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각 기업마다 업무 환경이 천차만별 인데,도입시 가장 고려해야할 사항으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방극민 2020-11-12 10:59
A

말씀하신데로 고객사에 업무환경과 제공하는 솔루션이 맞는지를 고려 하셔야 합니다.

오라클 2020-11-12 11:04
Q

[질문] IT입장에선 유지보수에 대한 리소스절감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당장 인력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텐데요. 이후 IT가 집중해야할 방향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이규승 2020-11-12 10:53
A

개발 자체에만 집중하시고 각 클라우드 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고객사 상황에 맞게 어떤 서비스를 도입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라클 2020-11-12 11:00
Q

[질문] 온프라미스 환경에서 클라우드로 전환시 요즘 한창 이슈화 되고 있는 AI기술을 접목할수 있는 포인트가 뭐가 있을까요?

이근택 2020-11-12 10:50
A

여러가지 있을 수 있으나, 관리 측면에서 Log 분석등을 ML/AI 기술과 접목하여 제공 하사는 기술들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습니다.

오라클 2020-11-12 11:02
Q

[질문] VCN에서 네트워크 가속화나 우선순위 조정도 가능한지요?

이규승 2020-11-12 10:47
A

Manged 서비스 관점에서의 클라우드는 어는 회사 던 간에 개별 Configuration 대한 조정은 제한이 있다고 봅니다.

오라클 2020-11-12 10:58
Q

[질문] 나무가는 어느정도 규모의 기업인가요? 오라클하면 대용량이라는 이미지가 큰데, 작은 기업들도 오라클클라우드 적용에 이점이 있을까요?

박선희 2020-11-12 10:47
A

중소기업들도 오라클 클라우드를 사용하시면서 필요한 컴퓨트 리소스 및 서비스만 사용하시면 비용 절감에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의 어려운 점인 인력 확보 측면에서, 즉 관리 측면에서 클라우드의 관리서비스. Managed service의 사용은 큰 장점 이라고 말씁드릴 수 있습니다.

오라클 2020-11-12 10:55
Q

[질문] CDN의 안정성은 결국 ISP라는 컨트롤 불가한 범위가 걱정이 되는데...ISP의 서비스 무중단 불확실성을 어떻게 예측/관리할 수 있을까요?

박완주 2020-11-12 10:47
A

ISP 서비스에 관해서는 사실 저희도 예측이 될 지는 서비스 제공자들과 논의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오라클 2020-11-12 10:53
Q

[질문] OCI VCN에서 네트워크 속도의 모든 부분을 다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규승 2020-11-12 10:44
A

온프레임처럼 서버와 SAN 장비등을 바로 옆에 두는 것과 비교하여 처리 속도는 POC 등을 통하여 확인 및 개선 방안을 찾을 수 있다고 봅니다.

오라클 2020-11-12 10:51
Q

[질문]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지원하지 않는 시스템 CDN 등에 대해서는 어떻게 처리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이미지 서버 등에 대한 처리 등도요

이종우 2020-11-12 10:44
A

말씀하신 CDN 서비스는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타 사 CDN 과의 연동시 이미지 처리를 위해서 OCI 오브넥트 스토리지를 제공합다.

오라클 2020-11-12 10:49
Q

[질문]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 시스템 전환과 ERP 개발 및 전환이 동반되어 필수적으로 개선되어야 할지요? 전환 비용 절감 및 구축시간 절감의 중요 요소는 어떤 점들이 있을지요?

지정호 2020-11-12 10:43
A

클라우드 전환만으로도 기존 온프레임 처럼 하드웨어 준비라든지 설치에 대한 부담이 없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실 수 있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준비를 하실려면 전환 방법을 정확히 세우시고 진행하셔야 시간 및 비용을 절감 하실 수 있습니다.

오라클 2020-11-12 10:47
Q

[질문] Oracle Cloud Infra가 Top provider 및 타 provider에 비해 저렴한 것 같습니다. 다만 실 운영 환경에서 보안 Governance 준수를 위해 보안 서비스 및 Solution을 도입을 해야하는 경우가 생기게되는데 이에 대한 지원이나 비용은 어떻게 될 지 궁금합니다.

김정환 2020-11-12 10:43
A

오라클 클라우드는 디펜스 인 뎁스(Defense-in-Depth) & 코어 투 에지(Core-to-Edge) 시큐리티 개념을 적용하여 철통 보안을 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보안 솔루셔이 필요하시면 비용과 지원은 별도 입니다.

오라클 2020-11-12 10:45
Q

[질문] 웹서비스의 형태가 아닌 OLTP, OLAP 형태의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응답시간이 중요한데요. 클라우드로 전환시 네트워크 latency에 대한 이슈는 어떻게 해결할수 있는지요?

이규승 2020-11-12 10:40
A

오라클 OCI VNC 서비스에서 밴드위드 조정을 하고 있습니다.

오라클 2020-11-12 10:41
A

오타 정정합니다. VCN 입니다. Virtual Cloud Network 라고 합니다.

오라클 2020-11-12 10:43
Q

[질문]CSP 인증과 평가에 대비하여 기업이 준비해야 할 사항과 인증 제도에 대한 갱신 주기 등은 어떻게 되는지요?

지정호 2020-11-11 15:5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대표평가는 언제부터 시행이 되는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윤태호 2020-11-11 15:4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공공클라우드 등 금융분야 클라우드는 정보의 민감성과 보안성으로 인해 클라우드 도입 시에 어떤 유의할 점이 있을지요?

지정호 2020-11-11 15:4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기존 금융사들의 안전성 평가 결과는 Azure의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평가 결과인지 궁금합니다.

전영진 2020-11-11 15:38
A

실제 사용하는 서비스들에 대한 평가를 받습니다.

A

실제 사용하는 서비스들에 대한 평가를 받습니다.

Q

[질문]비대면디지털환경에서 클라우드가 새로운 성장기회에 동감입니다. 개인신용정보와 고유식별정보 이용 등 법적 규제도 많이 개선되었다고 판단됩니다. 그런데 사고발생시 국내소재 클라우드와 해외소재시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박주혁 2020-11-11 15:38
A

금융감독원에서는 중요 데이터는 국내 리전에 위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Q

[질문] 혹시 국내 공공기관 또는 공기업, 금융기업에서 MS Azure를 도입한 사례가 있나요? 보안 감사에 위배되지 않나요?

문성훈 2020-11-11 15:24
A

네. 일부 공공 기관과 금융 기업에서 Azure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금융권의 경우, 금융감독원에서 클라우드 이용 개정안이 고시되어 Public Cloud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A

혹시 클라우드에 관한 국정원 가이드에 대한 검토도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정지원 2020-11-11 15:27
A

이 부분은 공개적으로 답변 드리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송구하지만 아래 이메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이기영 [email protected] 이한성 [email protected]

A

국정원의 가이드는 물리적인 환경에 대한 보안 정책으로 되어 있습니다. 가상화 환경을 통한 보안 솔루션 및 정책 적용도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공공 기업도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A

추가로 조금뒤에 캐롯손해보험 사례가 설명됩니다.

Q

[질문]해외 리전의 경우에는 자료를 복구할 경우에 복구 시간에 대한 방안이 어떻게 되는지요?

지정호 2020-11-11 15:18
A

DR 리전은 보통 같은 나라에 구성되어 있어서, 해외 리전으로부터 한국 리전으로 복구하는 방식이 아닌, 한국 남부 리전에서 한국 중부 리전으로 복구하는 방식입니다.

Q

[질문] 워크로드 백업 측면에서 타사와 비교하여 강점이 있다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윤태호 2020-11-11 15:1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해외 리전을 이용할 경우, 속도저하나 데이터 유출 같은 위험은 없나요?

오태정 2020-11-11 15:12
A

인터넷 접속 환경이라는 가정하에 국내에서 해외리전의 Azure 환경에 접속하면, 당연히 국내 리전에 접속할때보다는 네트워크 지연이 있습니다. 단, 어떤 경우에도 데이터 유출은 없고 국내 리전들만으로 구성하시면 모든 데이터를 국내에 두신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