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LG CNS 이재용 팀장 입니다. 사내에 업무 중에서, 꼭 IT 업무가 아니더라도 뭔가 요청자가 있고, 그에 대한 처리자가 있는 업무에는 다양하게 활용 할 수 있습니다.(ex.공조시설 수리 요청을 하고, 이에 대해서 수리 등)
반갑습니다. LG CNS 이재용 팀장 입니다. ERP와 ESM은 각각 지향하는 점이 다른 솔루션이라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회계/생산/영업 등 전통적인 업무는 ERP로 그외 요청 Base의 빠르게 처리해야 하는 업무는 ESM이 맞을 것으로 생각 합니다.
반갑습니다. LG CNS 이재용 팀장 입니다. 모든 일이 그렇지만, DT를 하면 뭐가 좋아지는지, 우리 조직, 우리 회사의 어떤 역량의 향상에 도움이 될지에 대해서 우선 고민이 되어야 하며, 이런 고민에 대해서 경영층 부터 구성원들과 공감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 이후에 이를 DT라는 도구로 실현을 해 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저희가 새로이 정의하는 컨셉이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관리입니다. ITSM에서의 ITIL v3 -> v4 가 여전히 인증이나 사상으로 가지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반갑습니다. LG CNS 이재용 팀장 입니다. LG CNS의 SaaS 기술은 현재도 진화발전하고 있습니다. 끊임없이 계속적으로 대응 및 확장을 해 나가야 합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서비스나우 솔루션의 완성도가 생각보다 높아서 놀랐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반갑습니다. LG CNS 이재용 팀장 입니다. LG CNS는 Cloud는 CloudXper, On-Premise는 DCA등 많은 인프라 자원 관리 자체 솔루션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자체 솔루션을 ServiceNow와 연계를 하였습니다.
기존의 시스템을 한꺼번에 빅뱅 방식으로 변경한다는 것은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대공사입니다. 그러므로 디지털 전환을 위한 Next ITSM, DevOps나 agile 등을 적용하실 때 전사 적용보다는 작게나마 새로운 부분에서 적용하고, SaaS와 같이 이미 많은 사례를 통해 검증된 표준화된 방법론과 프로세스에 입각한 시스템을 도입하여 시작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서비스나우 플랫폼에서는 IT Inventory, CMDB 로 관리 되고, ITOM 기능들을 통해서 형상에 대한 디스커버리 ,자동 업데이트, 헬쓰 상태 파악 및 서비스 연계 매핑 등의 다양한 활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LG CNS 이재용 팀장 입니다. IT Inventory가 정비되어, 헬스체크와 같은 선장애감지/ 모니터링 체계 구현이 한결 수월해 졌습니다. 현재 내부적으로 이런 모니터링 기능도 구현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AIOps로 발전해 나가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맞습니다. 클라우드에서의 형상이지속적으로 변경되고, 심지어 FaaS와 같이 아예 잠시동안만 존재하거나 컨테이너와 같이 즉시 생성되고 빠르게 폐기 되는 환경에서 서비스 운영 및 장애 관리를 하셔야 하기 떄문에 ITSM외에 ITOM과 같은 영역을 두어 주기적으로 형상을 업데이트하고, 서비스 매핑 등으로 빠르게 비지니스, 서비스, 개별 인프라에 이르는 Service 인식 가시성을 확보하시는 것이 추세입니다.
맞습니다. 따라서 서비스나우에서는 ITSM 변경 및 구성관리와 ITOM discovery라는 모듈 연계를 통해 cloud 환경의 CI discovery 및 CI 간의 dependency map의 자동 drawing을 지원합니다. 즉 자동화를 통해 cloud infra의 변경을 찾아내고 이를 빠르게 적용합니다.
반갑습니다. LG CNS 이재용 팀장 입니다. IT Inventory의 체계, 어디까지 관리를 할 것인지 정의 및 지속적으로 현행화가 이루질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서비스나우의 ITSM은 on-primise 및 cloud 환경 모두 적용이 가능한 솔루션입니다. 전세계적으로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다양한 운영환경에서 서비스나우를 사용하고 계십니다.
반갑습니다. LG CNS 이재용 팀장 입니다. NEXT ITSM은 Cloud 기반 환경 및 기존 On-Premise 환경의 SM 업무를 수행 하도록 구현되어 있습니다.
서비스 관리 전반에 걸쳐 각 역할에 맞는 가시성이 - 누가 홀드하고 있는지, 어디에 지연이 있는지 알게 되는 것이 첫걸음이고, 모든 기능을 모바일 경험, 슬랙이나 TEAMS 연동과 같은 연계 기능들이 이러한 지연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일부 개발 DevOps의 경우 조건에 따라 자동 승인 등으로 자동화를 꾀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서비스나우에서는 처리 상황에 대해 시각적으로 그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누구에게 지금 일이 할당되어 있으며, lock이 걸리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SLA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SLA에 따라 자동적으로 time이 체크됩니다.
반갑습니다. LG CNS 이재용 팀장 입니다. SM 업무수행자의 첫화면에, SM 업무 중사전에 정의 해 놓은 중요도에 따른 처리해야 할 리스트가 보여 집니다.
멀티 클라우드 도입은 정말 어려운 문제입니다. A, M, G 사 등 대형 클라우드 사게 제공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는 전문가는 더더욱 구하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회사에 대한 종속성 탈피, BCP 등등의 이유로 멀티 클라우드를 사용하기를 원하시는 기업이 많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다양한 클라우드 회사에서 모두 지원이 가능한 업계의 de-facto 표준이 되는 솔루션, 많은 사례를 보유하고 문제 해결에 대한 수많은 knowledge 를 보유한 솔루션을 통해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반갑습니다. LG CNS 이재용 팀장 입니다. Dx가 트랜드가 되면서, 아마 대부분의 회사의 CIO들은 IT 서비스의 복잡성이 대폭 늘어난것에 대한 고민이 늘어났습니다. 아울러 이런 복잡성에 Agile 까지 더해 IT예산 집행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도 한층 어려워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