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설정된 방식으로 문자, 채팅플랫폼 등의 방식으로 관리자에게 직접 알람이 갑니다.
GPU 에 대한 사용을 위해 패스쓰루 방식과 가상화(VGPU) 활용 방식을 모두 제공하며, GPU 사용이 필요한 여러 VDI 고객사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네 가능합니다. East-West Traffic 에 대한 보안 가시성 확보, 각 VM 의 부하 기반 리소스 자동 Scale-out/up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가장 두드러지는 차별점은 '고객 만족도'입니다. 최적의 운영 효율과 비용 절감, 선형적으로 즉시 적용가능한 리소스 확장성 등등이 있습니다.
맞습니다. 다수의 U2L 경험을 가지고 있는 Nutanix에서도 모든 워크로드를 클라우드로 가져가라고 말씀드리지는 않습니다. 상담 요청하시면 조금 더 상세히 사례 기반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Nutanix는 거의 모든 하드웨어 제조사의 x86에서 운영될 수 있습니다. 타사 제품 호환 부분은 hw인지 솔루션인지 명시를 안해주셔서, 정확한 모델을 알려주시면 답변드릴 수 있습니다.
HCI는 네트워크, 컴퓨트, 스토리지, 보안이 유기적으로 통합된 운영 체계입니다.
온프림에서 사용중인 뉴타닉스 플랫폼을 퍼블릭과 연동하는 방법은 3가지입니다. 첫번째는 온프림 클러스터의 DR로 지정하여 데이터를 복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두번째는 배포 자동화 툴을 이용하여 정해진 애플리케이션을 퍼블릭에 배포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는 오늘 발표한 Nutanix cluster를 이용하여 온프림클러스터를 퍼블릭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1,2번 방법은 대부분의 퍼블릭을 모두 지원하고(말씀하신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포함), 3번 방법은 현재 AWS만 지원합니다 (Azure는 파트너십을 맺어 현재 진행 중).
국내에도 여러 기업과 협업을 통해 뉴타닉스 기반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에 적용하는 워크로드의 성격에 따라 다릅니다. 다만, 기본적으로 IT환경 내에 리소스 분석을 통한 최적의 운영 방안 권고, 오랜 운영 노하우에 가반한 비상시 대처 운영 방안 등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 말씀드리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모델이 최적의 IT 운영 모델입니다. 워크로드의 성격에 따라, 예측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워크로드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신규 서비스나 변동성이 큰 워크로드는 퍼블릭에 운영하는 등 최적의 운영 환경 선정 및 불필요한 리소스 제거 등등의 일련을 작업을 통해 비용 절감을 할 수 있습니다.
[임용성입니다.] 클라우드 플랫폼의 서비스 품질 및 보안 등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IBM은 Cloud Paks을 통해서 개발환경, 멀티클라우드관리, 데이터, 보안, 등 6개 분야로 나누어서 고객의 클라우드 도입 및 전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IBM Garage Servcie, App modernization Service 등의 오퍼링을 통해서 고객과 함께 클라우드 전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임용성입니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의 원칙 등에 있어서는 동일합니다. 다만, 접근 방식에 있어서는 (1) 역량 내재화 및 업무 방식으 변화를 통해 주도적 전환을 권고 (2) 오픈하이브리드멀티플랫폼 솔루션 제공 (3)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전환을 위한 도구 (Mono to Micro 솔루션 등) 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임용성입니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는 클라우드의 분산환경과 더 잘 어울린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온프레미스 환경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마이크로 서비스를 개발 및 운영하기 위해서 활용가능한 솔루션 등의 차이는 존재합니다.
[임용성입니다.] 지금 말씀드리고 있는 IBM Garage 프로그램이 역량 내재화 기반의 오퍼링입니다. 최근 2년동안 10번 정도의 사례를 가지고 있습니다.
[임용성입니다.] 마이크로 서비스로 업무가 나누어져 있는 경우에는 이미 독립적인 단위로 업무가 나누어져있기 때문에 RPA 적용시 좀더 쉽게 적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만 적용을 한다면 동시 추진이 더 나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임용성입니다.] 도메인을 기준으로 선택한다면 Core Domain, Support Domain, Generic Domain 중에서 Core Domain을 우선적으로 적용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변화가 많거나 다른 경쟁사와 차별화해야 하는 업무 도메인에 우선적으로 적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임용성입니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적용시 데이터 분리는 가장 중요한 요소중에 하나입니다. 리소스 소비를 효율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데이터 분리로 인해 중복되는 데이터를 없애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두번째는 NoSQL 적용을 통해서 좀 더 서비스에 특화된 솔루션을 함께 적용해 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임용성입니다.] 모놀리틱에 비해서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로 전환을 하게 되면 각각의 서비스는 단순해지지만 전체 환경에서 보면 더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CI/CD 파이프라인/도구를 함께 적용해서 개발 및 운영을 자동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임용성입니다.] 먼저 기업내 마이크로 서비스 혹은 클라우드(디지털 혁신) 전략에 대해서 검토가 필요하겠습니다. 그리고 1회성 프로젝트로 접근하기 보다는 장기적인 접근이 중요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내부 역량에 대해서도 점검하고 어떻게 주도적으로 적용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임용성입니.] 금융 산업이 다른 산업에 비해서 규제 등에 따라서 더 어려움이 있습니다. 최근 클라우드 관련 규제도 완화되고 있고 마이데이터 사업과 같이 점차 확대가 되고 있기 때문에 규제 등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게되면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도입 및 클라우드 전환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