14 14:19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발표자의 데모와 같이 인공지능분석가를 통해 분석 업무의 시간을 92% 단축시키실수 있습니다.

Q

[질문] 약간 기술적인 질문인데요. Darktrace 서비스는 "human body’s immune system" 에서 insight 를 얻어 개발된 solution인것 같은데, 일부 고객사의 경우 data를 encryption / compression 해서 전송을 할텐데, 이렇게 매번 다른 data pattern에 대해서는 어떻게 효과적으로 ML/AI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는지요? 단순히 unusual activity만 탐지해서 dashboard를 통해 알려주는 것인지 아니면 실제 runtime에 발생하는 security threat을 protection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임상필 2021-01-14 14:19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해주신 내용에 후자가 가깝습니다. 암호화된 통신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 정보에 한계가 있지만 기존과는 다르게 행위하는 희귀도의 부분에서, SSL인증서를 사용할때에 위반하는 부분에서와 같은 내용으로 암호화된 통신에 있어서도 인공지능/머신러닝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unusual activity 뿐 아니라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컴플라이언스 이슈 장애발생과 같은 이슈에 있어서도 실시간으로 탐지 및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Q

[질문]AI의 성공요소가 커스토마이징을 통한 오류와 개선이 필수일것같은데 다크트레이스에서 해당업계분야의 전문가의 도움이나 조언등을 제공하는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1-01-14 14:18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다크트레이스 본사 및 파트너사의 지원으로 일부 커스터마이즈를 제공하고있습니다.

Q

[질문] 사내에 보안 담당자가 없을 경우, AI 에게 맡기고, 정책 승인정도만 해주는 정도로도 관리가 가능할까요? 그렇다면 정말 편리한 솔루션일 것 같습니다.

김현철 2021-01-14 14:17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인공지능 분석가가 제공하는 보고서를 통해 운영에 편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데모를 통해 이해를 도와드리도록하겠습니다.

Q

[질문] 자가학습을 한다면 그 결과에 따라 오탐율이 증가할 수도 있다고 생각되는데요. 혹시 타제품과 비교하여 오탐율에 대한 설명을 해주실 수 있을까요?

조남진 2021-01-14 14:17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다크트레이스는 오탐 혹은 오탐율에 대해서 표현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실시간 분석 솔루션이기 때문에 당시에는 비정상이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스로 재학습되며 정상으로 돌아오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과탐 혹은 오탐이 많다고 느껴질 수 있지만 안정화 기간이 지나면 그 수가 줄어들며 정확도가 높아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