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gaVUE-FM이라는 통합관리 서버에서 여러대의 gigamon 장비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기가몬 특화된 기술(클래식 외) 방식을 프로토콜을 통해 필터링 합니다.
가능합니다. v-시리즈 탭을 이용하여 가시성을 확보 할 수 있습니다.
최근 트렌드가 소프트웨어 정의 기반의 클라우드와 기반 인프라 구축 일텐데요.. 아마도 가장 큰 이슈는 사용자가 기존과 전혀 다른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는 것이 됩니다. 최근 여러 기업 및 공공에서 소프트웨어 기반의 인프라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그렇게 구축되는 지능형 인프라가 가져 오는 장점은 차치하더라도 궁극적으로 해당 인프라를 운용하는 운용진이 익숙해지는것외에 왕도는 없을텐데요.. 하지만 보다쉽게 해당 솔루션을 학습할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 및 온라인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별도로 문의주시면 상세히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설명드리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ydlim@juniper으로 관련내용을 문의주시면 관련 비용과 함께 상세사항을 전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UXM의 수집된 데이터는 DB형태로 저장되므로 타 시스템과의 호환도 가능합니다.
네, 가능합니다. 수동으로 설정도 가능하고, topology auto generate 기능을 통해, 다수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관계 구성도를 자동으로 생성 가능합니다.
장애를 빠르게 선감지 하고, 장애 발생시 원인구간을 식별하여 서비스 품질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들수 있겠습니다. 또한 agentless 방식으로 플랫폼 제약을 받지 않으며 서비스 영향도 없이 적용이 용이하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사용자가 정의한 기준 응답시간을 초과 하거나, 혹은 gap 차이가 있을 경우에 alert 하도록 설정 가능합니다.
두가지 관점에서 설명드릴 수 있겠습니다. 우선 운영측면에서 말씀을 드리면, 대규모의 시스템을 운영할 때는 현재 우리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TunA 의 다양한 토폴로지뷰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두번째 서비스 장애 해결 측면을 말씀드릴 수가 있겠는데요 장애 발생시 어떠한 부분에서 현재 병목이 발생하는지를 신속하게 파악함으로써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아래 답글 확인 부탁드립니다.
네 특별한 제약 사항은 없습니다.
현재 모니터링 범위는 java 기반의 어플리케이션과 엔드유저 모니터링 등에 집중되어 있으나, python 및 php 로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모니터링은 현재 개발중에 있습니다. 빠른 기간내에 선보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네.. 해당 분야에 적용한 사례는 다수 있습니다. TUNA 도입 이후 장애율이 대폭 감소하였으며, 이를 통한 tco 절감 효과를 갖고 올 수 있었습니다.
DevOn F/W 관련 금융권 도입사례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주요 은행, 카드, 보험 등에 많은 사례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객사명을 전부 오픈하긴 어려우니 실제 문의처로 다시한번 연락해주시면 소개자료 전달드리겠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가장 큰 차별화는 실 데이터를 자동 수집해서 오픈 예정인 시스템을 대량, 반복 검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AS-IS거래의 요청/응답 트랜잭션을 Set로 처리하기 때문에 응답 결과 자동비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대외 연계를 포함하여 프로세스가 중단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AS-IS와 TO-BE가 같을 수 없기 때문에 요청트랜젝션을 변조하는 "요청매핑"을 정의할 수 있고, 응답결과를 비교하는 "응답매핑"을 정의하실 수 있습니다.
PerfecTwin Rule manager기능을 활용하면 별도 테스트를 진행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PefecTwin은 클라우드 이관/전환도 지원합니다. 질문하신 내용 가능합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적용된 실 사례가 있으며 멀티클라우드도 지원이 가능합니다