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장비는 서비스 대상이 아닙니다. 사용자기반의 서비스 모델 입니다.
자체 클라우드에 충분한 성능을 확보하고 지원하고 있으며 크라우드에 성능 및 기능에 대해 추가 및 확장이 원활한 서비스 모델을 구축 하고 있습니다.
SSL이 최초 Handshake 후에는 별도 보안 인코딩이 없어서 가능한 것이겠죠?
모든 정책은 전사 , 그룹, 부서, 개인별로 차별 적으로 구성 및 지원이 가능 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O365 권고 사항을 지원하면서 빠른 접속 지원이 가능 하도록 지원하는 One-Click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며. O365연동만을 위해 지스케일러를 사용하는 고객 케이스도 있습니다.
SD-WAN은 고객의 선택이며, 대부분의 메이저 Vendor와 협업하고 있어 자동화된 연결 설정이 가능 하도록 지원 하고 있습니다. 다만 SW-WAN이 필수 항목은 아닙니다.
클라우드 입니다.
GRE / IPSEC 혹은 Agent 로 선택 하여 활용 가능 합니다.
국내 포함, 전세계 150개 이상의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규모의 Zero Trust Exchange를 통해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스케일러 자체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으므로, 멀티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등 제약없이 최상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ZTNA의 WFA환경은 사용자와 Application을 직접 연결하며 보안을 제공하는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특별한 접속 지연은 발행 하고 있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서비스 형태 이며 특별한 경우는 고객사 환경에 맞게 일부 구축형 모델로 지원이 가능 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ZPA 서비스는 클라우드 환경이나 고객사 데이타센터 환경 모두 적용이 가능 합니다.
지스케일러의 클라우드에서 메일을 통해 감몀된 단말과 C&C통신을 모니터링하며 보안을 적용하게 됩니다.
알고 계시는 파트너 또는 지사로 연락 주시면 됩니다.
지스케일러는 총판이 없는 파트너 모델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고객사 환경을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는 파트너와 협업 하시면 됩니다.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의 경우는 디바이스보다는 계정과 연동이 되고 있으니, 보안 적용도 라이센스 활용 가능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네 가능합니다. MVISION은 기본적으로 별도 에이전트나 서버를 설치하지 않습니다.
맥아피의 CWS는 클라우드와 온프라미스의 엔드포인트를 보오하는 기능합니다. 퍼포먼스에 영향을 줄이고 싶을 경우 IPS 기능을 워크로드 외부로 뺄 수 가 있으며, VMWARE의 경우 바이러스 스캔 기능도 외부로 빼서 워크로드에 대한 로드를 줄일 수 있습니다. 외부에서 IPS를 운용하시지 ㅇ낳을 경우에는 실제로 모든 기능을 다 Enable 하기보다는 필요에 따라, 필요기능 (백신과 HIPS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시기를 권장 드립니다.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